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ext
강남 송파구 영어교습소인테리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아기자기한 컨셉
안녕하세요, 916 디자인입니다. 가정집의 경우 취향에 맞게 꾸미는 것이 최우선이지만 상가의 경우 다릅니다. 아무래도 해당 상가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방문하는 분들을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그래서 인테리어를 할 때에도 주로 방문하는 타깃층이 어떤 지에 따라서 분위기가 많이 바뀝니다. 예를 들어서 10대 20대의 경우 영하고 톡톡 튀는 분위기가 어울리고, 30대 40대는 고급지고 어느 정도 무게감이 느껴지는 분위기가 어울리죠. 물론 이것도 업종이 어떤 지에 따라 다릅니다. 가격대가 있고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프리미엄이라면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브랜드라면 좀 더 소프트하고 라이트한 느낌으로 갈 수 있습니다. 이렇듯 공간이라는 것은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해서 진행하는 것이…

View On WordPress
#강남상가인테리어#강남학원인테리어#강남인테리어#강남인테리어업체#강남인테리어잘하는곳#강남인테리어추천#교#교습소3D디자인#교습소공사#교습소상가인테리어#교습소인테리어#교습소인테리어업체#교습소컨셉#상가교습소인테리어#상가인테리어#상가인테리어업체#상업인테리어#소형교습소인테리어#수학학원인테리어#학원3D디자인#학원디자인#학원개원#학원공사#학원인테리어#학원인테리어비용#학원인테리어업체#학원컨셉#어린이학원인테리어#영어교습소인테리어#영어학원인테리어
0 notes
Text
some more words related through Hanja characters:
If you don't know what Hanja is, it refers to the Chinese-derived words of the Korean language. Pretty much half of Korean comes from originally Chinese words (and therefore will share pronunciation similarities with actual Chinese) and the rest is pure Korean.
Just like Latin and Greek is to English (e.g. aqua- hydro- indicate relation to 'water'), we can remember some Hanja to make semantic links between words in Korean.
The majority of Korean people's names have Hanja equivalents and could be written out in Chinese (sometimes required on official documents) and will be chosen by their parents based on the traditional semantic meaning. However, in the last few decades more Korean people are giving their kids pure Korean names with nice meanings such as 사랑, 보라, 하나, 하늘, 진주. More on Korean names in a future post!
Anyway, on with some semantic Hanja word links.
Marriage related words - 혼
결혼 - marriage
이혼 - divorce
약혼 - engagement (does the 약 part also seem familiar? It's the same 약 in 약속 - promise, and 예약 - appointment.)
기혼 - married (as in the person's status)
미혼 - unmarried, single
water related words - 수
수달 - otter
생수 - drinking/fresh water
수상 스키 - water ski (상 is a Hanja meaning 'above')
홍수 - flood
호수 - lake
school related words - 학 and 교
학교 - school
학생 - student
교복 - school uniform (your probably know what Hanbok is right? 한 - Korea 복 - clothing. That's the same 복.)
교육 - education
middle related words - 중
중국 - China (국 is the character used in country names)
중학교 - middle school
중급 - middle/intermediate level
중 - medium size (might see on a menu with portion options)
beauty related words - 미
미국 - the U.S.
미녀 - beautiful woman
미용실 - beauty salon/hairdressers
people related words - 인
인간 - human
~인 - person from ~ country (a Korean, a Brit, a German etc)
인생 - life
인기 - popularity
인사 - greeting
인삼 - ginseng (so called because the root resembles a person)
개인 - personal, private
주인 - owner
부인 - wife
female related words - 여/녀
여신 - goddess
미녀 - beautiful woman
마녀 - witch
그녀 - she
여성 - female
소녀 - girl (소 is another Hanja meaning small)
#cannot think of anymore rn its 10pm lol#korean study#korean learning#korean grammar#langblr#korean langblr#korean studyblr#korean vocab#hanja
36 notes
·
View notes
Text
Hangul: consonants.
2024년 7월 25일
안녕하세요 여러분!
Today, we will start learning the hangul consonants.
ㄱ {giyeok - g/k}
ㄴ {niun - n}
ㄷ {digut - d/t}
ㄹ {riul - l/r}
ㅁ {mium - m}
�� {biub - b/p}
ㅅ {siot - s}
ㅇ {iung - ng}
ㅈ {jieut - j}
ㅊ {chieut - ch}
ㅋ {kieuk - k}
ㅌ {tieut - t}
ㅍ {pieup - p}
ㅎ {hieut - h}
So now that we know consonants + vowels, we can start to form syllables:
가 / 갸 / 거 / 겨 / 기 / 개 / 걔 / 게 / 계 / 고 / 교 / 구 / 규 / 그
나 / 냐 / 너 / 녀 / 니 / 내 / 냬 / 네 / 녜 / 노 / 뇨 / 누 / 뉴 / 느
다 / 댜 / 더 / 뎌 / 디 / 대 / 댸 / 데 / 뎨 / 도 / 됴 / 누 / 뉴 / 느
라 / 랴 / 러 / 려 / 리 / 래 / 럐 / 레 / 례 / 로 / 료 / 루 / 류 / 르
마 / 먀 / 머 / 며 / 미 / 매 / 먜 / 메 / 몌 / 모 / 묘 / 무 / 뮤 / 므
바 / 뱌 / 버 / 벼 / 비 / 배 / 뱨 / 베 / 볘 / 보 / 뵤 / 부 / 뷰 / 브
사 / 샤 / 서 / 셔 / 시 / 새 / 섀 / 세 / 셰 / 소 / 쇼 / 수 / 슈 / 스
아 / 야 / 어 / 여 / 이 / 애 / 얘 / 에 / 예 / 오 / 요 / 우 / 유 / 으
자 / 쟈 / 저 / 져 / 지 / 재 / 쟤 / 제 / 졔 / 조 / 죠 / 주 / 쥬 / 즈
차 / 챠 / 처 / 쳐 / 치 / 채 / 챼 / 체 / 쳬 / 초 / 쵸 / 추 / 츄 / 츠
카 / 캬 / 커 / 켜 / 키 / 캐 / 컈 / 케 / 켸 / 코 / 쿄 / 쿠 / 큐 / 크
타 / 탸 / 터 / 텨 / 티 / 태 / 턔 / 테 / 테 / 토 / 툐 / 투 / 튜 / 트
파 / 퍄 / 퍼 / 펴 / 피 / 패 / 퍠 / 페 / 폐 / 포 / 표 / 푸 / 퓨 / 프
하 / 햐 / 허 / 혀 / 히 / 해 / 햬 / 헤 / 혜 / 호 / 효 / 후 / 휴 / 흐
Tip: try to write and say this syllables out loud so you get used to them.
#koreannook#korean langblr#korean language#korean learning#korean study#korean studyblr#learn korean#learning korean#koreanblr#korean grammar#korean consonants#hangul#hangul alphabet#study korean#stydyblr#langblr#한국어#한국어 공부#한국어 배우기#한국어 공부하기
26 notes
·
View notes
Text
Especial KRP — Sobrenomes Coreanos
Cansado de Lee? Kim? Seo? Song? Choi? Hwang? Park? Abaixo do "Read More" você vai encontrar alguns sobrenomes mais incomuns que pode usar em seus personagens coreanos.
Ah, A (아 - A)
Ae (애 - É)
Ban, Bahn, Van, Vahn, Pan, Pahn (반 - Ban)
Beon, Bun, Buhn, Veon, Vun, Vuhn (번 - Bón)
Beom, Bum, Buhm, Veom, Vum, Vuhm (범 - Bóm)
Bo, Vo (보 - Bô)
Bok, Vok (복 - Bôc)
Bong, Vong (봉 - Bông)
Boo, Bu, Voo, Vu (부 - Bú)
Bi, Vi, Bee, Vee (비 - Bi)
Bin, Been, Bean, Vin, Veen, Vean (빈 - Bin)
Bing, Beeng, Ving, Veeng (빙 - Bing)
Da (다 - Dá)
Dam (담 - Dam)
Dan (단 - Dan)
Dang (당 - Dang)
Dae, Dai (대 - Dé)
Dok, Dock (독 - Dôc)
Dokgo, Dokko (독고 - Docô)
Don (돈 - Dôn)
Dong (동 - Dông)
Dongbang (동방 - Dôngbâng)
Deung (등 - Dûng)
Deungjeong, Deungjung (등정 - Dûngdjóng)
Eogeum, Uhgeum, Ugeum (어금 - Ógûm)
Eun (은 - Ûn)
Eum (음 - Ûm)
Hak, Hahk (학 - Rác)
Hae (해 - Ré)
Hyeong, Hyung, Hyoung (형 - Rióng)
Ho, Hoh (호 - Rô)
Hwa, Hwah (화 - Ruá)
Hwangmok (황목 - Ruangmôk)
Hwangbo (황보 - Ruangbô)
Hoo, Hu (후 - Ru)
Ja, Jah (자 - Já)
Jeom, Jum (점 - Djóm)
Je, Jeh (제 - Djê)
Jegal, Jekal (제갈 - Djegál)
Jeo, Juh (저 - Djó)
Jong (종 - Djông)
Jwa, Joa, Jua (좌 - Djuá)
Jeung (증 - Jûng)
Kangjeon, Kangjun, Gangjeon, Gangjun (강전 - Gangdjón)
Ka, Ga (가 - Ga)
Kal, Gal (갈 - Gal)
Kam, Gam (감)
Kan, Gan (간 - Gan)
Kae, Gae (개 - Gué)
Kyun, Kyeon, Kyoun, Gyun, Gyeon, Gyoun (견 - Guión)
Kyung, Kyeong, Kyoung, Gyung, Gyeong, Gyoung (경 - Guióng)
Kye, Gye (계 - Guiê)
Kok, Gok (곡 - Gôc)
Kwan, Gwan (관 - Guân)
Kwok, Gwok (궉 - Guóc)
Kyo, Gyo (교 - Guiô)
Kuk, Guk, Kook, Gook, Kuck, Guck (국 - Guc)
Kung, Koong, Gung, Goong (궁 - Gung)
Kwok, Gwok, Kweok, Gweok (궉 - Guóc)
Keun, Geun (근 - Gûn)
Keum, Geum (금 - Gûm)
Ki, Gi, Kee, Gee (기 - Gui)
Kil, Gil (길 - Guil)
Lin, In, Rin, Leen, Een, Reen (인 - In)
Man, Mahn (만 - Man)
Mangjeol, Mangjul (망절 - Mangdjól)
Mae (매 - Mé)
Maeng (맹 - Méng)
Myung, Myeong, Myoung (명 - Mióng)
Mo, Moh (모 - Mô)
Mok, Mock (목 - Môc)
Myo (묘 - Miô)
Moo, Mu (무 - Mu)
Mubon, Moobon (무본 - Mubôn)
Muk, Muck, Mook, Moock (묵 - Muc)
Mi, Mee (미 - Mi)
Nan (난 - Nan)
Namgoong, Namgung, Namkoong, Namkung (남궁 - Namgung)
Nang (낭 - Nang)
Nae (내 - Né)
Noi, Nwe (뇌 - Nê)
Ok, Ock (옥 - Ôc)
On, Ohn (온 - Ôn)
Ong (옹 - Ông)
Pan, Pahn (판 - Pan)
Paeng (팽 - Péng)
Pyeon, Pyun, Pyuhn (편 - Pión)
Pyeong, Pyung, Pyuhng (평 - Pióng)
Po, Poh (포 - Pô)
Pyo (표 - Piô)
Pung, Poong (풍 - Pung)
Pi, Pee (피 - Pi)
Pil, Fil, Peel, Feel (필 - Pil)
Ra, La, Rah, Lah (라 - Lá)
Ran, Lan (란 - Lan)
Rang, Lang (랑 - Lang)
Ryeo, Ryuh, Lyeo, Lyuh (려 - Lió)
Roe, Loe, Roi, Loi, Rwe, Lwe (뢰 - Lê)
Sa, Sah (사 - Sá)
Sakong, Sagong (사공 - Sagông)
San, Sahn (산 - San)
Sam, Sahm (삼 - Sam)
Sang, Sahng (상 - Sang)
Seomun, Seomoon, Suhmun, Suhmoon, Sumun, Sumoon (서문 - Sómún)
Seonu, Seonwu, Seonwoo, Seonoo, Sunu, Sunwu, Sunwoo, Sunoo (선우 - Sónú)
Seob, Sub, Seop, Sup, Suhb, Suhp (섭 - Sób)
Sobong (소봉 - Sobông)
Soo, Su (수 - Su)
Sun, Soon (순 - Sun)
Seung (승 - Sûng)
Si, Shi, Xi, See, Shee, Xee (시 - Xi)
Tak, Tahk (탁 - Tác)
Tan, Tahn (탄 - Tan)
Tang, Tahng (탕 - Táng)
Tae (태 - Té)
Uh, Eo, Eoh (어 - Ó)
Wan, Wahn (완 - Uán)
Wang, Wahng (왕 - Uáng)
Wun, Un, Woon, Oon (운 - Un)
Wi (위 - Uí)
Ya, Yah (야 - Iá)
Yeop, Yeob, Yup, Yub, Yuhp, Yuhb (엽 - Iób)
Yeong, Young, Yung (영 - Ióng)
Ye, Yeh (예 - Iê)
Yo (요 - Iô)
Yong (용 - Iông)
Yook, Yuk (육 - Iúk)
38 notes
·
View notes
Text
iam working on this list yoga → योग jīvanmukti → जीवन्मुक्ति vedānta → वेदान्त dharma → धर्म sanskrit → संस्कृत tantra → तन्त्र Kālī → काली kali yuga → कलियुग bhakta → भक्त pratyabhijñā → प्रत्यभिज्ञा Bauddha-dharmaḥ → बौद्धधर्म Zen (T. Chi) → 禪 Zen (S. Chi) → 禅 Zen (Kanji) → 禅 Zen (Kana) → ぜん Teachings of Buddha → 佛教 (Fójiào) teaching/religion → 教 (jiào) “Buddha Teaching” → 仏教 (Bukkyō) doctrine → 教 (kyō) “Buddha Teaching” → 불교 / 佛敎 (Bulgyo) doctrine → 교 (gyo) = “Buddha’s Dharma-practice” → སངས་རྒྱས་ཆོས་པ། (Sangyé Chöpa) Dharma → ཆོས་ (Chö) “Buddha’s religion” → พุทธศาสนา (Phutthasatsanā) religion/teaching → ศาสนา (Satsanā)
can you tell me how to say "yoga" and "tantra" in these asian languages█
ChatGPT said:
Here’s how to say "yoga" and "tantra" in those Asian languages and scripts you listed: Language / Script | Yoga | Tantra Chinese (Simplified) 瑜伽 (Yújiā) 坛罗 (Tánluó) rare / 密续 (Mìxù) esoteric Chinese (Traditional) 瑜伽 (Yújiā) 壇羅 (Tánluó) / 密續 (Mìxù) Japanese (Kanji) 瑜伽 (ゆが, Yuga)タントラ (Tantra, katakana) / 密教 (Mikkyo, “Esoteric Buddhism”) Japanese (Kana)ゆが (Yuga) タントラ (Tantra) / みっきょう (Mikkyo) Korean (Hangul) 요가 (Yoga) 탄트라 (Tantra) / 밀교 (Milgyo, “Esoteric Buddhism”) Korean (Hanja) 瑜伽 (Yoga) 密敎 (Milgyo) Tibetan (Wylie) rnal 'byorrgyud (རྒྱུད་) Thai โยคะ (Yoká) ตันตรา (Tantra) / มนตรา (Mantra, sometimes used)
what if i am not interested in referencing buddhism specifically? or is there no context outside of buddhism for tantra in those cultures█
ChatGPT said:
You’re right to suspect: in East Asian contexts, “tantra” (तन्त्र) is overwhelmingly associated with Esoteric Buddhism (密教) rather than its broader Hindu or non-Buddhist meanings. Outside of Buddhist contexts, “tantra” as a standalone concept often doesn’t have a direct, native term or recognition.
If you want to avoid Buddhist connotations, here’s the reality by culture:
China, Japan, Korea: “Tantra” is mostly a Buddhist esoteric doctrine term (密教). No native, widespread secular or Hindu-rooted equivalent exists. If you say “tantra” in these languages, people will think of esoteric Buddhist rituals and texts.
Tibet: Tantra (rgyud) is deeply Buddhist and intrinsic to Vajrayāna. It’s not secular or Hindu in that context.
Thailand: Tantra isn’t widely a standalone concept outside of Buddhism and certain folk-religious or occult contexts that borrow the term. “Mantra” (มนตรา) is more common in folk magic and rituals but is not the same as “tantra.”
So what if you want to express “tantra” outside Buddhist context?
Use transliterated Sanskrit “Tantra” (तन्त्र) as a loanword, especially in academic or modern spiritual contexts.
Japanese: タントラ (Tantra)
Korean: 탄트라 (Tantra)
Chinese: 坛罗 (rare, but sometimes) or simply use the Sanskrit term in Roman script. This preserves the original meaning without Buddhist overlay.
Clarify in your text what you mean by “tantra” — i.e., as a system of ritual, philosophy, or technology, not Buddhist esotericism.
Or accept that in those languages, ‘tantra’ carries Buddhist connotations, and if you want to avoid that, you’d have to invent or adopt a new term — which nobody has really done.
Summary
No, in East and Southeast Asia, tantra outside Buddhism is largely absent or marginal.
Sanskrit-rooted “tantra” is mostly syncretized into Buddhist esoteric practice there.
For pure Hindu or non-Buddhist tantra, transliteration + explanation is best.
If you want me to suggest a way to phrase this carefully in a multilingual context, I can help.
you said:
can you tell me how to say in various asian languages, "the yoga of kashmir"█
ChatGPT said:
Yes—here’s how you might render “The Yoga of Kashmir” in various Asian languages. Since "Kashmir" and "yoga" are sometimes culturally untranslated loanwords, the phrase can remain partly transliterated or be adjusted depending on context. I’ll give you options for literal translations, common transliterations, and hybrid forms, depending on what's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Sanskrit
काश्मीरयोगः (Kāśmīrayogaḥ)
Lit. “Kashmir-Yoga,” straightforward compound.
Hindi
कश्मीर का योग (Kashmīr kā yog)
Literally “Yoga of Kashmir.” Modern, understandable.
Tibetan
ཀ་ཤི་མིར་གྱི་རྣལ་འབྱོར། (Ka-shi-mir gyi naljor)
Naljor = yoga; gyi = genitive; This reads "Kashmir’s Yoga."
Mandarin Chinese
克什米尔瑜伽 (Kèshénmǐ'ěr yújiā)
Yújiā (瑜伽) = yoga, phonetic loan. Kèshénmǐ'ěr = Kashmir transliterated.
Japanese
カシミールのヨガ (Kashimīru no yoga)
Phonetic: “Kashmir no yoga.” Using katakana loanwords.
Korean
카슈미르 요가 (Kasyumireu yoga)
Phonetic: “Kashmir Yoga.” No genitive particle used colloquially.
Vietnamese
Yoga của Kashmir
“Yoga of Kashmir.” Using the borrowed word “Yoga.”
Or more formally: Du-già của Kashmir
Du-già is the Sino-Vietnamese transliteration of “Yoga” from Chinese 瑜伽.
Let me know if you'd like literary, esoteric, or more Indologically loaded versions for these as well. For instance, in Mandarin you could try something like 喀什米尔的合一之道 (Kāshénmǐ'ěr de héyī zhī dào) = "The Path of Union of Kashmir" — which is less loanword-heavy and more culturally naturalized.
#chatgpt#ai#artificial intelligence#dharma#chat ai#चाट्जपति#llm#tantra#catjapati#ai generated#genai#gen ai#ai positive#aipositive#aihysteria#ai hysteria#buddhism#language#translation#linguistics
3 notes
·
View notes
Text
Hangul: consonantes.
2024년 7월 25일
안녕하세요 여러분!
Hoy aprenderemos las consonantes del Hangul.
ㄱ {giyeok - g/k}
ㄴ {niun - n}
ㄷ {digut - d/t}
ㄹ {riul - l/r}
ㅁ {mium - m}
ㅂ {biub - b/p}
ㅅ {siot - s}
ㅇ {iung - ng}
ㅈ {jieut - j}
ㅊ {chieut - ch}
ㅋ {kieuk - k}
ㅌ {tieut - t}
ㅍ {pieup - p}
ㅎ {hieut - h}
Ahora que sabemos las consonantes, podemos empezar a formar sílabas con las vocales:
가 / 갸 / 거 / 겨 / 기 / 개 / 걔 / 게 / 계 / 고 / 교 / 구 / 규 / 그
나 / 냐 / 너 / 녀 / 니 / 내 / 냬 / 네 / 녜 / 노 / 뇨 / 누 / 뉴 / 느
다 / 댜 / 더 / 뎌 / 디 / 대 / 댸 / 데 / 뎨 / 도 / 됴 / 누 / 뉴 / 느
라 / 랴 / 러 / 려 / 리 / 래 / 럐 / 레 / 례 / 로 / 료 / 루 / 류 / 르
마 / 먀 / 머 / 며 / 미 / 매 / 먜 / 메 / 몌 / 모 / 묘 / 무 / 뮤 / 므
바 / 뱌 / 버 / 벼 / 비 / 배 / 뱨 / 베 / 볘 / 보 / 뵤 / 부 / 뷰 / 브
사 / 샤 / 서 / 셔 / 시 / 새 / 섀 / 세 / 셰 / 소 / 쇼 / 수 / 슈 / 스
아 / 야 / 어 / 여 / 이 / 애 / 얘 / 에 / 예 / 오 / 요 / 우 / 유 / 으
자 / 쟈 / 저 / 져 / 지 / 재 / 쟤 / 제 / 졔 / 조 / 죠 / 주 / 쥬 / 즈
차 / 챠 / 처 / 쳐 / 치 / 채 / 챼 / 체 / 쳬 / 초 / 쵸 / 추 / 츄 / 츠
카 / 캬 / 커 / 켜 / 키 / 캐 / 컈 / 케 / 켸 / 코 / 쿄 / 쿠 / 큐 / 크
타 / 탸 / 터 / 텨 / 티 / 태 / 턔 / 테 / 테 / 토 / 툐 / 투 / 튜 / 트
파 / 퍄 / 퍼 / 펴 / 피 / 패 / 퍠 / 페 / 폐 / 포 / 표 / 푸 / 퓨 / 프
하 / 햐 / 허 / 혀 / 히 / 해 / 햬 / 헤 / 혜 / 호 / 효 / 후 / 휴 / 흐
Consejo: comienza a escribir y a decir en voz alta estas sílabas así te acostumbras a ellas.
#coreanoencasa#korean langblr#korean language#korean learning#learn korean#learning korean#koreanblr#korean grammar#korean consonants#hangul#hangul alphabet#study korean#korean studyblr#korean study#studyblr#langblr#한국어#한국어 공부#한국어 배우기#한국어 공부하기#coreano#aprende coreano#aprender coreano#estudia coreano#estudiar coreano
3 notes
·
View notes
Text
[橋-다리 교–N2]-[きょう 교-はし 다리]#일본어#필수한자#JLPT시험대비#Junana 일본어
2 notes
·
View notes
Text
Foreba burondo!!! (Japanglish forever blonde)
It's my fan-sekai with some blonde characters type: gyaru, mean girl, barbie girl (bimbo in this case) and ken boy (He is Kenough himbo).
To be honest, I literally call them by this types, but some of them have names. Ken is still Ken, barbie girl probably would be Hime. And... I seriously think of making mean girl korean just to call her Min Ge Rel (민 교 렐). SORRY NOT SORRY LMAO
So, Hime playing drum in the group, Min Ge - bass, and gyaru - guitar. Ken usually helps with technik and other stuff, but I think he might play something in some songs (as well as sing).
I did few story telling comics as well!
Min ge, Gyaru and Ken go to Kamiyama High School. Ken and Gyaru from the same class, andMin ge just overheard talk between them.
Hime was brought by Ken, because she is the only one, who learns at Miyamasuzaka Girls Academy.
Few funny sketches. Min ge kinda MeAn toward Ken, but she is liking Hime-chan at the same time. Just stuff to show their unit dynamic I guess. If you liked stay tuned, I would probably made more lore stuff about them!
It where her sense of rhytme comes from lmao
#prjsk#project sekai#project sekai fan unit#fan sekai#project sekai colorful stage#original character#oc#comics#funny#art
4 notes
·
View notes
Text
펨돔 BEST Best
다른분들도, 펨돔 강력추천 여기를 클릭하세요, 욕이든 아니든 펨돔 알아보자펨돔 바로가기: bit.ly/3MBOKbm난 소용돌이 바람에 맞서며 하늘에 떠있을 뿐. 브레이브, 러브샤. 펨돔 준비하십시오. 샤이트리아의 말에 두 신은 고개를 끄덕이며 각자 자세를 취 했다. 은빛 기사의 몸을 한 용기의 신 브레이브는 은검을 뽑아 들어 수직으로 검을 세웠고, 페어리의 귀여운 몸을 한 사랑의 신 러브샤는 한껏 자신의 몸을 감싸안으며 신성력을 증폭시켜 갔다. 에이전트 해방 잠시 눈빛을 교 저런 거대한 생명의 흐름을 어떻게 막겠는가. 사다니크스나 아 메마이트도 펨돔 생명력을 다루는 법은 가르쳐주지 않았다고 치사한 녀석들. 그건 레벨 7에서 배우는 거니까 지금은 안 된다고? 그 덕에 내가 지금 죽어나가게 생겼잖아 물론,…
View On WordPress
#남녀채팅#랜덤채팅#무료채팅#실시간채팅#심심할때채팅#펨돔#어색한채팅#온라인채팅#인터넷채팅#재미있는채팅#채팅#채팅문화#채팅방#채팅사이트#채팅스타그램#채팅하는남자#채팅하는여자#채팅어플#채팅커뮤니티#친구만들기
2 notes
·
View notes
Text
강원도 어르신 교통비 신청법시군별 지원조건신청기간 정리
"강원도 어르신 교통비 신청법|시군별 지원조건·신청기간 정리 📌 주요 내용 요약: 강원도 내 어르신 교통비 지원 제도는 시군별로 상이하게 운영되고 있어요. 각 지자체 예산에 따라 지급 시기, 대상 연령, 지원 방식, 신청 방법이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부모님 신청 도와드리며 직접 확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강원도 어르신 교통비 지원 신청기간과 시군별 정책 차이를 정리해드릴게요. 시군별 신청 정보 바로 확인 https://m.site.naver.com/1JvTW ️ 기본 신청 조건 요약 대상 연령 대부분 만 70세 이상 (일부 시군은 만 65세 기준) 주민등록상 해당 시군 6개월 이상 거주자 지원 시기 상반기(3~5월), 하반기(8월~10월) 중 집중 접수 일부 시는 상시 신청 가능 (춘천, 강릉 등) 지급 방식 교....... 🔗 전체 글 보기: 강원도 어르신 교통비 신청법|시군별 지원조건·신청기간 정리 출처: 늘 행복만 가득한 날들이길 | 발���일: June 04, 2025 at 03:30AM"
0 notes
Text
대학의 도
'Science = 과학', 'Philosophy = 철학'이듯 'University = 대학'이라고 부르긴 하나, 보면 볼수록 셋 다 기묘한 해석이다.
인터넷에서 University 어원을 찾아보면 라틴어 Unus(=하나) + Vertere(=돌다, 변하다) 합성어라고 한다. "땅을 중심으로 도는 천체 = Universe"가 나왔고, 이로부터 의미가 확장돼 '지식 공동체'란 의미에서 대학을 그렇게 불렀던 것 같다.
한자문화권에선 아마도 사서삼경의 한 과목인 '大學'에서 따온 말이란 게 유력하지 않나 싶은데 직역하면 "큰 배움"이고, 이는 논어 첫 구절 "학이시습 = 학습"의 반복을 통해 도달하는 몸공부의 경지를 가리키는 것이다.
정체 모를 블랙박스가 있는데 야만스런 무뢰배가 블랙박스를 통과한 뒤 인간이 돼 나온다면, 이를 이상적인 '교육'이라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오늘날 전 세계 대다수 대학 교육은 이와 거리가 먼 지식 기술자를 양성한단 점에서 University일 순 있어도 大學과는 거리가 멀다고 느낀다.
'대학' 자매품 '중용'의 첫 문장은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라고 나온다. 윤두환처럼 인두겁을 쓴 채로 태어나 인성이 바닥인 놈은 애당초 성(性)이 없으므로 도(道)를 따를 줄 모르고, 도(道)를 닦지 못하므로 교(敎)를 모른 채 졸업장을 딴다.
명예욕 강한 잡놈이 SKY 중 한 졸업장을 획득했다면, 한국에선 이를 발판 삼아 출세 가도를 달려갈 수 있다. 그러나 재명명덕(在明明德)을 추구하는 대학지도(大學之道)와는 정반대 길이다.
땅고를 추기 위해 꼭 필요한 스텝(=學)을 익히는 데는 2~3년이면 충분하지만, 근본이 되는 걷기(=習)를 초견성하기까진 평균 십 년 걸리는 것 같다. 스텝은 땅고 이외엔 쓸모가 없지만, 걷기는 보편성이 있어서 분야를 넘나든다.
산꼭대기를 향해 가는 길은 각기 다를 지라도 산마루는 하나다. 정상에서 만나지 못했다면 틀린 길이다. 이를 가리켜 '으뜸종(=宗) + 가르칠교(=敎) = 최고 가르침'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본래는 Religion과 다른 의미였다.
'걷기'를 통해 올바른 몸의 길을 각성했다면, 이를 확장해 올바른 마음 길을 찾아 나설 수 있다. 몸에 무게 중심이 있듯 '마음(心) + 중심(中) = 충(忠)'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이 또한 세월이 흐르며 "왕을 배신하지 않고 따르는 충성심"으로 변질된 것 같다.
1 note
·
View note
Text
[현장쏙] "아빠 집 앞 산이 타고 있어요"…LA 교민이 전해온 현지 산불 상황|진화율 0%인 곳도…강풍 예보에 진화 작업 난항 ...
0 notes
Text
근로장려금 수급자 3가지 추가 혜택
올해 마지막 근로장려금이 12월 12일에 입금 되었습니다. 근로장려금을 받았다면 누릴 수 있는 3가지 혜 택!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고금리 적금, 훈련장려금, 교육비 지원 500만원 대출 등 아래 혜택들은 ‘근로장려금 수급사실 증명원’ 출 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근로장려금을 처음 신청하 셨다면 근로장려금을 입금 받은 후 신청이 가능 합니다. [ 1.고금리 적금 ] 근로장려금을 받으셨다면 고금리 적금 -제주은 행(6.0%), KB국민은행(5.75%) 등 다양한 고금 리적금 가입이 가능합니다. -신청방법:각 은행 페이지에서 해당 적금 확인 후가입 신청 [ 2.내일배움카드 발급 및 훈련장려금 혜택] ⁃ 근로장려금 수급자는 국민내일배움카드로 교 육받을 때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오프라인 교육을…
0 notes
Text
유럽 2세국의 성명서를 보며
오늘 유럽의 2세국에서 신앙의 조국인 한국에서 진행되는 참 부모론에 대한 성명서 글을 보았 다. 먼저, 창피하고 부끄러워 얼굴이 후끈거렸다. 유럽의 2세국이 과감하게 참 어머님 주변에서 자행되는 참부모론에 대하여 비판을 가한 것은 진정한 용기요, 올바른 양심의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신앙의 조국이라는 한국에서는 오히려 출 세에 눈이 먼 사기꾼 지도자들만 어머님 주변에 넘쳐나는데, 오히려 신앙의 조국과 멀리 떨어진 서방에서 원리와 신앙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다.
참 부모론은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참 부모란 의미는 참다운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뜻이 아닌가? 그런데 청평에서 교육하는 참 부 모론을 들어보면, 모자란 아버지와 완성된 어머니로 구성된 부부가 참 부모라는 생각이 든다. 부부는 하나라는 기존의 섭리관을 배격하고, 철저히 참 어머님을 중심한 독생녀론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렇다, 참부모론은 독생녀론을 감추기 위한 위장된 단어일뿐이다. 청평에서 주장하는 것은 참 어머니의 신성과 완전무결성이다. 참 아버님의 원죄를 주장하며, 참 어머님의 원죄가 없음을 교 육한다. 도대체 청평은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일까? 참 아버님을 격하시킨다고 해서 참 어머니의 위상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다. 부부이신데, 한 명 이 낙하하면, 다른 한쪽도 낙하하는 것이 부부다. 결국, 참 어머니 주위에서 참 아버님을 욕보 이고 폄하하던 자들로 인해, 참 어머님의 위상도 점점 거덜나고 있었다.
참 아버님이 남기신 유업과 전통을 훼손시키고 있다. 참 아버님이 우리에게 남기신 유산이 무엇일까? 축복이 아닐까? 참 아버님의 승리로 인해, 우 리들에게 축복을 받고 하늘의 자녀로 거듭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런데 참 아버님의 메시아 성이 부정된다면, 우리가 받은 축복은 뭐가 되는 건가? 그냥 돈을 모으기 위한 행사인가? 참 아버님의 섭리사를 부정하려고, 참 아버님의 섭리를 참 어머님과의 성혼 이후부터 설명하려 는 시도는 청평의 사이비 교수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다. 문제는 1960년 이전의 역사를 부정하다 보니, 통일교회의 섭리사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때로는 받아들이기 거북한 사실을 만나게 된다. 그것이 싫다고 해서 짤 라내다보면, 역사는 누더기처럼 되고 만다. 1960년 이전의 섭리사를 외면하다 보니, 그 후의 섭리사와 당연히 단절되어 버린다. 사이비 교수들의 섭리사를 듣다 보면, 도대체 이들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 수가 없다. 참 아버님의 역사와 섭리가 단절되는 가장 큰 원인은 선배 가정들을 배척한 정책에 원인이 있 다. 참 아버님과 인연이 없던 사람들이 조직의 수장이 되다 보니, 통일가의 역사를 모르는 경우 가 많다. 모르면 배우기라도 해야 하는데, 가르칠 사람도 없고, 배우려고도 하지 않는다. 청평의 교육을 보면 한숨만 나온다. 수련원 원장이라는 사람이 중심령 설교를 한다. 중심령? 원리에도 없고, 참 아버님 말씀에도 없는, 중심령이 청평역사의 중심이란다. 중심령은 통일교회 의 교리인가? 더욱 황당한 것은 중심령 이론이 한의사 식구가 계시받은 것이란다. 이게 무슨 개소리인지 이해 가 안 간다. 우리 통일 교회가 언제부터 일개 식구의 영적 체험을 교리로 채택하였는가. 아무리 돈을 만들기 위한 편법이라고 해도,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청평에 미친놈들이 많은 것 같다.
통일원리의 보편성을 훼손하고 있다. 청평에는 원리가 틀렸다고 공공연하게 말하는 자들이 있다. 원리가 틀렸다면, 우리는 지금 무엇 을 하고있는 것일까? 협회에서는 현장 목회자들에게 전도를 종용한다. 무엇을 가지고 전도를 하라고 하는 것인가? 새로운 원리가 완성될 때까지, 기존의 원리를 가지고 전도하라고 한다. 정신이 나간 자들이다. 잘못되었다는 원리로 전도를 하라고 하는 것이 말이 되는가? 도대체 청 평과 협회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가? 청평에는 참 아버님을 폄하하고, 메시아 성을 부인하는 자들이 많다. 청평 수련원에 불을 지르 고 싶은 생각이 든 것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하늘의 역적이며, 역사의 죄인들이 청평에서 일한 다는 사실에 암울함을 느낀다. 우리 모두 참 아버님의 말씀과 원리에 감동하여 통일교회에 들어왔다. 그런데, 청평에는 원리를 폄하하고 조롱하는 인간들이 있다. 그들은 원리가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원리가 잘못되었다면, 우리가 통일교회에 있어야 할 이유가 있는 것인가? 급료를 통일 조직에서 받는 자가 아니라면, 통일교회에 있을 이유가 없다. 청평에 가면, 참어머님의 지시를 받고 원리를 새로 쓰고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자기가 원리를 새로 쓴다고 자랑하고 다니는 놈도 있다고 한다. 그러면, 그렇게 쓰여진 새로운 원리의 주인은 누구인가? 그렇게 쓰여진 원리의 주인은 하늘도 아니고, 참 어머님도 아니다. 그 교리를 쓴 교수가, 그 원 리의 주인이다. 후일, 그 교수는 자기가 재림 주라고 주장하게 될 것이다. 그가 말씀의 주인이 니 당연한 거 아닌가? 가평 시내의 식당에 들어갔다가, 식당 구석에서 식사를 하고있는, 청평 직원들을 본 적이 있다. 그들은 참 아버님을 조롱하고, 폄하하는 대화를 하고 있었다. 야구 방망이로 전부 패주고 싶었 다. 도대체 청평에서는 직원들에게 무슨 교육을 시키고 있는 것인가? 청평 직원들부터 교육을 다시 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에게 참 아버님은 안중에도 없고, 원리를 비하하고, 참 어머님은 평가의 대상일 뿐이다. 도대체 누가 조직을 이렇게 만들어 놓았 는가? 참 어머님이 참 부모론을 말씀하시려면, 먼저 참 아버님과 하나가 된 모습을 보여주셔야 한다. 참 아버님 격하 운동을 중지하시고, 참 아버님과 하나 된 부부의 모습을 보여주셔야 한다. 부부 가 따로 노는데 무슨 참 부모인가?
0 notes
Text
youtube
[橋-다리 교–N2]-[きょう 교-はし 다리]#일본어#필수한자#JLPT시험대비#Junana 일본어
2 notes
·
View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