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골수도
Explore tagged Tumblr posts
Photo

"잊지 않을게요"… 세월호 선체 앞 목포신항서 8주기 기억식 광주 5·18 역사현장, '기다림의 공간' 팽목항에서도 추모 행사 (목포=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세월호 선체가 보존 중인 전남 목포신항에서 16일 참사 8주기를 기억하는 추모행사가 열렸다. 20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세월호잊지않기목포지역공동실천회의 는 이날 오전 10시 목포신항에서 ' #세월호_참사_8주기_기억식 '을 열었다. 성역 없는 진상규명과 생명안전사회 건설을 구호로 열린 기억식에는 사전 신청한 추모객과 시민단체 활동가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6·1지방선거에 나서는 출마자들도 현장 신청을 거쳐 자리 일부를 채웠다. 목포신항에서는 세월호 선체가 육지로 올라온 2017년 이후 매해 4월 16일마다 기억식이 열리고 있다. 세월호 선체 앞 기억식은 희생자를 위로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다짐을 하며 6년째 이어졌다. 8주기 기억식은 기억사 낭독, 추모 음악공연, 시 낭송, 몸짓 퍼포먼스, 선언문 낭독, 세월호 치유의 춤 순서로 진행됐다. #5_18_민주화운동 역사 현장인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광장에서도 #세월호광주시민상주모임 주관으로 8주기 기억식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304명이 희생된 참사를 잊지 않고 생명안전사회를 향한 시민연대를 다짐했다. 광주시민상주모임은 이날 오후 3시에는 8년 전 '기다림의 공간'이었던 전남 #진도 #팽목항 ( #진도항 )에서 또 한 번 추모식을 열 예정이다. 세월호 유가족 일부는 이날 목포에서 출발한 해경 경비함정을 타고 진도 #맹골수도 사고 해역으로 이동해 선상 추모식을 했다. 선체 인양 이후 맹골수도에는 세월호 침몰 지점을 표시하는 노란색 부표가 떠 있다. [email protected] [사진 = 독자제공, 정회성 기자] 📢 기사를 더 보고 싶다면? 프로필 링크 click! @yonhap_news #연합뉴스_인스타그램 #연합뉴스 #yonhapnews #세월호 #8주기 #기억식 #목포신항 #선체 #시민단체 @yonhap_news by @easy_repost_app https://www.instagram.com/p/CcZ6GGvrjqH/?igshid=NGJjMDIxMWI=
#세월호잊지않기목포지역공동실천회의#세월호_참사_8주기_기억식#5_18_민주화운동#���남도청#세월호광주시민상주모임#진도#팽목항#진도항#맹골수도#연합뉴스_인스타그램#연합뉴스#yonhapnews#세월호#8주기#기억식#목포신항#선체#시민단체
0 notes
Video
youtube
(#세월호 #인양임박! 인양현장 - YouTube에서)
세월호인양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진도 앞 바다 #맹골수도 입니다.
#길바닥
0 notes
Photo

(인천=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 세월호가 침몰 후 약 3년 만에 모습을 드러내자 '쌍둥이' 배로 불렸던 오하마나호의 행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해진해운 소속 오하마나호(6천322t급)는 세월호(6천825t급)와 구조가 비슷해 쌍둥이 배로 불렸다. 당시 오하마나호는 월·수·금요일, 세월호는 화·목·토요일 각각 오후 6시 30분 인천항을 떠나 다음 날 오전 8시 제주항에 도착하는 일정으로 인천∼제주 항로를 번갈아 운항했다. 우애 좋은 형제처럼 인천∼제주 항로를 오가던 두 여객선은 참사 이후 엇갈린 운명을 맞게 된다. 세월호는 전남 진도 맹골수도 수심 44m 바닥에 잠들었고, 오하마나호는 참사 여파로 운항이 중단되며 인천항에 발이 묶였다. 오하마나호는 세월호와 구조가 비슷한 점 때문에 해저에 가라앉은 세월호를 대신해 현장 검증 대상이 되기도 했다. 2014년 6월 30일 광주지법 형사 11부 주관으로 열린 현장 검증에는 판사·변호사·검사와 이준석 선장 등 피고인들이 참석해 침몰 당시 피고인들의 위치, 조타실과 기관실 간 이동 경로, 객실 구조, 대피경로 등을 꼼꼼히 살폈다. 이후에도 오하마나호는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유족, 야당 대표단의 현장조사를 수차례 맞이해야 하는 형제 잃은 슬픔을 겪어야 했다. 이런 가운데 오하마나호 매각 절차도 동시에 이뤄졌다. 청해진해운에 200억원을 대출해준 은행 채권단은 2014년 6월 법원에 오하마나호 경매를 신청했다. 그러나 1989년 건조된 오하마나호는 당시 선령이 25년이나 된 낡은 선박인 데다 세월호처럼 무단 증축해 안전성도 보장할 수 없던 상황이어서 경매 시장에서는 '찬밥' 신세였다. 감정가는 105억1천244만원이었지만 무려 4차례나 유찰된 끝에 최초 감정가의 27%인 28억4천만원에 낙찰돼 외국 선사에 매각됐다. 오하마나호는 참사 이후 인천항에서 1년 4개월간 묶여 있다가 2015년 8월 베트��으로 출항했다. 이후 여객선으로 운항을 계속하는지, 어떤 항로에 투입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인천항 관계자는 "동남아시아에서는 선령이 30년 된 노후 선박도 여객선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어서 오하마나호가 새로운 이름으로 운항하고 있을 수도 있다"며 "외국 선사에 팔려 2년 전 인천을 떠나 정확한 행방을 파악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오하마나호 #세월호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