스타트업의 설립부터 IPO상장까지 기업의 가치를 100배 올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창의회계법인 블로그입니다.https://m.blog.naver.com/s-valueup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Text
youtube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사태, 왜 주가가 폭락했을까
최근 파마리서치가 인적분할을 발표한 뒤 시가총액 1조 원이 증발했습니다. 단순한 분할이 아니라 그 방식과 구조가 주가 폭락의 원인이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뜻과 차이점, 그리고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이슈를 요약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파마리서치, 왜 인적분할인데 주가가 급락했는가 → 겉보기는 인적분할이지만, 신설 법인을 지배하기 위한 현물 출자 유상증자 계획이 밝혀지며 실질적으로는 물적분할과 유사한 구조를 갖춤. → 핵심 사업을 떼어낸 존속 법인은 주가가 디스카운트되며, 시가총액 1조 원 이상 증발.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뜻과 차이점
인적분할: 기존 주주들이 분할된 회사 주식을 지분율에 따라 모두 소유
물적분할: 모회사가 자회사를 100% 지배, 기존 주주는 자회사 주식을 직접 보유하지 못함
결과적으로, 물적분할은 주가 디스카운트를 야기할 가능성이 큼
중복상장이란 무엇이며, 왜 문제인가 → 핵심 사업을 분리한 자회사가 새로 상장되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동일 기업가치에 대해 이중 평가가 이루어지고, 본질적인 가치가 희석됨 → 모회사(파마리서치 홀딩스)는 핵심사업을 잃고 주가 디스카운트가 심화될 수밖에 없음
대주주 승계와 기업 분할의 연관성 → 주가가 낮아진 시점에 자녀에게 주식을 증여하면 세 부담이 감소 → 동시에 자회사를 통해 실질적���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어 지배권 승계의 수단이 되기도 함
0 notes
Link
스타트업 법인사업자로 설립하면 장점은 무엇인가요? 또, 재무제표의 신뢰성이 좋아지나요?
0 notes
Link
질문 그대로 스타트업 기업이나 소기업이 무엇이 있을까요?
0 notes
Link
현재 자동제어제작및설치쪽 8년차인 개인사업자입니다. 자동제어를 하다보니 이것저것 관심이있어 3년동안 특허를 7개를 등록하고 하나는 출원중입니다~ 7개중 3개는 업무적인것이고 나머지 4개는 IT를기반으로한 특허입니다.대표적인것이 반려동물 무선통제장치인데 무선개목줄로 보시면됩니다. 이제부터는 사업화를위한 투자유치등을 위하여지금하고있는 개인사업자를 법인으로 바꿔서 하느냐 아니면 별도로 법인을 다시 만들어서 하는것이 좋으냐입니다~~현재 하고있는 개인사업이 그다지 영양가가 없어서요~~지금껏 드라이��질만 하다가 새로운것을 해보려니 모든것이힘드네요~~기존 개인사업자도 스타트업창업이 가능한지 가능하면 어떻게 하는것이좋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notes
Link
스타트업과 중소기업(개인 사업 or 장사)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0 notes
Link
너무 고민이 크다 보니 이렇게 지식인에 질문을 올리게 되었네요.. 상황 보고 여럿 분들 조언을 듣고자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내년 만으로 26살 이며, 두 기업 모두 출퇴근 거리는 비슷합니다) 1. 대기업 파견직 (1+1, 총 2년 계약) 이름 말하면 어느 누구라도 알 수 있는 대기업이며 업무는 간단하게 사무보조(문서관리?) 인 것 같습니다. 이 점이 마음에 걸리는데 파견직은 경력을 쳐주지 않는 곳이 많다는 이야기가 상당히 많더라고요. 그 와중에 특정 실무 쪽이 아닌 어느 누구나 할 수 있을 것 같은 사무보조쪽 이다보니 추후 경력에 더 걱정이 됩니다. 그런데 이왕 무엇이라도 경험해 보는김에 대기업에서 일해본 내용 한줄이라도 더 써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 상당히 끌리네요.. 대기업 파견직이라 할지라도 추후 취업 시 정말 기업에서 거들떠도 보지 않을까요? 급여는 전 직장 대비 오르긴 하였습니다. 상여금도 만족스러울 만큼 기재 되어 있으며, 뒤에 비교 드릴 스타트업 보단 확실히 적지만 어느 정도 만족스러운 상태이구요. 2. 스타트업 정규직 직전에 말씀드린 대기업 대비 확실히 급여 및 상여가 많습니다. 복지도 꽤 괜찮은편이며 금전적인? 쪽으론 더 좋다고 봅니다. 다만 스타트업이다보니 실제로 저 급여와 복지를 시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며(우선은 채용이 급하니 높은 급여로 안내한 뒤 채용을 하려는 것인지..) 현재 인터넷에서 기업 검색도 되지 않는 상황이라 더욱 불안하기도 하네요.. 분위기는 20-30세로 젊은 분들로 이루어진 분위기 인 것 같으며, 업무는 인사팀에서 기업에 필요한 영업쪽 인재를 제가 헤드헌터(인재서치)를 하여 채용하는 느낌인데 혹여나 이러한 업무에 대해서도 어떤지 한번 여쭙고 싶네요. (인사팀 역시 급하게 만들어져 면접 당시 해당 팀장님께서 자신 역시 급하게 직급을 부여 받아 팀장이 되었다.. 이런 식으로 말씀 하시더라고요 즉, 전임자나 팀 내 전문가가 없어 조언을 구할 순 없고 직접 업무 프로세스를 찾아야 할 상황이라고 느껴집니다.) 고민이 너무 크다 보니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정규직이 안정적이고 복지와 급여 상태가 확실히 더 좋지만 2년 이내에 혹여나 관두거나 회사 재정이 어려워져 다닐 수 없게 된다면 1번에 경우가 훨씬 나은 상황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만약 파견직을 하게 된다면 정규직 입사 대비 어떠한 방식으로라도 자기계발하여 자체 스펙은 올려볼 생각입니다. 혹여나 더 남겨주실 조언 있으시다면 편안히 해주셔도 감사드리겠습니다.
0 notes
Link
38살일고 카페창업을 하고싶은데 청년지원이나 스타트업에서 지원을 받나 하고싶은데 방법을 머르겠네여 아무리 찾아봐도 이해가 잘안되요... 창업대출은 등급이 있어야 한다는걸로 알고 있는제 맞는지ㅇ요?k스타트업창업은 교육을 다 받아야하는지여 아니면상담을 거쳐서 진행이되는지 알고싶음다...ㅜㅡㅜ
0 notes
Link
청년이 스타트업이나 아니면 가게를 차리려고 할 때에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시스템이 있나요? 있으면 알려주시고 없으면 뭐 어�� 수 없겠네요ㅠㅠ
0 notes
Link
스타트업 스타트업, 사업을 하고 싶은 청년입니다. 허나 알고 있는 지식이 너무나 짧습니다. 스타트업, 경영에 필요한 넓고 깊은 지식이 담긴 책, 강의를 추천받고 싶습니다. 현재 사회가 어떻게 (어떤 것을 중심으로) 돌아가며 어디서 수익구조가 발생되는지에 대해 서술한 책, 강의도 추천받고 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 선배님들
0 notes
Text
구로디지털 회계 소모임, 업종별 재무제표 분석 스터디
안녕하세요, 구로디지털 업종별 재무제표 인사이트 소모임을 소개합니다. "사업은 결국 숫자입니다. 숫자를 모르시면, 생존도 어려워집니다." 저희는 스타트업 대표님, CFO, 회계팀 담당자님들 및 그리고 회계 분야 취업을 준비하거나 희망하시는 분들과 함께 업종별 재무제표 분석 실전 소모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강의는 아닙니다.
매달 1회 정기적으로 모여 업종별 실제 재무제표를 함께 살펴보며 다음과 같은 목표를 추구합니다. :
숫자에 강한 CEO로 성장하는 방법 습득
업종별 재무 특징과 리스크 포인트 정확한 파악
성공하는 기업들의 재무 패턴 분석 능력 향상
투자자와 심사역이 숫자에서 중요하게 보는 관점 이해
막연한 이론 중심이 아닌,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를 함께 분석하며, 경험이 풍부한 회계사님과 함께 업종별로 자금의 흐름을 해석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다음과 같은 분들께 특히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희 업종에서는 어떤 재무지표를 중점적으로 봐야 할까요?"라고 고민하시는 스타트업 대표님들 "CFO의 관점으로 숫자를 해석하고 싶습니다"라고 생각하시는 중간관리자분들 실전 분석을 통해 역량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싶으신 회계 취업 준비생분들
매달 꾸준히 성장하고 싶으시고, 숫자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싶으신 분들의 참여를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소모임 링크를 통해 확인 및 신청 부탁드립니다. 소모임 신청 : https://www.somoim.co.kr/f6fbc2e4-1b67-11f0-af9c-0a775ac2b87f1
[더 많은 정보] 네이버블로그: https://m.blog.naver.com/s-valueup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91JCUSGPei_fxn259XNZw?sub_confirmation=1
0 notes
Link
스타트업 회사이고 그래서 인지도,자금등 역시 부족하나 사업 아이템은 나쁘지 않고 홍보가 많이 부족한 경우일때.. 자금의 어려움으로 자금운용 문제만 해결되면 회사의 경영난이 조금이나마 해결이 될거같습니다. 그래서 후원금을 조금이라도 받아가며 회사 경영을 이어나가고자 하는데... 후원금을 받을수 있는 방법과 관련 정보에 대해 잘 알려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내공100
0 notes
Link
스타트업들이 정부지원이 아니라 vc 투자를 받는 경우 회사가 망하면 투자받은 돈은 대표가 갚지 않아도 되나요? 매번 이게 궁금했는데... 보통 어떻게 하나요?
0 notes
Link
중학생 친환경 스타트업 기업을 "개인사업자"로 사업자 등록을 하려고 하는데요, 몇가지 질문에 대해서 답을 해주실 수 있으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1. 일단 저는 부모님과 같이 살고, 사업장소가 집이 될 것 같은데 사업 장소가 저의 명의가 아니라, 부모님 명의인데, 어떤식으로 작성해야하나요?? 2. 초기 자금은 얼마 정도로 설정해야 하나요?? (또한 세금은 언제 내야하나요??) 3. 부모님이 공무원 이신데, 부모님을 납세관리인으로 해도 상관 없나요? 4. 또한 "친환경 스타트업" 인데, 사업 키워드를 어떤걸로 설정하는게 좋을까요?? 5. 또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알려 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notes
Link
안녕하세요. 창업에 관심이 많은 청년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이번 강원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에서 진행하는 2021 G스타트업 예비창업 지원사업에 신청해보려고 생각하고있는데, 혼자서 준비하려니 이것저것 모르는게 많아서요 ㅎ.. 뭐뭐 지원받을 수 있을까요??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