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염 코막힘
Explore tagged Tumblr posts
iiss9900 · 3 months ago
Text
코 안쪽 흉살 수술 통증과 부작용 꼭 알아야 할 핵심
코 안쪽 흉살은 코 성형 후, 재수술, 염증 등 다양한 이유로 생기며 코막힘이나 콧구멍 변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코 안쪽 흉살이 생긴다면 단순한 제거만으로는 해결되지 않고, 전문적인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코 안쪽 흉살 수술 통증과 부작용 꼭 알아야 할 핵심 코 안쪽 흉살 수술 통증과 부작용 꼭 알아야 할 핵심코 안쪽 흉살 원인과 생기는 이유 요약코 안쪽 흉살 제거 방법과 치료 방식코 안쪽 흉살 수술 시 통증과 부작용 가능성코 안쪽 흉살과 비염, 코막힘 증상의 연관성코 안쪽 흉살 예방을 위한 수술 전후 관리법코 안쪽 흉살 치료 시 주의사항 요약 코 안쪽 흉살 원인과 생기는 이유 요약 코 안쪽 흉살은 주로 코 성형 수술 과정에서 절개와 봉합으로 인한 흉터 조직이 과도하게 형성되면서…
0 notes
sportscom · 1 year ago
Text
알레르기 비염 완벽 가이드| 증상, 원인, 치료법 & 관리 팁 | 알레르기, 비염, 코막힘, 재채기, 콧물, 눈 가려움
알레르기 비염 완벽 설명서| 증상, 원인, 치료법 & 관리 팁 | 알레르기, 비염, 코막힘, 재채기, 콧물, 눈 가려움 계절이 바뀌거나 꽃가루가 날리는 봄철, 갑자기 코가 막히고 재채기가 멈추지 않아 괴로우신가요? 알레르기 비염은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 원인, 치료법을 자세히 알아보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관리 팁을 소개합니다. 알레르기 비염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이 글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쾌적한 삶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곰팡이 등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체계의 과민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항원에 노출되면…
Tumblr media
View On WordPress
0 notes
healthmin119 · 13 days ago
Text
🤧 비염으로 고생 중이신가요?
아침마다 코 막히고, 머리 무겁고, 집중도 안 되고… 이젠 ✅생활습관 + ✅식이요법으로 자연스럽게 비염 완화하세요!
👇 약 없이도 효과 보는 실전 팁, 지금부터 정리해드릴게요!
🌿 비염 완화 생활습관 BEST 5
📌 ➊ 실내 습도 40~60% 유지 👉 건조한 공기는 코점막 자극 → 코막힘 심해짐 ✅ 가습기 or 젖은 수건 걸기 추천!
📌 ➋ 아침 코 세척 루틴 만들기 🧴 생리식염수로 매일 아침, 외출 후 코세척 👉 먼지, 꽃가루 제거 → 알러지 반응 완화!
📌 ➌ 손 씻기 & 마스크 생활화 😷 외부 자극 최소화! 특히 봄/가을 환절기엔 미세먼지 대비 필수예요!
📌 ➍ 침구 & 커튼 주 1회 이상 세탁 🛏️ 집먼지진드기 제거는 비염 개선의 핵심 👉 침구 커버는 60도 이상에서 세탁!
📌 ➎ 수면 자세는 머리 약간 높이기 🛌 누울 때 코막힘 심해진다면 베개 2개로 머리 높이면 숨쉬기 한결 편해져요!
🥦 비염 완화에 좋은 식이요법
🍵 1. 생강 + 꿀차 👉 항염 작용으로 코 점막 진정 ✅ 아침 공복에 따뜻하게 마시면 효과적!
🥬 2. 브로콜리, 양배추, 시금치 👉 면역력 강화 + 항산화 작용! 코 점막 보호에 딱!
🐟 3. 등푸른 생선 (고등어, 참치) 👉 오메가3 풍부 → 항염 효과로 비염 완화 도움!
❌ 피해야 할 음식 🚫 유제품(우유, 치즈), 밀가루, 인��턴트 👉 염증 반응 유발해 코막힘 더 심해질 수 있어요
🧠 비염 극복 루틴 만들기 TIP
✅ 기상 후 → 코세척 + 생강차 ✅ 점심 전 → 따뜻한 물 1잔 + 비염완화 식단 ✅ 자기 전 → 습도 체크 + 이불 털기 + 고개 높이기
👉 비염 완화 방법 자세히 보기
0 notes
blondeaway · 1 year ago
Text
호흡기 질환이란
호흡기 질환이란? 1. 정의 (1) 감염성 비염(Infective rhinitis, A nose infection) 비점막에 발생하는 염증을 말한다. 코의 전체 부위를 침범할 수 있으며 보통 증상은 물같이 맑고 투명한 콧물이 흐르며 재채기 및 코막힘 등이 동반된다. 바이러스나 세균 등에 의해 코 점막에 급성 또는 만성으로 염증이 생기는데 대부분 급성과 만성의 경과를 보이게 된다. 비강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보면 점액 분비가 증가하고 충혈되어 가려움증과 분비물 소견을 볼 수 있다. 또한 이차적인 세균감염 때문에 축농증이 잘 발생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 기후권에서는 겨울철이나 봄철에 흔하게 발생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연중 환자들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기도 감염증 중 가장 흔한 원인균은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인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다. (2) 알레르기비염(Allergic rhinitis, A part of the allergy disorder characterized by its apparent irritability and inflammation) 알레르기성비염의 특징적인 증상으로 눈물의 과다분비로 인해 아침에 일어나서 처음 느끼는 건조감 ��리고 오후부터 저녁때까지 주로 악화된 기침 혹은 재채기로 나타나게 되며 때로는 가래 끓는 소리도 들릴 수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통년성이기 때문에 봄가을 환절기 때 심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곰팡이, 동물 털등 다양한 물질에 노출될 경우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소아에서 아토피피부염과 함께 자주 관찰된다는 사실입니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16세 이전에 발생된 알레르기질환이 성인형알레르기 피부반응의 85%이상을 차지한다는 보고
0 notes
hanallbio · 3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https://blog.naver.com/hanall12345/222655450930
0 notes
eun-lin · 5 years ago
Link
의료용 레이저 조사기 웰라이노 콧속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줍니다. 우수한 제품의 웰라이노! 지금, 체험신청하세요! 지금 콧속의 통증이 있으시다면 웰라이노를 사용해보세요!
0 notes
asancriti · 6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파이토블락 #코막힘 이나 #비염 에 #좋은소식 #코막힘뚫는법 요즘 같은 환절기에 건조한 사무실은 코가 막히거나 비염인 사람들에겐 너무나 고통스럽다 출근 하자마자 챙겨먹는 #파이토블락 https://www.instagram.com/p/B4445UGFU-V/?igshid=1kebb6nh8mhtt
0 notes
seolem258 · 2 years ago
Text
오늘은 어떤 전주출장안마 이용해보면 좋을까?
Tumblr media
오늘은 어떤 전주출장안마를 이용해보면 좋을까요? 피로하고 지친 몸과 마음을 힐링시켜줄 전주출장안마 서비스를 찾는다면 시그널전주출장안마를 추천합니다.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오랜 경력을 가진 출장업체로써 믿을 수 있고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곳입니다.
전주출장안마를 이용할 때는 신뢰할 수 있는 출장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도메인 연령만 봐도 그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운영되어온 출장업체로서 다양한 단골손님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그만큼 고객들에게 신뢰를 받는 출장안마 업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다양한 마사지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와 목표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코와 부분을 중심으로 한 신전주출장안마는 코막힘, 비염, 압력 및 두통과 관련된 증상을 완화시켜줍니다. 마사지를 통해 코와 부분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이완시키면서 피로와 스트레스를 풀어줍니다.
시그널전주출장안마의 매니저들은 전문적인 마사지 기술과 고객 배려를 바탕으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매니저들은 고객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청결한 환경과 위생적인 시설을 제공합니다. 또한, 출장안마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오일과 자연 친화적인 제품을 사용하여 고객들의 피부에 자극을 줄이고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고객들의 요구와 상태에 맞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들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마사지 코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매니저들과 상담을 통해 자신의 목표와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출장안마를 통해 피로를 풀고 몸과 마음을 힐링시키는 동시에 전주의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휴식을 즐길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주출장안마를 이용해보세요. 시그널전주출장안마에서는 안전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최고의 마사지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출장안마를 통해 지친 일상에서 벗어나 편안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실 수 있습니다.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항상 고객의 만족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고객들의 건강과 행복을 돕기 위해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출장안마는 지친 일상에서 잠시나마 휴식과 힐링을 찾는 사람들에게 큰 안락과 안정을 선사해줍니다. 특히, 전주출장마사지를 통해 신체적인 불편과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출장안마는 전문 마사지 기술과 신체적인 건강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맞는 최적의 마사지를 제공합니다.
전주출장안마를 이용하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우선, 마사지는 근육과 관절을 이완시켜 피로와 긴장을 풀어주어 몸의 유연성과 혈액순환을 촉진시킵니다. 이로 인해 신체의 활력과 기능이 향상되며, 통증과 간질, 근육 경련 등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전주출장안마는 심리적인 안정과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적입니다. 마사지를 받으면 신체의 힘줄이 이완되어 심신이 편안해지고 긴장이 풀립니다. 이로 인해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의 정서적인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출장안마는 몸과 마음의 균형을 맞춰줌으로써 종합적인 휴식과 힐링을 제공합니다.
전주출장안마를 선택할 때는 안전과 품질을 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전문적인 매니저들과 청결한 시설을 갖추고 있어 고객들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매니저들은 훌륭한 마사지 기술과 섬세한 배려로 고객들의 편안한 경험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마사지 코스를 제공합니다. 고객들은 자신의 목표와 욕구에 맞는 마사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매니저들과의 ���담을 통해 최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출장안마는 개인의 즐거움과 행복을 위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지친 일상에서 잠시 도망치고 싶을 때, 전주출장안마를 통해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에서 최고의 마사지를 경험해보세요. 시그널전주출장안마는 고객의 만족을 위해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장안마를 통해 몸과 마음을 회복시키고 새로운 활력과 행복을 느껴보세요. 시그널전주출장안마가 여러분을 최상의 휴식과 힐링으로 안내해드립니다.
0 notes
miaxylor · 5 years ago
Text
㈁오늘운세 ㎝ 뉴론틴캡슐100mg↓
뉴론틴캡슐100mg 외형정보 · 성상 : 흰색이나 연한 회색의 분말이 든 상하 흰색의 경질 캡슐제· 제형 : 경질캡슐· 모양 : 장방형· 색상 : (앞)하양, (뒤)하양· 식별표기 : Neurontin® ---------- 100mg 마크 성분정보 가바펜틴 100mg 저장방법 기밀용기,실온(1-30℃)보관 효능효과 1. 간질(Epilepsy)- 단독요법(새롭게 발작으로 진단된 환자의 치료 포함): 만 13세 이상 소아 혹은 성인에서의 2차적 전신증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단순/복합 부분발작- 부가요법: 만 3세 이상 소아 혹은 성인에서의 2차적 전신증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부분발작 2. 신경병증성 통증 (Neuropathic pain) 용법용량 1. 간질(Epilepsy)1) 만 13세 이상 환자의 단독요법 및 부가요법유지 용량을 가바펜틴으로서 900 mg/day로 하기 위한 단계적 적정을 투여의 처음 3일에 걸쳐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첫째날: 이 약 300 mg 캡슐을 1일 1회 혹은 이 약 100 mg 1캡슐을 1일3회 투여(가바펜틴300 mg/day)둘째날: 이 약 300 mg 캡슐을 1일 2회 혹은 이 약 100 mg 2캡슐을 1일3회 투여(가바펜틴 600 mg/day)셋째날부터: 이 약 300 mg 캡슐을 1일 3회 투여 혹은 이 약 100 mg 3캡슐을 1일 3회 투여(가바펜틴 900 mg/day)혹은 위의 방법 외에 시작용량으로 이 약 300 mg 1캡슐을 1일 3회 투여 할 수도 있다(가바펜틴 900 mg/day). 가바펜틴으로서 1,200 mg/day까지 증량할 수 있으며, 1일 총 투여량은 가바펜틴으로서 2,400 mg을 초과할 수 없다. (가바펜틴 으로서 2,400 mg/day 초과용량과 관련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다.).2) 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 대한 부가요법유지 용량을 가바펜틴으로서 체중 kg 당 30 mg/day로 하기 위한 단계적 적정을 투여의 처음 3일에 걸쳐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첫째날: 가바펜틴으로서 10 mg/체중(kg) 투여둘째날: 가바펜틴으로서 20 mg/체중(kg) 투여셋째날부터: 가바펜틴으로서 30 mg/체중(kg) 투여필요에 따라 1일 체중 kg 당 최대 40 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 약 투여시 1일 총 투여량은 3회로 나누어 투여하여야 한다.3) 약의 투여 기간은 임상적 요구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간질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투여가 요구된다. 반동현상(rebound phenomenon, 치료의 갑작스런 중단으로 인한 간질 발작의 빈도증가)이 나타나는 증거는 없지만, 간질 환자에게 항전간제의 갑작스런 중단은 간질 지속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 및 다른 항전간제와 병용투여 할 경우 적어도 1 주일 동안 점진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2. 신경병증성 통증 (Neuropathic pain)1) 성인 (18세 이상): 유지 용량을 가바펜틴으로서 900 mg/day로 하기 위한 단계적 적정을 투여의 처음 3일에 걸쳐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첫째날: 이 약 300 mg 캡슐을 1일 1회 혹은 이 약 100 mg 1캡슐을1일 3회 투여 (가바펜틴300 mg/day)둘째날: 이 약 300 mg 캡슐을 1일 2회 혹은 이 약 100 mg 2캡슐을 1일 3회 투여 (가바펜틴 600 mg/day)셋째날부터: 이 약 300 mg 캡슐을 1일 3회 투여 혹은 이 약 100 mg 3캡슐을 1일 3회 투여(가바펜틴 900 mg/day)혹은 위의 방법 외에 시작용량으로 이 약 300 mg 1캡슐을 1일 3회 투여 할 수도 있다(가바펜틴 900 mg/day).필요시, 일주일내에 가바펜틴으로서 1,800 mg/day까지 증량할 수 있으며, 1일 총 투여량은 가바펜틴으로서 3,600 mg을 초과할 수 없다. 이 약 투여시 1일 총 투여량은 3회로 나누어 투여하여야 한다.2) 신경병증성통증의 치료에서 5개월 이상의 투여기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3. 허약자체중이 적은 허약자 혹은 이식수술 후 환자는 이 약의 용량을 100 mg 단위로 증량해야 한다 4. 고령자고령에 따른 신기능의 저하로 용량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표 참조). 5. 신기능 장애 환자(크레아티닌청소율이 80 mL/min이하) 또는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다음의 표에 근거하여 ���량조절이 필요하다.1) 신기능 장애환자의 용량: 신기능 크레아티닌청소율(mL/min) 총 1일 투여량a (mg/일) ≥80 900∼2,400 50∼79 600∼1,800 30∼49 300∼900 15∼29 150b∼600 [15 150b∼300 a: 1일 총용량은 1일 3회로 나누어 투여하여야 한다. b: 2일마다 3 × 100 mg으로 투여되어야 한다.크레아티닌청소율이 15 mL/min미만 환자에서 복용량은 크레아티닌청소율에 비례해서 줄여야 한다. 1) 혈액투석환자의 용량초기용량: 300~400 mg의 가바펜틴이 추천된다.유지용량: 4시간의 혈액투석 후 200~300 mg의 가바펜틴을 투여하고, 혈액투석을 시행하지 않는 날은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6. 투약의 방법 및 기간1) 이 약은 충분한 유동액과 함께 통째로 삼켜야 하며, 음식물과 병용 또는 단독 투여 할 수 있다. 1일 3회 투여 시 경련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투여간격이 12시간이상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2) 만약 이 약의 투여를 걸렀을 경우는(가장 마지막 투여로부터 12시간이상 경과한 경우), 이후에 이것을 만회하기 위한 추가 용량의 투여여부는 의사의 판단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3) 마그네슘 혹은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제산제와 병용하는 경우 최소한 제산제 투여의 2시간 후에 이 약을 투여하여야 한다. 이것은 이 약의 생체이용률 감소를 크게 줄일 수 있다.4) 이 약의 투여 기간은 임상적 요구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이 약의 투여용량 감소, 투여 중단, 또는 다른 대체 약물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 주일 동안 점진적으로 실시한다(처방의 판단에 따라 더 장기간이 필요할 수 있다). 5) 졸음, 어지러움, 피로감, 운동실조 등의 주된 이상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투여 첫날 1차 투약은 취침 시 시행하여야 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허가사항변경(안전성 정보처리), 의약품안전평가과-7887, 2018.12.24.]1. 경고1)자살충동과 자살행동항전간제를 복용한 환자에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을 보이는 위험성이 증가되므로 항전간제를 치료받은 환자는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우울증의 발현 또는 악화 및 기분과 행동의 비정상적 변화에 대하여 모니터링되어야 한다.항전간제를 처방받는 간질과 다른 많은 질병은 그 자체가 이환 및 사망, 치료기간 동안의 자살충동과 자살행동의 위험성증가와 관련된다. 따라서, 처방자는 항전간제 처방시 환자의 치료기간 동안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과 치료될 질병간의 연관성 유무 및 이 약의 유효성을 함께 고려한다.2) 약물복용 중단 시 발작과 지속적 간질 상태로 빠짐항전간제는 발작 빈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갑작스럽게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된다. 위약대조 연구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에서 지속적 간질 상태의 발생율은 0.6% (3/543)이고, 위약을 투여받은 환자는 0.5% (2/378)이었다. 대조시험과 비대조시험을 통해 이 약 투여 2,074명의 환자 중 31명(1.5%)이 지속적 간질상태가 발생하였다. 이들 중 14명은 치료전이나 다른 약물 치료 중에 지속적 간질상태에 대한 전증상이 없었다. 적당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가 투여받지 않은 환자에서보다 발작상태의 발생율이 더 높거나 낮다고 말�� 수는 없다.3) 발암성표준 전임상 생체내 발암성 연구에서 췌장세엽선암종이 수컷에게 매우 높게 발생했으나 랫드 암컷에서는 그렇지 않았다(1 3. 기타.전임상 자료 참조: 발암성, 돌연변이성, 생식능력이상). 이것에 대한 임상적 유의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이 약의 판매전 임상시험에서는 인체에서 종양을 일으키는 잠재력을 평가하는 직접적인 방법이 없다. 2,085명을 비교한 임상시험에서는 10명에서 새로운 종양이 발생했고 (유방암 2, 뇌암 3, 폐암 2, 부신암 1, 비호드킨씨 임파종 1, 자궁내막암 1), 이 약 투여를 중지한 후 2년동안 전에 있던 종양이 더욱 악화된 경우는 11명이었다. 이 약으로 치료받지 않은 환자에서의 발생율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이런 발생율이 이 약에 의한 것인지 아닌지를 말하기는 어렵다.4) 갑작스럽고 예기치 않은 사망이 약의 시판전 개발과정 동안, 투여 환자 2,203 (2,103명의 환자에 1년 이상 노출) 명 중, 8명이 사망했다. 이들 중 몇 명은 야간 중 관찰하기 어려운 간질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환자.년 당 0.0038의 사망발생율을 나타낸다. 이런 비율은 나이와 성에 대한 건강한 인구의 사망률보다는 높지만, 이 약을 투여하지 않은 다른 간질 환자에서의 갑작스러운 예기치 못한 사망 발생율의 추정 범위 안에 있는 것이다(전체 간질 환자에서의 발생률은 0.0005이며, 이 약의 경우와 유사한 임상시험 대상 환자 중의 발생률은 0.003이고, 치료불응성 간질환자에서의 발생률은 0.005이다.). 결과적으로 이 수치들이 확실한 것인지 더 증가될 것인지는 보고된 환자군 근거와 평가의 정확성에 따라 좌우한다.5) 이 약 투여 환자에서 출혈성 췌장염이 보고된 바 있다. 췌장염(지속적 상복부통, 구역, 재발성 구토)의 임상적 징후를 보이는 즉시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여야 한다.6) 신경정신계 이상반응: 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의 소아환자(효능효과 중 “만3세이상 소아”가 해당되는 제제에 한함)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의 소아 간질환자에 이 약의 투여는 중추신경계관련 이상반응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 가장 중요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1) 감정적 불안정(주로 행동이상)(2) 적개심(공격적인 행동을 포함)(3) 사고이상(집중 문제와 학업수행의 변화)(4) 운동과다(주로 쉼 없는 과도한 활동)이 약 투여환자에서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경증에서 중등도이었다. 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 소아환자의 대조임상시험에서 이상반응은 감정적 불안정(가바펜틴 투여군 6%, 대조군 1.3%), 적개심(5.2%, 1.3%), 운동과다(4.7%, 2.9%), 그리고 사고이상(1.7%, 0%)이었다. 이 중 적개심은 심각한 이상반응으로 간주되었다. 감정적 불안정 및 운동과다로 보고된 환자의 1.3%, 그리고 적개심 및 사고이상으로 보고된 환자의 0.9%에서 이 약 투여를 중단하였다. 위약을 투여한 1명의 환자에서 감정적 불안정으로 시험을 중단하였다. 2.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거나 그 ���력이 있는 환자2) 급성췌장염 환자3) 전신 소발작(absence seizure) 혹은 이를 포함하는 발작 혼합 환자(유효하지 않음)4)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3. 다음 환자(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1) 신기능 장애 환자2) 고령자(65세 이상)3) 정신병의 병력이 있는 환자4) 주의력결핍장애 또는 행동장애가 있는 소아5)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임신을 원하는 여성6) 수유부7) 소아와 청소년에게 36주 이상 투여하는 경우8)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에 5개월 이상 투여하는 경우 4. 이상반응1) ‘간질’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2,000명 이상의 피험자 및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을 부가요법으로 투여하여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우수한 내약성을 나타내었다. 이중 대조임상시험에 참가한 환자는 543명이었다. 이 약은 대부분 다른 항전간제와 병용요법으로 투여되었기 때문에 이상반응이 어떤 약제와 연관된 것인지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6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단독요법으로서 이 약이 평가되었으며, 이상반응은 보통 경증.중등도로 나타났다.(1) 부가요법으로 투여한 대조임상시험에서의 이상반응의 빈도만 13세 이상의 부분발작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을 부가요법으로 투여한 위약, 대조임상시험에서 적어도 1% 이상 발현한 이상반응을 [표1]에 요약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환자가 복용하고 있던 항전간제에 가바펜틴 및 위약을 추가로 투여하였으며, 이상반응은 보통 경증에서 중등도로 나타났다.[표1] [표1] 만 13세 이상 환자에서 가바펜틴을 부가요법으로 투여한 위약, 대조임상시험에서 1%이상 발현한 이상반응 요약 COSTART 가바펜틴a (N=543) 위약a (N=378) 신체계/이상반응 환자수 % 환자수 % 전신 복통 10 1.8 9 2.4 요통 10 1.8 2 0.5 피로 60 11 19 5 열 7 1.3 5 1.3 두통 44 8.1 34 9 바이러스 감염 7 1.3 8 2.1 심혈관계 혈관확장 6 1.1 1 0.3 소화기계 변비 8 1.5 3 0.8 치아 비정상 8 1.5 1 0.3 설사 7 1.3 8 2.1 소화불량 12 2.2 2 0.5 식욕증가 6 1.1 3 0.8 구갈 또는 목마름 9 1.7 2 0.5 구역 및/혹은 구토 33 6.1 27 7.1 혈액 및 림프계 백혈구감소증 6 1.1 2 0.5 대사 및 영양 말초부종 9 1.7 2 0.5 체중증가 16 2.9 6 1.6 근골격계 골절 6 1.1 3 0.8 근육통 11 2 7 1.9 신경계 기억상실 12 2.2 0 0 운동실조 68 12.5 21 5.6 착란 9 1.7 7 1.9 협조기능이상 6 1.1 1 0.3 우울증 10 1.8 4 1.1 어지러움 93 17.1 26 6.9 구음장애(실어증) 13 2.4 2 0.5 감정적 불안정 6 1.1 5 1.3 불면증 6 1.1 7 1.9 신경과민반응 13 2.4 7 1.9 안구진탕증 45 8.3 15 4 졸음 105 19.3 33 8.7 사고이상 9 1.7 5 1.3 진전 37 6.8 12 3.2 단일수축 7 1.3 2 0.5 호흡기계 기침 10 1.8 5 1.3 인두염 15 2.8 6 1.6 비염 22 4.1 14 3.7 피부 및 부속기계 마멸 7 1.3 0 0 여드름 6 1.1 5 1.3 가려움 7 1.3 2 0.5 발진 8 1.5 6 1.6 특수감각 약시 23 4.2 4 1.1 복시 32 5.9 7 1.9 비뇨생식기계 발기불능 8 1.5 4 1.1 a 항전간제의 병용투여 포함(2) 모든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다른 이상반응① 부가요법위약, 대조임상시험에서 가바펜틴을 부가요법으로 투여한 간질환자의 적어도 1%이상에서 나타났고,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전신: 무력, 권태감, 얼굴 부종- 심혈관계: 고혈압- 소화기계: 고창, 식욕부진, 치은염- 혈액 및 림프계: 대부분 신체적 외상으로 보고된 자색반- 근골격계: 관절통- 신경계: 어지러움, 운동과다증, 반사운동의 증가, 감소 혹은 결여, 감각이상, 불안, 적개심- 호흡기계: 폐렴- 비뇨기계: 요로감염증- 특수감각: 대부분 시력장애로 보고된 시각이상② 단독요법가바펜틴을 단독요법으로 투여한 임상시험에서 새로운, 예상되지 않은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300 mg/day와 3,600 mg/day를 비교했을 때 용량연관성을 보이며 다음의 이상반응이 나타났다: 어지러움, 운동실조, 졸음, 감각이상, 안구진탕증③ 기타가바펜틴은 모든 임상시험 중에 만 13세 이상 환자 2,074명에게 투여되었으며 이들 중 단지 일부만이 위약대조시험에 참가한 환자들이었다. 이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모든 이상반응들은 임상연구자들이 선택한 용어로 기록되었다.개개인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비율에 대한 의미있는 평가를 위해서, 유사한 유형의 이상반응들은 COSTART 사전용어를 사용하여 좀더 적은 수의 표준분류군으로 그룹화하여 아래에 기재하였다. 표현된 빈도는 이 약에 노출된 2,074명 중 이 약을 투여받는 중에 최소 1번 이상 아래에 언급된 이상반응을 경험한 환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모든 보고된 이상반응은 이미 위에 기재된 것, 너무 일반적이어서 정보가 될 수 없는 것, 그리고 합리적으로 보아 약물의 사용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을 제외하고 아래에 포함되어 있다.자주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적어도 100명당 1명(1/100), 때때로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100-1,000명당 1명 발생하는 사건(1/100-1/1000), 그리고 드물게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1,000명당 1명 미만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신:자주: 무력증, 권태, 얼굴 부종때때로: 알레르기, 전신 부종, 체중감소, 오한드물게: 낯선 느낌, 무기력, 알코올 불내성, 숙취효과- 심혈관계:자주: 고혈압때때로: 저혈압, 협심증, 말초혈관장애, 심계항진, 빈맥, 편두통, 잡음드물게: 심방세동, 심부전, 혈전성정맥염, 심부 혈전성정맥염, 심근경색, 뇌혈관성 사고, 폐혈전증, 심실기외수축, 서맥, 미성숙심방수축, 심장막 마찰, 심차단, 폐색전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심막삼출액, 심막염- 소화기계:자주: 식욕부진, 고창, 치은염때때로: 설염, 잇몸출혈, 갈증, 구내염, 타액분비증가, 위장염, 치핵, 혈변, 변실금, 간비대드물게: 연하곤란, 트림, 췌장염, 위궤양, 대장염, 구내수포, 치아변색증, 구각염, 타액선거대증, 입술출혈, 식도염, 열공성헤르니아, 토혈, 직장염, 과민성대장증후군, 직장출혈, 식도경련- 내분비계:드물게: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비대, 저에스트로젠, 난소부전, 부고환염, 고환팽윤, cushingoid 외양- 혈액과 림프계:자주: 외상으로 인한 멍 같은 자색반때때로: 빈혈, 림프절병증, 혈소판감소���드물게: 백혈구수 증가, 림프구증가증, 비홉킨스 림프종, 출혈시간 증가- 근골격계:자주: 관절통때때로: 건염, 관절염, 관절강직, 관절팽화, 양성Romberg test드물게: 늑연골염, 골다공증, 주머니염, 구축- 신경계:자주: 어지러움, 운동과다, 감각이상, 반사 감소 또는 상실, 반사 증가, 불안, 적개심때때로: CNS 종양, 실신, 꿈이상, 실어증, 감각저하, 두개내출혈, 저긴장증, 이상감각, 불완전마비, 근긴장이상, 편마비, 안면마비, 혼미, 소뇌기능이상, 양성Babinski증후, 위치감각감소, 경뇌막하혈종, 무감동, 환각, 성욕의 감소 내지 상실, 초조, 편집병, 이인증, 이상황홀감, 고감(feeling high), 환각상태(doped-up sensation), 자살충동, 정신이상드물게: 무도병 아테토시스, 입주위 운동장애, 뇌질환, 신경마비, 인격장애, 성욕 증가, 기질억제, 실행증, 미세한 운동조절장애, 수막증, 국소 근간대경련, 지각과민, 운동기능감소증, 조증, 신경증, 히스테리아, 반사회적 반응, 자살행동- 호흡기계:자주: 폐렴때때로: 코피, 호흡곤란, 무호흡드물게: 점막염, 흡인성폐렴, 과호흡, 딸꾹질, 후두염, 코막힘, 코를곪, 기관지경련, 저호흡, 폐부종- 피부:때때로: 탈모, 습진, 피부건조, 발한증가, 두드러기, 남성형 다모증, 지루, 낭포, 단순포진드물게: 대상포진, 피부변색, 피부구진, 광민감증, 다리궤양, 두피지루, 건선, 표피탈락, 짓무름, 피부소결절, 피하소결절, 흑색증, 피부괴사, 국소팽윤- 비뇨생식기계:때때로: 혈뇨증, 배뇨장애, 빈요, 방광염, 요저류, 요실금, 질출혈, 무월경, 월경이상, 월경과다, 유방암, 무절정, 사정이상드물게: 신장 통증, 백대하, 생식기 가려움증, 신결석, 급성신부전, 무뇨증, 당뇨, 신염, 야뇨증, 농뇨증, 요절박, 질통증, 유방통, 고환통- 특수감각:자주: 시력 이상때때로: 백내장, 결막염, 안건조, 안통, 눈부심, 양측성 내지 일측성 안검하수증, 안출혈, 맥립종, 청각상실, 귀의 통증, 이명, 내이염, 귀의 염증, 미각상실, 미각이상, 눈연축, 이(耳)충만드물게: 눈 가려움, 조절이상, 고막천공, 잡음에 민감(청각과민증), 안촛점이상, 유루, 망막증, 녹내장, 홍채염, 각막장애, 누액기능장애, 눈퇴화, 실명, 망막퇴화, 축동, 맥락막망막염, 사시, 유스타키오관 기능이상, 내이염, 외이염, 후각이상④ 소아에 대한 투여 (효능효과 중 “만3세이상 소아”가 해당되는 제제에 한함)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의 간질환자에 이 약을 다른 항전간제와 병용 투여하였을 때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났으며 위약투여군과 동일한 빈도로 나타나지 않은 이상반응은 바이러스성 감염, 열, 구역 및/혹은 구토, 졸음이었다.[표2] [표2] 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 환자에 부가요법으로 투여한 대조임상시험에서 발현된 이상반응 발생 빈도(가바펜틴을 투여한 환자 중 적어도 2%에서 나타났으며 수치상 위약군보다 더 빈도가 높게 나타난 이상반응) 신체계/이상반응 이 약 N=119 (%) a 위약 N=128 (%)a 전신 바이러스성 감염 10.9 3.1 열 10.1 3.1 체중증가 3.4 0.8 피로 3.4 1.6 소화기계 구역 및/혹은 구토 8.4 7 신경계 졸음 8.4 4.7 적개심 7.6 2.3 감정적 불안정 4.2 1.6 어지러움 2.5 1.6 운동과다증 2.5 0.8 호흡계 기관지염 3.4 0.8 호흡기 감염 2.5 0.8 a: 다른 항전간제의 병용투여 포함소아환자의 2% 이상에서 나타났으며, 위약 처치군과 빈도가 같거나 빈도가 더 많이 나타난 다른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인두염, 상기도 감염, 두통, 비염, 경련, 설사, 식욕부진, 기침, 중이염.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 환자 449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기간 동안에 발생한,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전신: 탈수, 전염성단핵세포증가증- 소화기계: 간염- 혈액 그리고 림프계: 혈액응고이상- 신경계: 조짐 소실, 후두 신경통- 정신생물학적 기능: 몽유병- 호흡기계: 가성크루프, 목이 쉼(3) 이상반응으로 인한 투여의 중단① 부가요법건강한 지원자 및 간질, 경련, 편두통 환자 2,000명 이상에게 이 약을 투여한 임상시험에서 대략 7%가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여를 중단하였다. 모든 임상시험에서, 이 약의 투여중단과 관련된 가장 빈번한 이상반응은 졸음, 운동실조, 어지러움, 피로, 구역 및/혹은 구토이었다. 거의 모든 참가자는 여러 이상반응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중 가장 주요한 것으로 간주될 만한 것은 없었다.② 단독요법시판전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단독요법으로 투여한 또는 단독요법으로 전환한 659명의 환자 중 대략 8%에서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여를 중단하였다. 투여 중단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이상반응은 어지러움, 신경과민, 체중증가, 구역 및/혹은 구토, 졸음이었다.③ 소아에 대한 투여임상 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만 3세 이상 만 12세 이하 환자 292명 중 대략 8%가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여를 중단하였다. 투여 중단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이상반응은 졸음, 운동과다증, 적대심이었다.2)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이상반응(1)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 이 약을 투여한 위약, 대조임상시험에서 1% 이상 발현한 이상반응은 [표3]과 같다.[표3] [표3]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 가바펜틴을 투여한 위약, 대조임상시험에서 1%이상 발현한 이상반응 요약 COSTART 이 약 N=821 (%) 위약 N=537 (%) 신체계/이상반응 환자수 % 환자수 % 전신 복통 23 2.8 17 3.2 사고로 인한 상해 32 3.9 17 3.2 무력증 41 5 25 4.7 요통 19 2.3 8 1.5 감기 증후군 21 2.6 14 2.6 두통 45 5.5 33 6.1 감염 38 4.6 40 7.4 통증 30 3.7 36 6.7 소화기계 변비 19 2.3 9 1.7 설사 46 5.6 24 4.5 구강건조 27 3.3 5 0.9 소화불량 16 1.9 10 1.9 고창 14 1.7 6 1.1 구역 45 5.5 29 5.4 구토 16 1.9 13 2.4 대사 및 영양 말초부종 44 5.4 14 2.6 체중증가 14 1.7 0 0 신경계 보행이상 9 1.1 0 0 기억상실 15 1.8 3 0.6 실조 19 2.3 0 0 혼란 15 1.8 5 0.9 어지러움 173 21.1 35 6.5 감각저하 11 1.3 3 0.6 졸음 132 16.1 27 5 사고 이상 12 1.5 0 0 떨림 9 1.1 6 1.1 현훈 8 1 2 0.4 호흡기계 호흡곤란 9 1.1 3 0.6 인두염 15 1.8 7 1.3 피부 및 부속기계 발진 14 1.7 4 0.7 특수감각 약시 15 1.8 2 0.4 (2) 유효성이 확립되지 않은 일부 신경병증성 통증 상태를 포함한 이중맹검 및 개방형 임상시험에서 1,173명 환자로부터 얻어진 이상반응 중 위 표에서 열거된 것과 약물의 사용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들을 제외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자주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적어도 100명당 1명, 때때로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100-1,000명당 1명 발생하는 사건 (1/100-1/1000), 그리고 드물게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1,000명당 1명 미만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신:때때로: 흉통, 연조직염, 권태감, 경부의 통증, 얼굴 부종, 알레르기반응, 농양, 오한, 오한과 열, 점막이상드물게: 체취, 낭포, 열, 헤르니아, BUN치 이상, 경부의 종괴, 골반통, 패혈증, 바이러스 감염- 심혈관계:때때로: 고혈압, 실신, 심계항진, 편두통, 저혈압, 말초혈관장애, 심혈관장애, 뇌혈관성 사고, 울혈심부전, 심근경색, 혈관확장드물게: 협심증, 심부전, 모세혈관 취약성 증가, 정맥염, 혈전성정맥염, 정맥류성정맥- 소화기계:때때로: 위장관염, 식욕증가, 위장관이상, 구강모닐리아증, 위염, 혀 이상, 갈증, 치아 이상, 변 이상, 식욕부진, 간기능검사치 이상, 치주농양드물게: 담낭염, 담석증, 십이지장궤양, 배변 실금, 감마 글루타밀 트랜스펩티다제 증가, 치은염, 장폐색, 장궤양, 흑색변, 구강궤양, 직장 이상, 직장출혈, 구내염- 내분비계:때때로: 당뇨- 혈액과 림프계:때때로: 반상출혈, 빈혈드물게: 림프절병증, 림프종성 반응, 프로트롬빈 감소- 대사 및 영양:때때로: 부종, 통풍, 저혈당, 체중감소드물게: 알칼리성포스파타제 증가, 당뇨성 케톤산증, 락틱 디하이드로게나제 증가- 근골격계:때때로: 관절염, 관절통, 근육통, 관절증, 다리 경련, 근무력증드물게: 정강이뼈 통증, 관절 장애, 건 장애- 신경계:자주: 착란, 우울증때때로: 어지러움, 신경과민, 지각이상, 불면증, 신경병증, 성욕감소, 불안, 이인증, 반사감소, 언어장애, 꿈이상, 구음장애, 감정적 불안정, 안구진탕증, 혼미, 입주위 지각이상, 이상황홀감, 지각과민, 운동기능감소증, 자살시도드물게: 초조, 긴장항진, 성욕 증가, 운동장애, 근간대경련, 전정장애- 호흡기계:때때로: 기침증가, 기관지염, 비염, 부비동염, 폐렴, 천식, 폐 이상, 비출혈드물게: 객혈, 변성- 피부 및 부속기:때때로: 가려움, 피부궤양, 피부건조, 대상포진, 피부이상, 진균성 피부염, 종기증, 단순포진, 건선, 발한, 두드러기, 수포성발진드물게: 여드름, 모발 이상, 반점구진성 발진, 손톱 이상, 피부암종, 피부변색, 피부비후- 특수감각:때때로: 시력이상, 귀의 통증, 눈 이상, 미각도착, 난청드물게: 결막충혈, 당뇨병성망막증, 안통, 안저의 미세출혈, 망막정맥혈전증, 미각상실- 비뇨생식기계:때때로: 요로감염증, 배뇨장애, 발기불능, 요실금, 질모닐리아증, 유방통, 월경이상, 다뇨증, 요저류드물게: 방광염, 사정이상, 음경팽창, 여성형유방, 야뇨증, 신우신염, 음낭팽창, 빈뇨, 긴박뇨, 요 이상3) 시판 후 조사에서 보고된 이상반응돌연사가 이 약 치료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추가적으로 시판후에 보고된 이상반응은 혈중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증가, 횡문근융해, 급성신부전, 두드러기를 포함한 알레르기반응, 탈모, 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 고혈당증 및 저혈당증(대부분 당뇨병 환자에서 관찰됨), 유방비대, 흉통, 호산구 증가와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발진(DRESS), 간기능 검사치 상승(LFTs), 다형홍반, 낙상, 전신부종, 여성형 유방증, 환각, 간염, 전신반응을 포함한 과민증, 저나트륨혈증, 황달, 의식상실, 무도병 아테토시스와 같은 운동이상, 운동장애, 근긴장이상, 간대성근경련증, 심계항진, 췌장염, 성기능장애(성욕 변화, 사정 장애 및 성감이상증 포함), 피부점막안증후군(스티븐스.존슨 증후군), 혈소판감소증, 이명, 요실금 등이다. 또한, 이 약의 갑작스런 중단에 따른 이상반응이 보고되었으며,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이상반응은 불안, 불면증, 구역, 통증, 발한이었다.4) 항전간제를 치료받은 환자는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우울증의 발현 또는 악화 및 기분과 행동의 비정상적 변화를 보인다. 11종의 다른 항전간제를 사용하여 199개�� 위약-대조 임상 시험(단독요법과 부가요법)을 분석한 결과 항전간제 복용환자는 위약 투여환자와 비교시 약 2배의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의 위험을 보였다. 12주의 치료기간 동안 자살행동 또는 자살충동 발생율은 27,864명의 항전간제 치료환자에서 0.43%였으며 16,029명의 위약 투여 환자에서는 0.24%였다. 이는 치료받은 530명 환자 중 한명은 자살 충동 또는 자살 행동을 보인 것을 의미한다. 동 약물 치료 환자에서 4건의 자살이 있었고 위약 치료 환자에서의 자살은 없었다. 그러나, 자살 예수가 너무 적어 이 약과 자살의 연관성을 결론지을 수는 없다. 항전간제 복용에 의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의 위험증가는 약물치료를 시작 초기 1주에 관찰되었고 치료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대부분의 임상시험은 24주 이상을 초과할 수 없었으며 24주를 초과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의 위험은 평가할 수 없었다.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위험은 분석된 11종의 항전간제에서 일관적이었다. 다양한 작용기전과 사용범위를 가진 항전간제에서의 위험성 증가는 어떤 효능으로든 사용된 모든 항전간제에 대해서도 위험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그 위험성은 분석된 임상시험에서 연령(5-100세)에 따라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5) 의약품 시판 후 이상사례 보고자료(1989-2017년6월)를 토대로 실마리정보 분석·평가 결과 새로 확인된 이상사례는 다음과 같다. 다만, 이로써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신경계-혀마비(일시적증상) 5. 일반적 주의1) 환자 및 보호자에게 항전간제가 우울증의 징후 및 증상의 발현 또는 악화, 비정상적 기분과 행동의 변화, 자살충동 및 자살행동 또는 자해충동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려 환자에게 이러한 증상 또는 행동이 발현될 경우 즉시 의료전문가에게 보고될 수 있도록 한다.2) 이 약 복용 시 rebound seizure의 증후는 없지만 간질 환자가 항전간제를 갑자기 중단하면 간질 지속증을 일으킬 수 있다(용법·용량 참고).3) 환자들에게 처방된 대로 이 약을 복용하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이 약의 투여는 우연한 상해(낙상)의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어지러움 및 졸음과 연관이 있었다. 또한 시판 후 조사에서 혼동, 의식상실 및 정신 장애가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이 약의 잠재적인 영향에 익숙해질 때까지 주의하도록 알려주어야 한다. 또한 이 약 투여로 주의력/집중력/ 반사운동능력의 저하, 기타 중추신경계 억제 증후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환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반응으로 환자들의 정신이나 운동행위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이 약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얻을 때까지는 운전이나 복잡한 기계를 작동시키는 일 등은 피하도록 충고한다.4) 아편유사제를 병용투여 시 가바펜틴의 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아편유사제의 병용투여가 필요한 환자는 졸음, 진정 및 호흡 억제와 같은 중추신경계 억제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이 약 또는 아편유사제의 투여용량을 적절히 감소시켜야 한다.5) 신기능이 손상된 환자에 대하여는 투여량을 감량하여야 한다.6) 만성 췌장염 환자에 대한 경험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7) 이 약의 투여로 인해 체중증가가 나타나는 일이 있으므로 비만에 주의하고, 비만의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등의 적절한 처치를 시행한다. 특히 투여량 증가 또는 장기투여로 인해 체중 증가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한다.8) 이 약의 투여로 인해 약시, 시각이상, 복시 등의 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진찰시에 눈의 장애에 관해 문진을 하는 등 주의를 기울이고,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 적절한 처치를 한다.9) 호산구 증가와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발진가바펜틴을 포함한 항전간제 복용 환자에서, 호산구 증가와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발진(DRESS)과 같은 중증의 생명을 위협하는 전신 과민 반응이 보고되었다. 발진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발열이나 림프절병증 같은 과민증의 초기 소견이 나타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환자를 평가해야 하며, 다른 병인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가바펜틴의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가바펜틴의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환자에게 발진 또는 발열이나 림프절병 같은 과민증의 다른 증상이나 징후가 나타날 수 있고 그로 인해 심각한 위험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그런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담당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미리 알려줘야 한다.10) 아나필락시스와 혈관부종이 약은 아나필락시스와 혈관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 보고된 사례에서 징후 및 증상은 호흡곤란, 입술/목/혀의 부종, 응급처치가 필요한 저혈압을 포함하였다. 환자는 아나필락시스 또는 혈관부종의 징후 및 증상을 경험하면, 이 약 투여를 중단하고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한다.11) 남용과 의존성시판 후 자료에서 남용 및 의존성의 사례가 보고되었다. 다른 중추신경계 활성 약물과 같이, 환자에서 약물남용의 병력을 주의깊게 평가하고 가바펜틴 남용의 가능한 징후에 대해 관찰한다. 6. 상호작용 1) 가바펜틴과 아편유사제의 사용과 관련하여 호흡 억제 및/또는 진정에 대한 자발보고 및 문헌사례 보고가 있었다.2) 모르핀: 건강한 지원자(n=12)를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60 mg의 서방형 모르핀 캡슐이 600 mg의 가바펜틴 캡슐을 투여하기 2시간 전에 투여되었다. 이 약을 단독투여 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가바펜틴의 평균 AUC가 44%까지 증가되었으며, 이것은 통증 역치의 증가(cold pressor test)와 관련이 있었다. 이런 변화에 대한 임상적인 유의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시험에서 모르핀을 투여한 2시간 후에 이 약을 투여하였을 때, 모르핀의 약동학적 파라메터에는 영향이 없었다. 모르핀과 이 약을 병용투여하였을 때 관찰된 아편유사제제 매개성 이상반응은 모르핀과 위약을 병용투여하였을 때 나타난 것과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다른 용량에서의 상호작용은 알려지지 않았다.3) 이 약과 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발프로산 또는 카르바마제핀 사이에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가바펜틴의 항정상태 약물동태는 건강한 피험자와 위의 항전간제를 투여받는 간질환자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4) 노르에틴드론 및/혹은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을 함유하는 경구피임약과 이 약의 병용투여는 각 성분의 항정상태 약물동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알루미늄·마그네슘 복합 제산제와 이 약의 병용투여는 가바펜틴의 생체이용율을 약 20% 정도 감소시킨다. 이 약은 제산제 투여 후 최소 2시간 경과 후에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6) 가바펜틴의 신장배설은 프로베네시드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7) 시메티딘과 병용투여 시 관찰된 가바펜틴 신장배설의 경미한 감소는 임상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지 않는다.8) 알코올 또는 중추신경계작용 약물의 남용으로 이 약의 중추신경계 이상반응을 악화시킬 수 있다.9) 나프록센나트륨과 병용투여시 가바펜틴의 흡수를 12%-15%까지 증가시킨다.10) 하이드로코돈과 병용투여시 가바펜틴의 용량에 비례하여 하이드로코돈의 Cmax 와 AUC치를 감소시킨다(가바펜틴 125 mg 투여 후 하이드로코돈의 Cmax와 AUC는 각각 3%, 4% 낮았고, 가바펜틴 500 mg 투여 후 하이드로코돈의 Cmax와 AUC는 각각 21%, 22% 낮았다). 하이드로코돈은 가바펜틴의 AUC값을 14% 더 높인다. 다른 용량에 있어서 상호작용 정도에 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7.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1) 임부를 대상으로 한 적절한 시험자료는 없다. 동물생식실험의 결과를 근거로 인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을 항상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이 약은 치료상의 유익성이 태아에 대한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임부에 투여한다.2) 가바펜틴은 모유 중으로 분비된다. 수유 중인 유아에 대한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이 약을 수유부에 투여할 때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 약은 수유부에게 사용 시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할 경우에만 투여해야 하며, 이 약 투여 시 수유하지 않는다.3) 동물시험에서 생식능에 미��는 영향은 없었다(1 3. 기타-전임상 자료 참조: 생식능력이상). 8. 소아에 대한 투여 1) 만 3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2) 만 13세 미만의 소아에서 이 약 단독요법에 대한 충분한 경험이 없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복용한 65세 이상 59명의 환자들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의 종류는 젊은 환자층에서 보고된 것과 다르지 않았다. 고령의 환자의 경우 졸음, 말초 부종 및 무기력증이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다. 이 약은 신기능을 고려하여 용량이 조절되어야 한다(용법용량 참조). 10. 임상검사치에의 영향이 약을 다른 항전간제와 함께 투여 시 Ames N-Multistix SG dipstick test에서 위양성 판독이 보고되었으므로 요단백 측정을 위해서는 더 특이적인 설포살리실산 침전법이 추천된다. 11. 과량투여시의 처치급성,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은 49 g까지의 과량 투여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과량 투여시의 증상은 어지러움, 복시, 분명치 않은 발음, 졸음, 의식상실, 기면, 혼수, 경미한 설사를 포함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지지요법(supportive care)으로 충분히 회복되었다. 더 높은 용량을 복용 시 이 약의 흡수가 저하되는 현상은, 과량 투여 시 약물흡수가 제한될 수 있고 따라서 과량 복용시의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CNS 억제제와 병용해서 이 약을 과량 투여하는 경우 혼수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이 약이 혈액투석으로 제거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전의 경험으로 비추어 볼 때 일반적으로 혈액투석은 필요치 않다. 그러나, 중증의 신부전이 있는 환자는 혈액투석이 요구될 수 있다. 이 약의 경구 치사용량은 8,000 mg/kg이 투여된 마우스와 랫드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동물에서 급성 독성 증상은 운동실조, 호흡곤란, 안검하수, 활동저하 또는 흥분을 포함하였다.1 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2)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보관한다.1 3. 기타1) 환자를 위한 정보이 약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환자들에게 아래의 사항을 따르도록 지시하여야 한다.(1) 처방 및 처방 없이 복용하는 약, 알코올, 혹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 및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에 복용할 계획인 약들이 있다면 담당의사에게 알려야 한다.(2) 임신 중이거나 임신할 계획이 있는 경우, 혹은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에 임신이 되었다면 담당의사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3) 이 약은 모유 중으로 분비되며, 수유 중인 영아에 대한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 수유 중인 여성은 담당의사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 7.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참고).(4) 이 약은 운전 및 위험한 기계를 작동시키는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 약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얻을 때까지는 운전이나 복잡한 기계를 작동시키는 일 등은 피하도록 한다.(5) 효과의 저하로 인한 발작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약 투여 시 투여간격이 12시간 이상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1) 전임상 자료(1) 발암성이 약을 마우스에 200, 600 및 2,000 mg/kg/day, 랫드에 250, 1,000 및 2,000 mg/kg/day의 용량으로 2년 동안 먹이속에 투여하였다. 췌장세엽선암종 및 암종 발생율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는 최고용량을 복용한 수컷 랫드에서만 발견되었다. 랫드에서 2,000 mg/kg/day 농도에서 최고 혈장 약물농도는 인체에 3,600 mg/day로 투여된 혈장농도보다 10배 더 높았다. 수컷 랫드에서 췌장세엽선암종은 낮은 등급 악성종양으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주위 조직으로 전이���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였다. 수컷 랫드에서 이 췌장세엽선암종과 인체에서 발암성과의 상관성은 명확하지 않다.(2) 돌연변이성가바펜틴은 유전독성의 잠재성이 없다고 입증되었다. 세균 또는 포유동물 세포를 이용한 실험실상 표준방식에서 변이원성이 없었다. 가바펜틴은 실험실상 또는 생체내에서 포유동물세포에 구조적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햄스터의 골수에서 미핵형성을 유발하지 않았다.(3) 생식능력이상태자 또는 생식에 대한 이상반응은 랫드에서 2,000 mg/kg 용량까지 관찰되지 않았다(mg/m2를 기준으로 할 때 인체 1일 최대 용량의 약 5배).(4) 기형발생가바펜틴은 마우스, 랫드, 토끼에 인체 1 일 최대용량인 3,600 mg의 각 50, 30, 25배로 투여 시, 대조군과 비교하여 기형발생의 빈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mg/m2을 기준으로 인체 1 일 용량의 4, 5, 8배). 설치류에서 태자성장지연현상인 두개, 척추, 앞발, 뒷발에 골화 지연을 유발하였다. 이 효과는 임신한 마우스가 기관형성기 동안 1,000 내지 3,000 mg/kg/day 경구 용량 투여 시 그리고 교배이전과 교배동안 및 임신동안 랫드에 500, 1,000, 또는 2,000 mg/kg/day 투여 시 나타났다. 이는 mg/m2기준으로 인체 1일 최대 용량의 대략 1에서 5배에 해당되는 용량이다. 반면, 임신한 마우스에 500 mg/kg/day (mg/m2 기준으로 인체 1일 용량의 약 1/2) 투여 시에는 어떤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물요관증과 수신증이 대조군보다 높은 발생빈도로 나타나는 경우는 생식능 및 일반생식독성 시험 시 2,000 mg/kg/day에서, 기형발생 연구 시 1,500 mg/kg/day에서, 주산수유기 연구 시 500, 1,000, 2,000 mg/kg/day에서였다. 이 상관관계의 유의성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들은 발달 지연과 관련이 있다. 이 용량은 mg/m2로 인체용량 3,600 mg의 약 1-5배이다. 토끼의 기형발생 연구에서 착상 후 태자사망율의 증가는 기관형성기 동안 60, 300, 1,500 mg/kg/day 투여 용량에서 나타났다. 이 용량은 mg/m2로 인체용량 3600 mg 의 약 1/4-8배이다. 말띠 - 장기적인 안목으로 차분히 준비하라. 지금 당장 눈 앞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큰 그림을 그려 큰 것을 얻으려 생각하고 고민할 때이다. 54년생 : 허영에 매달리면 일시적인 안위는 해소되지만, 근본적 해결방법이 되지 않는다. 66년생 : 그 ���느 때보다도 활력이 넘치는 하루를 보낼 수 있겠다. 78년생 : 비교적 안정된 상황에서 순조로운 일의 진행이 예견되는 하루다. 90년생 : 고달픈 심신을 위로하는 것은 결국 자신의 몫일 뿐이다. 02년생 : 전화위복으로 바뀔 것이다. 귀인까지 나타나 도와주니 더 바랄 게 없다.
0 notes
jhqwrhbajuf · 5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성경암송카드 지혜의 말씀 - 편집부 성경암송카드이다. 성경의 원래 구절 뿐만 아니라 역사 속 이야기를 비롯한 다양한 이야기를 함께 실어 성서와 함께 여러 가지 공부를 병행할 수 있다. 은혜, 구원, 축복, 생명, 약속, 지혜 등 총 6종으로 구성되었다. 시노카엔캡슐 외형정보 · 성상 : 백색의 분말이 든 상부는 담청색, 하부는 백색의 경질 캅셀제· 제형 : 경질캡슐· 모양 : 장방형· 색상 : (앞)파랑, (뒤)하양· 식별표기 : 현대약품 시노카N 성분정보 벨라돈나총알칼로이드 0.13mg,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4mg, 페닐레프린염산염 3.33mg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 ~ 30℃)보관 효능효과 코감기(급성비염(코염)), 알레르기성 비염(코염) 또는 부비동염에 의한 다음 증상의 완화 : 코막힘, 콧물, 재채기, 눈물, 인후통(목구멍 통증), 머리무거움 용법용량 성인 : 1회 1캅셀씩 1일 3회 식후 복용한다. 복용간격은 4시간 이상으로 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1. 경고1)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간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2.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지 말 것.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대한 과민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사람2)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 다른 해열진통제, 감기약 복용 시 천식을 일으킨 적이 있는 사람3) 만3개월 미만의 영아(젖먹이, 갓난아기)4) MAO억제제(항우울제, 항정신병제, 감정조절제, 항파킨슨제 등)를 복용하고 있거나 복용을 중단한 후 2주 이내의 사람 3.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의 약을 복용하지 말 것.1) 진해(기침을 그치게 함)거담제(가래약), 다른 감기약, 해열진통제, 진정제, 항히스타민제를 함유하는 내복약(비염(코염)용 경구제, 멀미약, 알레르기용약) 4.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행위를 하지 말 것1) 이 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이 함유되어 있다. 다른 아세트아미노펜 제품과 함께 복용하여 일일 최대용량(4,000mg)을 초과할 경우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과 함께 복용해서는 안 된다. 5.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1) 이 약은 황색5호(선셋옐로우 FCF, Sunset Yellow FCF)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 성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병력이 있는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6.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 할 것.1) 수두 또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되어 있거나 또는 의심되는 영아(젖먹이, 갓난아기) 및 만 15세 미만의 어린이(구역이나 구토를 수반하는 행동의 변화가 있다면, 드물지만 심각한 질병인 레이증후군의 초기 증상일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할 것.)2) 만 3 개월 미만의 영아(젖먹이, 갓난아기)에는 복용을 피하고 만 3개월 이상인 경우도 만 2세 미만의 영아(젖먹이, 갓난아기).유아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며,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이약을 복용시키지 않도록 한다. 만 2세 미만 영아(젖먹이, 갓난아기).유아에게 이 약을 투여할 경우 보호자에게 알리고 주의 깊게 모니터해야 한다.3) 본인, 양친 또는 형제 등이 두드러기, 접촉성피부염,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비염(코염), 편두통, 음식물알레르기 등을 일으키기 쉬운 체질을 갖고 있는 사람4) 지금까지 약에 의해 알레르기 증상(예 : 발열, 발진, 관절통, 천식, 가려움증 등)을 일으킨 적이 있는 사람5) 간장질환, 신장(콩팥)질환, 심장질환, 갑상선질환, 당뇨병, 고혈압, 위십이지장궤양, 녹내장(예 : 눈의 통증, 눈이 침침함 등), 배뇨(소변을 눔)곤란 등이 있는 사람, 고령자(노인), 몸이 약한 사람 또는 고열이 있는 사람6) 속쓰림, 위부불쾌감, 위통과 같은 위장문제가 지속 혹은 재발되거나 궤양, 출혈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7)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8)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당뇨약, 통풍약, 관절염약, 항응고제, 스테로이드제 등 다른 약물을 투여 받고 있는 사람)9) 다음과 같은 기침이 있는 사람흡연, 천식,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과도한 가래가 동반되는 기침, 1주 이상 지속 또는 재발되는 기침, 만성 기침, 발열·발진이나 지속적인 두통이 동반되는 기침 7.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 시 가능한 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1) 이 약의 복용에 의해 다음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발진·발적(충혈되어 붉어짐), 가려움, 구역·구토, 식욕부진, 변비, 부종(부기), 배뇨(소변을 눔)곤란, 목마름(지속적이거나 심한), 어지러움, 불안, 떨림, 불면2)이 약의 복용에 의해 드물게 아래의 중증(심한 증상) 증상이 나타난 경우① 쇽(아나필락시) : 복용후 바로 두드러기, 부종(부기), 가슴답답함 등과 함께 안색이 창백하고, 손발이 차고, 식은땀, 숨쉬기 곤란함 등이 나타날 수 있다.② 피부점막안증후군(스티븐스-존슨증후군), 중독성표피괴사용해(리엘증후군) : 고열을 동반하고, 발진·발적(충혈되어 붉어짐), 화상과 같이 물집이 생기는 등의 심한 증상이 전신피부, 입이나 눈점막에 나타날 수 있다.③ 천식④ 간기능장애 : 전신의 나른함, 황달(피부 또는 눈의 흰자위가 황색을 띄게 됨)등이 나타날 수 있다.⑤ 간질성폐렴 : 기침을 동반하고, 숨이 차고, 호흡곤란, 발열 등이 나타난다.3) 5~6회 복용하여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을 경우 8. 기타 이 약의 복용시 주의할 사항1) 정해진 용법·용량을 잘 지킬 것.2) 장기간 계속 복용하지 말 것.3) 복용시에는 음주하지 말 것.4) 복용하는 동안 졸음이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자동차 운전 또는 기계류의 운전 조작을 피할 것.5) 바르비탈계 약물, 삼환계 항우울제 및 알코올을 투여한 환자는 다량의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사시키는 능력이 감소되어 아세트아미노펜의 혈장 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9. 저장상의 주의사항1)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할 것2) 직사광선을 피하고 될 수 있는 한 습기가 적은 서늘한 곳에(밀폐하여) 보관할 것 3) 오용(잘못 사용)을 막고 품질의 보존을 위하여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지 말 것.
0 notes
sportscom · 1 year ago
Text
축농증, 이제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극복하세요! | 축농증 치료, 축농증 증상, 축농증 원인, 자연 치료, 민간요법
축농증, 이제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극복하세요! | 축농증 치료, 축농증 증상, 축농증 원인, 자연 치료, 민간요법 만성적인 코막힘, 콧물, 두통, 후각 감퇴 등으로 고통받고 계신가요? 혹시 축농증을 의심하고 계신가요? 축농증은 코 안쪽 부비동에 염증이 생겨 끈적끈적한 콧물이 고여 괴로움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축농증은 원인에 따라 급성 축농증과 만성 축농증으로 나뉘며, 감기, 알레르기, 비염, 코 안쪽 구조의 이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축농증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며, 특히 자연 치료와 민간요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소개합니다. 축농증으로 고통받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축농증…
0 notes
postshare-korea · 8 years ago
Text
'코막힘'을 해결할 수 있는 6가지 방법
‘코막힘’을 해결할 수 있는 6가지 방법
▼ 사진출처 : PIXABAY(이하) 코막힘 만큼 답답한 것도 없다. 최근 해외 온라인 미디어 위티피드(wittyfeed)는 코가 막혔을 때 해결해주는 6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집에서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이 자연적이고 효과적인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허브 차 마시기 시나몬 스틱 반개, 레몬 반개, 생강 3cm, 강황 테이블스푼 반개와 약간의 카옌(cayenne)가루를 3컵을 넣은 물과 함께 끓여주기만 하면 된다. 하루 3번, 기호에 따라 꿀을 첨가해 복용하면 증상완화에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http://postshare.co.kr/wp/wp-content/themes/viralnova/js/ad_google.js 2. 후추 후추는 소화에 도움을 주고 내장에 있는 가스를 없애며…
View On WordPress
0 notes
edwordgustav · 5 years ago
Text
코로나19 바이러스 코막힘 일반 감기 콧물 재채기 차이점
���로나19 바이러스 코막힘 일반 감기 콧물 재채기 차이점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많은 사망자수를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아비규환의 상태에 빠져있는 상태로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상과 일반 감기 코막힘,콧물,재채기등으로도 감염이 된것이 아닌가 걱정을 하는 분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경우 초기 중국의 우한이라는 지역에서 패렴증상으로 시작되어 이름 또한 “우한폐렴“이라고 불리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증상이 일반 감기와 매우 유사해서 혼돈이 있는 가운데 비염이나 코막힘등의 증상으로 현재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걸린것이 아닌가 걱정하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과연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와 코막힘 증상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View On WordPress
0 notes
meterlog · 6 years ago
Text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비염을 앓은지 한 20년정도 되었다.
비염을 앓으면서 가장 힘들었던 증상은 주로 맑은콧물이 주르륵 하고 흐르는 것과 재채기.
작년 겨울부터 여자친구가 사다준 프로폴리스를 매일같이 먹어온 덕분인지 최근에는 위에 적은 증상은 좀 줄었지만, 최근에는 코막힘 증상이 있다.
그러고보니 얼마전,
중학생 때 부터 다니던 병원에 갔을때 의사선생님과 나눈 대화가 떠오른다.
선생님 : “요새는 증상이 좀 어때요?”
나 : “딱히 심하진 않아요 하하하”
선생님 :(혀를 끌끌 차면서) “한쪽 코가 아예 막혀있는데. 계속 막혀있으니 막힌줄도 모르는구만...”
나 : (ㄷㄷㄷ)
그 때 부터 였던가..
코막힘이 신경쓰이기 시작한지...
코뼈가 휘어서 잘 막히는건 예전부터 알고있었지만 크게 신경써본적은 여지껏 없었다
근데 최근들어 다른 한 쪽도 막히는 날이 잦아서 그런지 코막힘이 많이 신경쓰이기 시작했다.
양쪽이 다 막히는 날에는 입으로만 숨을 쉬어서인지 가끔 어지럽고, 뇌에 산소가 부족한 느낌이 드는것 같기도 하고..
콧물이 흐르는건 그것대로 힘들고
코가 막히는건 숨을 쉬기 힘드니 또 힘들고
코로 숨을 쉴 수 있게되면 세상이 달라보일 정도로 편하다던데
나중에 수술이라도 해야하나 싶다
0 notes
helloelove · 7 years ago
Video
비염 코막힘 미간 코등 지압 안마 코 뻥뚫리네요
0 notes
hellokoreastory-blog · 8 years ago
Text
비중격 코수술 핵심 모아모아!
New Post has been published on http://hellokoreastory.info/%eb%b9%84%ec%a4%91%ea%b2%a9-%ec%bd%94%ec%88%98%ec%88%a0-%ed%95%b5%ec%8b%ac-%eb%aa%a8%ec%95%84%eb%aa%a8%ec%95%84/
비중격 코수술 핵심 모아모아!
비중격 코수술 핵심 모아모아!
삼성드림 코의 기준이 되다.
삼성드림 종로점으로 비중격 수 술 상담을 위해 찾아오시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그만큼 코의 내부적 기능을 개선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싶은 분들이 많다는 것이겠죠.
 하지만 수 술인 만큼 분명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때문에 오늘은 장점과 주의할 점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비중격 코수술은 축농증, 비염 등의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데요
이것들의 대표적 증상은 코막힘 인데요,
양쪽 콧구멍을 반으로 나누고 있는 비.중.격이 한쪽으로 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 정도가 더 심각하다면 외형적으로 휜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때는 환자분이 원하신다면 한 번에 휜코 교.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비중격 코수술 시 자연스럽게 채취되는 연골을 보형물로 사용할 수 있는데요. 
코의 염증, 코끝 처짐 등의 부작용을 예방하면서 자연스러운 라인이 가능합니다.
이제는 비중격 코수술 시 주의할 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수 술을 진행하는 의료기관에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상주하고 있는지 확인 하시는 것을 권유해드립니다
코는 인체의 호흡, 발성, 후각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코의 내부적 구조를 해박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비중격 코수술 진행시 과도하게 비중격을 채취할 경우 연골에 구멍이 뚫리거나, 안장 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코 해부학 구조를 잘 알고 있는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있는 의료기관이 좋겠지요.
저희 삼성드림은 코 중점 병원으로 코수.술 경험만 80,000례가 넘고
환자분이 직접 작성하신 자필후기가 2,300개 이상 존재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케이스를 경험해왔기 때문에 개인에 맞는 처방을 할 수 있겠죠
삼성드림 종로점에서 내외적 개선 후 만족한 환자분께서 남겨주�� 후기와 사진은 홈피나 본원에 내원하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모바일 및 온라인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니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종로점을 참고해 문의 부탁드립니다.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