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게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ext
무게감 | 무게중심 이동 | 포즈 https://www.youtube.com/watch?v=7jLw9REHxlE
0 notes
Text
무게
몸이 움직이질 않는다.더 완벽해야 하는데.온 몸이 거부한다.움직여야 한다.움직이지 않는다. 1.23.2024
View On WordPress
1 note
·
View note
Text
파이로 장비를 생각하다 그린 낙서들... 사실 술 마시는 그림이랑 같은 생각 하다가 그린건데 걔는 낙서치고 힘이 너무 들어가서 따로 올림ㅋㅋ
국내 방화복 기준 수트만 약 4kg정도고 이런저런 장비 포함하면 무게 20kg정도에 내부 온도는 40도까지 올라간다 함.. 외부 공기가 유입이 차단되는만큼 내부 공기도 밖으로 빠져나가질 못해서...... 근데 이게 소방장비에 지원를 안해줘서 그렇다네 오타쿠질 하려다가 국가에 대한 환멸만 늘어남
암튼 파이로를 생각할때마다 저딴 장비 입고 황무지를 뛰어다니는게 말이되나 싶은 생각이 항상 걸렸는데 걍 소방관 생각하면 되더라... 오히려 현실이 더 지독했다!!
파이로 꼬셔서 메딕의 냉장고에서 탈출하려는 블루스파이 머리통... 그 영화이름뭐냐 그!!!! 수어싸이드 킹!!!!! 이거 모티브로... 만화 그려볼까...........말까...... 하시바 이런 내용은 대사량이 많아서 글쓰기나 마찬가지일텐데 내가 대사만 빽빽하게 쓸 수 있을까?? 자신없음
대충 메딕이 스파이머리를 팀원들한테도 몰래 숨기며 보관중이란 설정 하에.. (스파이 머리가 실종-리스폰 안됨. 전투시 불균형->균형 맞추려고 급하게 임시계약직 용병 데려와도 다 하루만에 도망가거나 적응 못하고 마을로 나가서 자살함. 결국 관리자/폴링 난입해서 양팀 모두에게 하루빨리 찾아내라함. 메딕 비상걸림-그러던 중 파이로에게 머리의 존재를 들킨다.)
새벽에 메딕 냉동고에 숨겨둔 간식 먹으러 들어온 파이로가 스파이 머리통을 발견(왜 거기에 숨겨뒀냐:공용냉장고에 두면 바로 누가 훔쳐먹어서.)- 냉동고가 목적인데 어떻게 발견했냐: 냉장고쪽 문틈에서 올라오는 연기를 봄- 바로 벌컥 열어봄-걸림 - 메딕이 냉동고 무료로 쓸 수 있게 해줄테니 비밀로 해달라함(그동안은 힘쓰거나 지저분한 잡일 심부름 시키면서 냉동고 사용하게해줌)
메딕이 파이로한테 쩔쩔매고 얼러가며 거래하는 모습 보고 레드팀조차도 자신을 찾는중인걸 눈치챔. 눈치 못채는게 바보긴함 메딕이 계속 조용히하라는데 파이로가 정보 다 말함(왜 숨기냐 폴링에게 가져다줘야한다 등..)
암튼... 폴링과의 약속과 메딕과의 거래 사이에서 갈등하는 파이로를 폴링쪽으로 설득하는 스파이.... 그 방법으로 미인계ㅋㅋ를 쓰는 스파이(먹힌다는 암시 넣기ㅋㅋ)
스파이 찾기 전까진 전투도 불가능하니까 용병등 외부로 출장도 보내는데... 하필 스파이 머리 들킨 그날 아침 바로 메딕 5일짜리 출장이 잡힌거. 미친거지 당일통보 출장..ㅆㅂ.. 머리통 상태 체크하고 우버투약해서 생존유지해야 하는데!! 부탁할사람이 파이로밖에 없고... 매우 안 내키지만 방법이 없으니까 보상해줄테니 비둘기 밥 주는 겸 해서 스파이 머리한테도 밥좀주고 상태 기록해달라고 (정제형 우버:특 실험 완료단계 아니라 효과 덜하고 부작용 확인도 아직 못했음: 투약량도 까먹어서 지맘대로 줌. ->그결과 부작용 배로증폭(주로 호르몬 자극)이게 애정인지 약 부작용 중 하나인 교감신경자극으로인한 단순기계적흥분인지 구분못하는...혼란ㅋㅋ이래서 클리셰가 괜히 클리셰가된게 아니구나 존나맛잏네 그래서 실제로 둘 다인.. 어찌보면 조작된 순간적인 애정과 정신착란이 극단적인상황속에서 더욱) 부탁하고 감. 파이로 오케이 접수. 그리고 5일시작~~
키워드: 달변가/몸찾기/ 자살조력(이빨깨기)
지금 그리고있는 만화랑 키워드가 두개나 겹침!! 평생 프랑켄슈타인에서 못 빠져나올듯
마라탕 냄새가 코에서 아른거림 오늘은 반드시 마라탕이다. 한국여성의 피는 마라탕 아니면 떡볶이로 구성된다.
173 notes
·
View notes
Text
240303 Weverse Translations
RM's Comment 💬 on ARMY's Post ❇️

💜: 남준아 좋은 주말 보내 RM: 좋은 주말 되십쇼 https://weverse.io/bts/fanpost/2-136865067?anchor=3-282577389
💜: Namjoon-ah, have a nice weekend.
RM: Have a nice weekend
Trans cr; Aditi @ bts-trans © TAKE OUT WITH FULL CREDITS
RM's Comments 💬 on ARMY's Posts ❇️
1.
💜: 밥은 잘 먹고 있어요?? RM: 너무 잘 무서 문제.. https://weverse.io/bts/fanpost/1-136878834?anchor=2-275125350
💜: Are you eating well these days?
RM: I'm eating too well, it's a problem..
Trans cr; Aditi
2.
💜: 남주나 보고싶구나…. 잘지내?🥺🥺 RM: 언제나 그렇듯 ! https://weverse.io/bts/fanpost/2-136865113?anchor=1-275122912
💜: Namjoon, turns out I miss you.... are you doing well?🥺🥺 RM: Same as always !
Trans cr; Aditi
3.
💜: 아직 100키로는 준비가 안됏어 오빠 RM: 내 몸이랑 72에서 합의보기로 했어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00572?anchor=3-282579532
💜: Not ready for 100kg yet oppa RM: My body and I have reached an agreement and settled on 72kg
Trans cr; Aditi
4.
💜: 오빠 최근에 읽은 책 있나요? 책을 읽기 시작하고 싶은데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RM: 언어의 무게 RM: 내다 못 읽었어요.. https://weverse.io/bts/fanpost/1-136879294
💜: Have you ready any books lately? I want to start reading, could you recommend something?
RM: The Weight of Words*
RM: I haven't read it either..
(T/N: *'Das Gewicht der Worte' by Pascal Mercier.)
Trans cr; Aditi
5.

💜: 보고 싶어요 RM: 아 내 머리 RM: 어제 다 밀어버렸다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01673
💜: I miss you
RM: Ahh my hair
RM: I cut it all off yesterday
Trans cr; Aditi
6.
💜: 남준쓰 몸무게 세자리 진짜 볼수있을까?ㅋㅋㅋ RM: 곧 운동할 예정 https://weverse.io/bts/fanpost/1-136879873?anchor=4-282590078
💜: Namjoonss will we actually see your weight reach three digits? hahaha
RM: Planning on working out soon
Trans cr; Aditi
7.
💜: 너무 많이 보고싶어 그리워 나는, 아미는 이자리 그대로 가만히 기다릴게 다치지말고 무사히 돌아와. 너의 군대썰 들을 날을 기다린다. RM: 얼마나 재밌을까~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02911?anchor=1-275125643
💜: I miss you so much I truly miss you Me, and ARMY, are going to wait here, in this place we've always been Take care not to get hurt and come back safe. I'm waiting for the day you'll tell us about your stories from the army.
RM: I can imagine how fun it'll be~
Trans cr; Aditi
8.
💜: 익숙해지기 많이 힘들죠? RM: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랍니다 https://weverse.io/bts/fanpost/0-136863606?anchor=4-282592323
💜: Getting used to things is pretty hard, right?
RM: They say that humans are creatures of adaptability.
Trans cr; Aditi
9.
💜: 오늘의 안주 추천 RM: 세꼬시 슛 !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04759?anchor=4-282593093
💜: Recommendations for snacks to go with drinks please!
RM: Sekkosi shoot!
Trans cr; Aditi
10.
💜: 김남준 답장 하나면 편히 죽으면 돼 RM: 제가 불편해요 https://weverse.io/bts/fanpost/4-154416760?anchor=0-275143384
💜: Just one reply from Kim Namjoon and I can die peacefully
RM: I will not feel peace
Trans cr; Aditi
11.
RM's and Jimin's Comments 💬 on ARMY's Post ❇️
💜: 냄준… 얼마나 더 멋있어졌을까…. RM: 늙으면 안되는데 RM: 안티에이징 슛! JM: 안늙어야지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06539
💜: Naemjoon… how much cooler you must've gotten….
RM: Gotta make sure I don't age but
RM: Anti-aging shoot!
JM: Gotta stop aging
Trans cr; Aditi
12.
RM's Comments 💬 on ARMY's Posts ❇️
💜: 남준이 태형을 잘 관리해야 한다고 하지 않았나요? 하하하 RM: 서른살 어른 알아서 하겠지 RM: 이미 태형이가 절 넘었습니다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07874
💜: Didn't Namjoon say that he was going to take care of Taehyung well? Hahaha
RM: He's 30 years old, he's probably doing fine on his own
RM: Taehyungie has already surpassed me
Trans cr; Aditi
13.
💜: 남준이는 요즘 살이 쪘니? RM: 69 -> 73 https://weverse.io/bts/fanpost/0-136866192?anchor=4-282597033
💜: Namjoonie have you gained weight recently?
RM: 69 -> 73
Trans cr; Aditi
14.
RM's and Jimin's Comments 💬 on ARMY's Post ❇️
💜: 남준씨가 내 댓글에 답변 달아줄때까지 숨 참을게요 RM: 러브다이브 JM: 숨 안참았을 걸 https://weverse.io/bts/fanpost/1-136883701?anchor=3-282589904
💜: I'm going to hold my breath until Namjoon-ssi replies to my comment.
RM: Love Dive*
JM: You probably didn't hold your breath
(T/N: *Song by IVE which has the refrain ""hold your breath, love dive"".)
Trans cr; Aditi
15.
RM's Comments 💬 on ARMY's Posts ❇️
💜: 안녕하세요 남준오빠, 최근 복무 중 재미있는 일 있었나요? 🤷🤷 RM: 너무 많은데 RM: 언젠가 얘기할 날이.오겠지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10453
💜: Hello Namjoon oppa, any fun stories recently from the military? 🤷🤷
RM: There's too many
RM: I'll be able to tell them someday. Probably, right?
Trans cr; Aditi
16.
💜: 치팅데이할때 어떤 음식을 먹나요?? RM: 라면좀 끊어야할거같아요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11345?anchor=1-275129462
💜: What do you eat on cheat days??
RM: I think I'm gonna have to make some ramyeon.
Trans cr; Aditi
17.
💜: 허어어엉 내일부로 진짜 고삼인데 파이팅 한 번 해 줘요 아자잣!!! RM: 허ㅏ이띠이잉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12184?anchor=0-275146358
💜: Wahhhhh I'm gonna be a final-year high school student from tomorrow on, please give me some encouragement!!!
RM: Lettsgo oooooo
Trans cr; Aditi
18.
💜: 남준아 이번 일요일에 뭐해? RM: 운동하고 연습할 예정 RM: 독서는 언제쯤.. https://weverse.io/bts/fanpost/1-136885881
💜: Namjoon-ah, what are you doing this Sunday?
RM: Planning on working out and rehearsing.
RM: Gotta read at some point..
Trans cr; Aditi
19.
💜: 냄준오빠... 오랜만인데도 여전히 웃긴사람이네여 오빠가 젤웃김 RM: 웃는자가 일류다 https://weverse.io/bts/fanpost/4-154427417?anchor=0-275148043
💜: Naemjoon oppa… it's been a while but you're still so funny You're the funniest
RM: The people who laugh are the best
Trans cr; Aditi
20.
💜: 남준아 내 포스트 안읽어주면 공주안할끄야 RM: 왕자 슛 https://weverse.io/bts/fanpost/2-136874216?anchor=1-275132160
💜: Namjoon-ah, if you don't read my post I'm not going to be a princess
RM: Prince, shoot
Trans cr; Aditi
21.
💜: 춤을 춰보긴 해요? RM: 그게 가장 걱정인데..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21578?anchor=4-282606647
💜: Do you still dance a bit?
RM: It's the thing that worries me the most…
Trans cr; Aditi
22.
💜: 주말은 쉬나요?? RM: 네 RM: 저 여기와서 릴스라는걸 처음 보기ㅜ시작 RM: mz들에게 배운다 https://weverse.io/bts/fanpost/1-136890030
💜: Do you have time off on weekends??
RM: Yes
RM: I've started watching reels for the first time since I came here
RM: I'm learning from the Gen Zs
Trans cr; Aditi
23.
💜: 남준아아아아 보고싶어요즘 어떻게 지내? RM: 다시 연습생 하는 기분 RM: 새롭습니다 https://weverse.io/bts/fanpost/4-154441111
💜: Namjoon-aaaaaah I miss you how are you these days?
RM: I feel like I'm a trainee again
RM: It's a new experience
Trans cr; Aditi
24.
💜: 남준아 요즘 정말 잘생겼어 RM: 언제봤어 https://weverse.io/bts/fanpost/1-136894665?anchor=4-282613368
💜: Namjoon-ah you're so handsome these days
RM: When did you see me
Trans cr; Aditi
25.
💜: 남준 보고싶어요 그리고 소년들 입시를 못해서 좀 아쉽지만 우리와 교류하는 모습을 보니 힘이 나네요 사랑해요 자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M: 입시는 언제나 쉽지 않아요 https://weverse.io/bts/fanpost/2-136881055?anchor=1-275137106
💜: Namjoon I miss you and I'm a bit sad since the members couldn't clear the entrance exam but seeing the things you share with us gives me strength I love you, thank you for showing off*
RM: Entrance exams are never easy
(T/N: *The Korean in the original post was likely translated using an online translator.)
Trans cr; Aditi
26.

💜: 눈 깜짝할 사이에 3월이네요 7명을 만나는 날까지 건강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지~ 남준오빠 많이 보고싶어요 잘 먹고 잘 움직이고, 웃는 얼굴로 있기를 바랍니다 RM: 봄이 오고 있습니다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34789?anchor=0-275154883
💜: I blinked and it's suddenly March Gotta work hard so that I can be healthy for the day I see all 7~
Namjoon oppa, I miss you a lot I hope you eat well, move well, and ke smiling
RM: Spring is coming
Trans cr; Aditi
27.
Jimin's Post ❇️
휴 정말 정말 보고싶네요 매일매일 밤마다 생각합니다 https://weverse.io/bts/artist/3-154442593
Sigh I really really miss you, I think of you every single night
Trans cr; Aditi
28.
RM's Comments 💬 on ARMY's Posts ❇️

💜: 오늘은 일본은 히나 축제 🎎 올해는 병아리 인형을 꺼내지 않았지만, 축하에 초밥에서도 먹을까요? 천국에 있는 아줌마도 정말 좋아하는 치라시 스시♡ RM: 아 스시먹고싶어요 RM: 여긴 스시가.. 없..어요 https://weverse.io/bts/fanpost/2-136886019
💜: It's Hinamatsuri in Japan today🎎 I didn't bring out my baby chick doll today but, shall we eat some sushi to celebrate? The sushi that even the ladies in heaven like - Chirashi sushi♡
RM: Ah I wanna have sushi
RM: There's no.. sushi.. here
Trans cr; Aditi
29.
💜: 일병이 된 기분? RM: 아 이제 시작이네... https://weverse.io/bts/fanpost/4-154453568?anchor=3-282614821
💜: How does it feel to be a Private?
RM: Ah, so this is the beginning…
Trans cr; Aditi
30.
💜: 귀하의 새 프로젝트가 귀하 없이 출시됩니까? RM: 어 뭐랄까 RM: 굉장히 철학적인데 https://weverse.io/bts/fanpost/2-136887591
💜: Is sir's new project going to be released without sir?
RM: Hmm how should I put it
RM: It's very philosophical
Trans cr; Aditi
31.
Jimin's Post ❇️ with RM's Comment 💬
JM: 결국 시간이 가고 우리는 보고 있겠죠 그날만을 기다립니다. 항상 거기에 있다고 편지 남겨주셔서 고마워요 저도 여기에 있답니다 😪 RM: 시간은 간다 https://weverse.io/bts/artist/3-154451188
JM: Time will pass and we will see each other in the end, right? Im just waiting for that day. Thank you for writing your letters saying that you'll be there. I'm here too 😪
RM: Time does pass
Trans cr; Aditi
32.
RM's and Jimin's Comments 💬 on ARMY's Post ❇️
💜: 지민씨 안녕하세요? 정말 보고싶어💜 RM: 지민이 바보 RM: 똥개 RM: 멍충이 JM: ;;; https://weverse.io/bts/fanpost/3-154451461
💜: Hello Jimin I really miss you💜
RM: Stupid Jiminie
RM: Poopy head
RM: Idiot
JM: ;;;
Trans cr; Aditi
33.
Jimin's Post ❇️ with J-Hope's Comment 💬
JM: 사랑합니다 love you ¡Te amo Je t'aime Ich liebe dich Ti amo Eu te amo Я тебя люблю 我爱你 愛してるSeni seviyorum Ik hou van jou Jag älskar dig Σε αγαπώ Minä rakastan sinua Jeg elsker dig Jeg elsker deg Kocham cię Szeretlek Miluji tě Aku cinta kamu Saya cintakan awak ฉันรักเธอ Tôi yêu bạn Mahal kita मैं तुम्हें प्यार करता हूँ Я тебе кохаю Te iubesc те Волим Volim te Ľúbim ťa JH: 통신보안 📞 https://weverse.io/bts/artist/2-136912166?anchor=0-275222026
JM: I love you*
JH: Communications security📞
(T/N: Followed by 'I love you' in English, Spanish, French, Italian, Portuguese, Russian, Japanese, Turkish, Dutch, Swedish, Greek, Finnish, Danish, Norwegian, Polish, Hungarian, Czech, Indonesian, Malay, Thai, Vietnamese, Tagalog, Hindi, Ukrainian, Romanian, Serbian, Croatian, and Slovak.)
Trans cr; Aditi
#240303#enjoy this nice long weverse post#rm#namjoon#jimin#jhope#hoseok#hobi#we miss all of them 🥺#stay safe and healthy tannies#weverse#comment#post#omg#waking up to all the notifs was both wonderful and overwhelming#sorry for the delay it took a while to post#bts#bangtan
44 notes
·
View notes
Text
두달만에 아침 운동을 했다. 무게 횟수 시간 같은 숫자들은 잊고 본능적으로 움직였다. 가벼우면 더 무거운 걸 들었고, 자세가 유지되지 않거나 통증이 느껴지면 멈췄다. 움직일 때나 쉴 때나 호흡 생각만 했다. 땀이 났다가 식을 때마다 얼마 전 화장실 배수구 막힌 걸 뚫었을 때랑 비슷한 기분이 들었다. 날 막고 있던 건 뭘까.
12 notes
·
View notes
Text
좌우 무게 차이로 인한 기울어짐과 손전등 조명이 그러데이션인데 단색화 되어서 아쉽지만 잘 나왔음. 😎👍


15 notes
·
View notes
Text
도덕적 결정에서 추론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아동 발달에서도 드러난다. 아동의 도덕성이 점차 복잡해지는 단계로 발달한다고 했던 콜버그의 이론은 아동의 논리 능력이 점차 복잡해지는 단계로 발달한다고 했던 피아제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두 과정은 신경생물학적으로 비슷하다. 우리가 경제적 혹은 윤리적 결정의 옳고 그름을 논리적으로 추론할 때나 도덕적으로 추론할 때나 똑같이 (인지적)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이 활성화한다. 강박반응성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일상적 의사결정에서도 도덕적 결정에서도 똑같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두 행동을 할 때 똑같이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이 날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마음 이론 작업을 할 때는 그것이 지각적 작업이든 (가령 복잡한 장면을 타인의 관점에서 시각화해보는 작업), 도덕과 무관한 작업이든(가령 『한여름 밤의 꿈』에서 누가 누구와 사랑에 빠졌는지를 똑바로 기억하는 작업), 도덕적/사회적 작업이든(가령 타인의 행동에서 윤리적 동기를 추리해내는 작업) 똑같이 관자마루이음부가 활성화한다. 게다가 이때 관자마루이음부가 더 많이 활성화할수록 피험자들이 도덕적 판단에서 의도를 더 많이 고려했다. 특히 해칠 의도가 있었지만 실제 해는 가해지지 않은 상황에 대해서 그랬다. 더 중요한 발견으로, 만약 피험자들의 관자마루이음부를 경두개자기자극술로 억제하면, 피험자들은 의도를 덜 고려하게 되었다.
우리가 도덕적 추론에 동원하는 인지 과정들은 결코 완벽하지 않다. 취약성, 불균형, 비대칭이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일례로, 우리는 피해가 발생하도록 놔두는 행동보다 피해를 직접 가하는 행동을 더 나쁘게 여긴다. 같은 결과에 대해서 보통 태만보다 실행을 더 엄하게 판단하고,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을 더 많이 활성화해야만 양쪽을 동등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이 현상은 이치에 맞는다. 우리가 어떤 일을 실행할 때는 그 선택 때문에 놓친 다른 많은 일들이 있기 마련이니까. 실행이 태만보다 심리적으로 더 무게 있게 느껴질 법도 하다. 또다른 인지적 편향의 사례는 10장에서 말했던 것으로, 우리가 똑같은 사회적 계약 위반 행위라도 이로운 결과를 내는 행위보다 해로운 결과를 내는 행위를 더 잘 감지한다는 점이다(그리하여 잘못된 귀인을 더 많이 생각해낸다).
이 현상을 잘 보여준 실험이 있었다. 첫번째 시나리오. 한 노동자가 상사에게 어떤 계획을 제안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이렇게 하면 큰 이익이 발생할테고, 그 과정에서 환경을 해치게 됩니다.” 상사는 대답한다. “환경은 상관 안 합니다. 그렇게 하지요.” 두번째 시나리오. 설정이 같지만, 이번에는 큰 이익과 더불어 환경에도 이득이 생긴다. 상사. “환경은 상관 안 합니다. 그렇게 하지요.” 첫번째 시나리오를 들었을 때, 피험자의 85%는 상사가 이득을 늘리려는 목적으로 환경을 해쳤다고 말했다. 하지만 두번째 시나리오를 들었을 때는, 피험자는 23%만이 상사가 이득을 늘리려는 목적으로 환경에 유익한 일을 했다고 말했다.
(581~582쪽)
다만 이 결론에는 문제가 있다. 우리는 종종 자신이 어떤 판단을 내린 이유를 전혀 모르면서도 그 판단이 옳다고 진심으로 믿는다.
이것은 11장에서도 보았던 현상이다. 우리가 우리/그들에 대해서 순식간에 암묵적 평가를 내려놓고는 사후에 이성으로써 그 내장감각적 편견을 합리화하는 현상 말이다. 그래서 최근 도덕철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도덕적 결정이 암묵적이고, 직관적이고, 정서에 기반한 작업이라는 것을 점점 더 강조하는 추세다.
이런 ‘사회적 직관주의social intuitionism‘ 학파의 대표자는 우리가 앞에서 만났던 조너선 하이트다. 하이트는 우리가 주로 직관에 근거하여 도덕적 결정을 내린다고 보고, 추론은 우리가 그다음에야 자신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자기 자신을 비롯한 모두에게 설득시키기 위해서 동원하는 수단이라고 본다. 하이트는 “도덕적 사고는 사회적 수행을 위한 것”이라는 적절한 표현으로 설명하는데, 사회성에는 늘 정서적 요소가 포함되는 법이다.
사회적 직관주의 학파를 뒷받침하는 증거는 많다.
우리가 도덕적 결정을 숙고할 때, 이지적인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만 활성화하는 게 아니다. 예의 정서적 영역들도 활성화한다. 편도체,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 그리고 이 영역들과 연관된 눈확이마앞엽 겉질, 섬겉질, 앞띠이랑 겉질도 활성화한다. 우리가 고민하는 도덕적 일탈이 어떤 종류인가에 따라서 이 영역들 중에서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는 조합이 달라진다. 동정을 일으키는 도덕적 궁지라면 섬겉질이 우선적으로 활성화하고, 분개를 일으키는 도덕적 궁지라면 눈확이마앞엽 겉질이 우선적으로 활성화하고, 첨예한 갈등을 일으키는 도덕적 궁지라면 앞띠이랑 겉질이 우선적으로 활성화한다. 마지막으로, 똑같이 도덕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평가되는 행동이라도 성적이지 않은 일탈(가령 형제자매의 재물을 훔치는 것)에 대해서도 편도체가 활성화하는 데 비해 성적인 일탈(가령 형제자매와 섹스하는 것)에 대해서는 섬겉질도 함께 활성화한다.
게다가 저런 영역들이 충분히 강하게 활성화할 때는 교감신경계도 함께 활성화하여 우리를 각성시킨다. 여러분도 이제 알다시피, 이런 말초신경계의 반응은 뇌로 되먹임되어서 다시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 우리가 도덕적 선택에 직면했을 때,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은 완벽한 고요함 속에서 차분히 숙고하는 게 아니다. 그 밑에서는 항상 무언가가 부글부글 끓고 있다.
이런 영역들의 활성화 패턴이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의 활성화 패턴보다 도덕적 결정을 더 잘 예측한다. 행동을 봐도 그렇다. 사람들은 비윤리적인 행동을 하는 대상에게 느끼는 노여움의 정도에 비례하여 그를 처벌한다.
사람들은 도덕적 반응을 즉각적으로 하는 편이다. 게다가 피험자들은 어떤 행동의 도덕적이지 않은 요소를 판단할 때는 비례 도덕적 요소를 판단할 때 평가를 더 빨리 내린다. 이것은 도덕적 결정이 인지적 숙고에서 나온다는 가설에 정면으로 반대되는 현상이다. 더 충격적인 점도 있다. 우리가 도덕적 궁지에 직면했을 때, 편도체와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과 섬겉질이 보통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보다 먼저 활성화한다.
이런 직관주의적 뇌 영역들이 손상된 사람은 도덕적 판단을 내릴 때보다 실용적인, 심지어 내정하기까지 한 성향을 보인다. 10장의 사례를 떠올려보자. (정서적)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이 손상된 사람들은 제 친척 한 명을 희생해서 낯선 사람 다섯 명을 구하는 결정을 선뜻 지지한다. 통제군 피험자들은 결코 지지않지 않는 결정이다.
가장 의미심장한 증거는 우리가 강력한 도덕적 의견을 갖고 있지만 그 이유를 말하라고 해도 말하지 못하고―하이트는 이것을 “도덕적 말 막힘”이라고 부른다―사후에 엉터리 합리화로 무마하는 때가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런 도덕적 결정은 감정적 환경이나 내장감각적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뚜렷하게 달라지곤 하며, 그럴 때 우리는 전혀 다른 합리화를 덧붙인다. 앞 장에서 보았던 예로, 사람들은 악취를 맡는 상황이나 더러운 책상에 앉은 상황에서 사회적 판단이 평소보다 더 보수적인 쪽으로 기운다. 그리고 진짜 놀라운 이런 발견이 있었다. 우리가 어느 판사의 판결을 예측하고 싶다면 그가 플라톤, 니체, 롤스, 그 밖에 내가 지금 되는대로 주워섬기는 이름들에 대해서 어떤 학술적 견해를 갖고 있었는지를 아는 것보다 그가 지금 배고픈지 아닌지를 아는 편이 더 도움된다.
도덕성의 뿌리가 사회적 직관에 있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증거는 또 있다. 도덕적 추론 능력이 제한된 두 종류의 생명체들도 도덕적 판단을 하곤 한다는 사실이다.
앞에서 아기들도 위계의 기초를 알고 우리/그들 사고를 한다고 말했는데, 아기들은 또한 도덕적 추론의 기본 요소도 갖고 있다. 우선, 아기들은 실행과 태만을 다르게 평가하는 편향을 갖고 있다. 이 사실을 보여준 영리한 실험이 있었다. 연구자들은 생후 6개월 된 아기들에게 모양이 같지만 색깔이 각각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다른 두 물체가 나오는 장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어떤 사람이 둘 중 파란색 물체를 반복적으로 집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다가 한 번은 그 사람이 빨간색 물체를 집는다. 그러자 아기들은 더 흥미를 보였고, 더 오래 쳐다보았으며, 호흡이 빨라졌다. 이것이 이전과는 다른 상황인 듯하다는 걸 아는 것이다. 다음을, 연구자들은 모양이 같지만 하나는 파란색이고 다른 하나는 그 밖의 색깔인 두 물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어떤 사람이 반복적으로 파란색이 아닌 다른 색깔 물체만을 집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그 물체의 색깔은 계속 바뀌었다). 그러다 갑자기 그가 파란색 물체를 집는다. 하지만 아기들은 딱히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저 사람은 파란색을 절대로 집지 않아”보다 “저 사람은 늘 파란색을 집어”를 이해하기가 더 쉬운 것이다. 우리는 실행을 더 무게 있게 여긴다.
영유아들은 또 일말의 정의감을 갖고 있다. 프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의 카일리 햄린, 예일대학교의 폴 블룸과 캐런 윈의 실험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들은 생후 6~12개월 된 아기들에게 어떤 동그라미가 언덕을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착한 삼각형은 동그라미를 밀어서 돕는다. 못된 사각형은 동그라미를 막는다. 이 모습을 보여준 뒤, 아기들에게 삼각형이나 사각형을 만질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러자 아기들은 삼각형을 골랐다.[*이것이 아기들의 사회적 뇌와 관련된 현상임을 증명하는 사실이 있다. 이 현상이 도형에 눈알을 붙여서 의인화한 경우에만 나타났다는 것이다.] 아기들이 착한 물체를 좋아하는 걸까, 아니면 못된 물체를 싫어하는 걸까? 둘 다였다. 아기들은 중립적 도형보다 착한 삼각형을 선호했고, 못된 사각형보다 중립적 도형을 선호했다.
아기들은 나쁜 행동을 처벌하는 것도 지지한다. 연구자들은 아기들에게 착한 꼭두각시 인형과 못된 꼭두각시 인형을 보여주었다(친구들과 나눌 줄 아는 인형과 그렇지 않은 인형이다). 그다음 두 인형이 사탕 더미 위에 올라 앉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어느 인형에게서 사탕을 하나 빼앗아야 할까? 못된 인형이다. 어느 인형에게 사탕을 더 줘야 할까? 착한 인형이다.
놀랍게도, 아기들은 2차 처벌 개념도 안다. 그다음으로 연구자들은 착한 인형과 못된 인형이 다른 두 인형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두 번째 인형들이 첫번째 인형들에게 착하게 굴거나 못되게 구는 모습이었다. 아기들은 두번째 인형들 중 어느 쪽을 선호할까? 착한 인형에게 착하게 굴고 못된 인형에게 못되게 구는 인형이었다.
다른 영장류들도 초보적인 도덕적 판단을 보여주곤 한다. 이 분야의 연구는 프란스 드 발과 세바 브로스넌의 훌륭한 2003년 논문에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꼬리감는원숭이들에게 한 가지 작업을 가르쳤다. 먼저 사람이 원숭이에게 약간의 흥미로운 작은 물체, 즉 조약돌을 준다. 그다음 원숭이에게 손바닥을 펼쳐 내보이는데, 이것은 꼬리감는원숭이들 세계에서 요구의 몸짓이다. 원숭이가 조약돌을 사람의 손에 얹어주면, 사람은 먹이로 보상해준다. 요컨대, 원숭이들은 먹이를 구입하는 법을 배웠다.
이제 두 원숭이를 나란히 둔다. 둘에게 조약돌을 하나씩 준다. 둘 다 조약돌을 사람에게 건넨다. 둘 다 아주 맛있는 보상인 포도를 하나씩 받는다.
상황을 바꿔보자. 두 원숭이가 모두 조약돌이라는 대가를 치렀다. 그래서 원숭이 1은 포도를 받지만, 원숭이 2는 오이를 받는다. 오이는 포도에 비하면 형편없는 먹이다. 꼬리감는원숭이들은 90%의 확률로 오이보다 포도를 선호한다. 원숭이 2는 속았다.
원숭이 2는 어떻게 할까? 보통 사람에게 오이를 던지거나 짜증나서 사방을 두드려댄다. 그보다 더 일관된 반응으로, 그런 원숭이들은 다음번에는 조약돌을 건네지 않는다. 『네이처』에 실련던 논문 제목마따나, “원숭이들은 불평등 임금을 거부한다”.
(583~587쪽)
이처럼 사회적 직관은 도덕적 결정에서 크고 유용한 역할을 맡는다. 그러면 이제 추론과 직관 중 어느 쪽이 더 중요한지 따져봐야 할까? 이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무엇보다도 추론과 직관이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임금 불평등에 항의하고자 도시를 마비시킨 시위자들이 있다고 하자. 우리는 그들이 콜버그의 추론 모형 중 후 관습적 단계로 추론하는 사람들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을 적용하여, 권위에 대한 존중보다 공평성에 더 공감하는 도덕적 직관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론이냐 직관이냐 입씨름하는 것보다 더 흥미로운 것은 서로 연관된 두 가지 질문이다.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 둘 중 한쪽을 강조하는 편향을 보일까? 강조점이 달라지면 결정도 달라질까?
앞서 보았듯,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조슈아 그린과 동료들은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는가?‘를 따지는 철학적 탐구의 대표적 상황, 즉 통제 불능의 트롤리 문제를 활용해서 이 질문들을 탐구해보았다. 브레이크가 고장난 트롤리가 레일을 달려오고 있다. 가만두면 다섯 명이 치여 죽을 판국이다. 이때 우리가 다섯 명을 구��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다른 한 명을 죽이게 되는 조치를 취해도 괜찮을까?
인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 트롤리를 달리게 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 이 문제를 고민해왔는데,[*사실 트롤리 문제는 1967년 영국 철학자 필리파 푸트가 처음 고안했다.] 그린과 동료들은 거기에 뇌과학을 더했다. 그들은 피험자가 트롤리 윤리를 고민하는 동안 그의 뇌를 영상으로 촬영했다. 이때 피험자들은 두 가지 시나리오를 상상했다. 시나리오 1. 트롤리가 오고 있다. 다섯 명이 죽을 판국이다. 당신은 레버를 당겨서 트롤리의 진로를 바꾸겠는가? 그러면 다른 한 사람이 죽게 되는데도(트롤리 문제의 원형이다)? 시나리오 2. 같은 상황이다. 당신은 다른 한 사람을 레일로 밀어서 트롤리를 막아 세우겠는가?
이제 여러분도 각 상황에서 어떤 뇌 영역(들)이 활성화하는지를 충분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피험자들이 레버를 당기는 것을 고민할 때는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이 지배적으로 활성화한다. 초연하고 이지적인 도덕적 추론이다. 한편, 사람을 밀어서 죽음을 초래하는 것을 고민할 때는 내쪽안쪽이마앞엽 겉질(과 편도체)이 지배적으로 활성화한다. 내장감각적인 도덕적 직관이다.
당신은 레버를 당기겠는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결과인바, 60~70%의 피험자들은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을 열심히 가동시키면서 그렇다고 대답한다. 다섯 명을 살리고자 한 명을 죽이는 공리주의적 해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면, 당신은 직접 한 사람을 레일로 밀치겠는가? 이 질문에는 30%만이 그러겠다고 대답한다. 그리고 이때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편도체가 더 많이 활성화할수록 피험자가 거부할 가능성이 더 높다.[*그리고 앞에서 언급했듯이,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이 손상된 사람은 레버를 당기는 선택지든 직접 사람을 밀치는 선택지든 똑같이 기꺼이 하겠다고 대답한다. 사람들에게 벤조디아제핀(발륨 같은 진정제를 말한다)을 투여한 때에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 그러면 배쪽안쪽이마앞엽 겉질과 편도체가 착 가라앉고(약물의 직접적 효과와 교감신경계 둔화로 인한 이차적 효과가 함께 작용한 것이다), 사람들은 더 기꺼이 희생자를 밀치겠다고 답한다.] 이것은 엄청나게 중요한 발견이다. 상대적으로 사소한 변수 하나 때문에 사람들이 도덕적 추론과 직관 중 어느 쪽을 강조하는가가 달라지고, 그 과정에서 사용되는 뇌 회로가 달라지며, 그리하여 극단적으로 다른 결정이 도출되는 것이다. 그린은 이 현상을 더 깊게 살펴보았다.
사람들이 후자의 시나리오대로 한 명을 죽여서 다섯 명을 살리는 공리주의적 거래에 저항감을 보이는 것은 자신이 직접 누군가의 몸에 손을 대어서 그를 죽음으로 몰아넣는다는 점이 께름칙하기 때문일까? 그린의 연구에 따르면, 그 때문이 아니다. 손으로 미는 대신 장대를 써서 민다고 해도, 사람들은 여전히 저항감을 느낀다. 자신이 힘을 들인다는 점 자체가 저항감을 부추기는 듯하다.
그러면 사람들이 레버 시나리오를 받아들이는 것은 피해자가 자기 앞이 아니라 멀리 있기 때문일까? 아닌 듯하다. 사람들은 레버가 죽게 될 사람 바로 옆에 있더라도 똑같이 선택한다.
그린은 여기에서 고의성에 관한 직관이 핵심 요소라고 주장한다. 레버 시나리오에서는 트롤리가 옆 레인으로 진로를 바꾸기 때문에 다섯 명이 산다. 다른 한 명이 죽는 것은 부작용이고, 만약 그가 옆 레인에 있지 않았더라도 원래 레인의 다섯 명은 살 것이다. 대조적으로, 사람을 미는 시나리오에서는 그 사람이 죽기 때문에 다섯 명이 산다. 이 고의성이 직관적으로 잘못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그 증거로서, 그린은 피험자들에게 또다른 시나리오를 줘보았다. 역시 트롤리가 달려오고 있고, 당신은 황급히 달려가서 트롤리를 멈출 스위치를 당기려고 한다. 그런데 당신은 스위치를 향해 달려가는 과정에서 길을 막고 있는 사람을 밀쳐야 하고, 그 사람은 그 때문에 넘어져서 죽는다. 그런데도 당신이 그렇게 해도 괜찮을까? 피험자의 약 80%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똑같이 사람을 밀치고, 똑같이 피해자와 가까이 있지만, 고의적이지 않은 행동이니까 이것은 부작용이 된다. 그 사람은 다섯 명을 살릴 수단으로서 죽은 게 아니다. 그래서 이 상황은 훨씬 더 괜찮은 것처럼 보인다.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들어보자. ‘루프’ 시나리오다. 이번에도 당신은 레버를 당김으로써 트롤리가 옆 레인으로 빠지도록 만든다. 하지만―맙소사!―레인이 루프 모양이다. 옆 레인은 굽어져서 결국 원래의 레인과 만난다. 원래 레인에는 다섯 명이 있지만, 만약 옆 레인에 있는 한 사람이 죽는다면, 트롤리가 거기서 멈추므로 다섯 명은 무사하다. 이것은 피험자가 직접 한 사람을 미는 것과 동일한 고의성을 가진 시나리오다. 트롤리를 옆 레인으로 보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반드시 한 사람이 죽어야 하니까. 그렇다면 논리적으로 피험자의 약 30%만이 이 시나리오에 찬성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60~70%가 찬성한다.
그린은 (이 시나리오와 그 밖에도 루프와 비슷한 다른 시나리오들의 결과를 근거로) 직관주의자의 우주가 대단히 국지적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다섯 명을 살리는 수단으로서 고의로 누군가를 죽이는 것은 직관적으로 잘못된 일로 느껴진다. 하지만 그 직관은 죽음이 바로 지금, 바로 여기에서 벌어지는 상황일 때 가장 강하게 발휘되고, 고의성이 그보다 더 복잡한 단계를 거쳐 전개될 때는 그렇게까지 나쁘게 느껴지지 않는다. 이것은 사람들의 인지 능력 한계 때문이 아니다. 피험자들은 루프 시나리오에서 한 명이 반드시 죽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게 아니다. 그냥 똑같이 느껴지지가 않을 뿐이다. 달리 말해, 직관은 공간과 시간을 과도하게 할인한다. 인과에 대한 이런 근시안은 자동적으로 빠르게 작동하는 뇌의 입장에서는 자연스러운 것인지도 모른다. 이것은 태만의 죄보다 실행의 죄를 더 나쁘게 느끼는 근시안과 비슷한 종류다.
이런 연구들이 암시하는바, 만약 한 사람의 희생에 능동적이고 고의적이고 국지적인 행동이 요구된다면, 우리 뇌에서는 직관적 뇌 회로가 더 많이 활성화하여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반면 피해가 고의적이지 않은 상황이거나 고의성이 심리적 거리를 두고 전개되는 상황이라면, 우리 뇌에서는 다른 뇌 회로가 지배적으로 활성화하여 수단과 목적의 도덕성에 대해서 정반대의 결론을 내린다.
우리가 트롤리학에서 끌어낼 수 있는 더 폭넓은 논점이 하나 있으니, 도덕적 결정이 맥락에 크게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맥락 변화의 핵심은 직관주의적 도적의 국지성을 바꾸는 데 있을 때가 많다.
(592~595쪽)
행동 - 로버트 새폴스키
6 notes
·
View notes
Text


"절권도의 길과 땅고"
땅고 추는 여성들은 어느 남자가 잘 추는지 뒤에서 정보 교환한다고 들었다. 남자끼린 이런 얘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 거 같다. 이유는 단순하고 상당히 속물적일 거로 본다. 노골적으로 까 놓고 말해 춤 못 춰도 이쁘면 다들 추려고 할 테니까. 그럼에도 누가 느낌이 좋고, 나쁘고 평가를 하긴 하던데, 난 세 가지 이유로 이런 짓을 하지 않는다.
첫째, 타인이 나에 대해 좋아요 싫어요 이러쿵저러쿵 평가하는 행위를 불편해하고 때때로 불쾌함을 느낄 때도 있다. 같은 논리로 내가 남에 대해 뭐라고 하는 태도를 취할 순 없는 거. 한때 유행했던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이란 말. 이걸 유머로 써먹어 망정이지 비교당하는 거 좋아할 사람이 있겠냐고. 처음 땅고판에 들어왔을 땐 별생각 없이 이 대화에 끼곤 했지만 어느 때 스스로 문제를 자각한 뒤부터 안 한다.
이걸 주제로 한 밀롱가 곡도 있다. 제목은 "나에 대해 하는 말들(=Se Dice de Mi)"이고 가사는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내가 난폭하다고 하지. 거칠게 걷고, 삐뚤어졌고, 허세 부리며 움직인다고…중략… 남자 놈들은 내 목소리, 걸음걸이, 외모, 심지어 기침 소리까지도 수군댄다. 몸매가 변했다거나… 내가 가는지, 오는지까지도 하나하나 신경 쓴다고. 정말 많은 이야기를 해, 만약 내 존재가 중요하지 않다면, 왜 그들은 나에 대해 신경을 쓰며 미쳐가는 걸까?"
둘째, 이미 여러 번 얘기했듯이 '땅고 = 합기도'라고 보기 때문에 나와 합(合)이 잘 맞거나 그렇지 못한 여성이 있을 뿐, 객관적으로 춤을 잘 추는 여성에 대해선 할 말이 없다.
이른바 '라인'이 좋은 걸 잘 추는 거로 착각들을 많이 하는 듯한데 타고난 각선미는 공연할 땐 절대로 필요하지만, 밀롱가에선 의미 없다.
셋째, 초보자와 합을 잘 맞추는 능력 키우는 것이 진정 몸공부다. 이거는 내가 무술 덕질할 때 읽은 책에서 배운 거.
'절권도의 길(=Tao of Jee Kun Do)'은 이소룡 사후에 유족이 그가 남긴 원고를 모아 편집해 출판한 책이다. 여기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 모든 타입의 사람들과 스파링을 한다는 것은 훌륭한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겠다. 예를 들어 키가 큰 사람, 키가 작은 사람, 빠른 사람, 서투른 사람… 더구나 서투른 상대는 그의 서투름이 마치 일종의 변칙적인 리듬과 같이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그보다 더욱 뛰어난 상대를 당황하게 만들것이다. 가장 으뜸가는 스파링 파트너는 비록 무술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 하더라도 빠르고 힘찬 사람이다. 마치 미친 사람처럼 할퀴고, 쥐어뜯고, 갈기고, 발로 걷어차는 등 전력을 투구하는 사람이야말로 최고의 스파링 파트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땅고는 무술 아닌 춤이기 때문에 여성이 "마치 미친 사람처럼 할퀴고, 쥐어뜯고, 갈기"진 않지만, 초보 여성 움직임이 예측 불가능하단 점은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땅고를 방편으로 몸공부하는 자칭 도사라면 상대 여성의 무게 중심을 찾아 맞춘 뒤 시종일관 연결 상태를 잃지 않아야 한다. 게다가 상체를 밀착한 초기 조건에서 여성이 박치이거나, 등근육을 쓸 줄 모른다거나 따위는 (도사 입장에선) 죄다 변명일 뿐이다. 땅고 경력이 6개월을 넘긴 여성이라면 누구든지 편하게 춤출 수 있게 하려는 ���표가 있다.
매주 2~4회 밀롱가를 가는 행위 또한 놀기와 몸공부가 반반 섞여 있다. 얼마 전 '꾸준함에 관한 메모'란 제목으로 쓴 글처럼 밀롱가 출입하는 행위도 그렇다. 결과적으로 땅고에 접근하는 방식 또한 알젠틴 지도법에서 동떨여져 있어 스스로 외도(外道)임을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틀린 길은 아님을 밀롱가를 드나들며 경험을 축적하는 과정에서 확신을 얻었다.
접근법이 다르므로 일반적인 땅고 추는 남자가 리드하는 느낌과 다를 거로 예상한다. 다른 이에게선 찾을 수 없는 유일무이한 고유성이야말로 내가 추구하는 바이기도 해서 앞으로도 계속 이 길을 갈 것이다.
때때로 땅고 추는 여성에게 특이한 경험을 선사하는 댓가로 나는 몸공부 수련 기회를 얻는 물물교환을 하고 있는 것 같은 생각을 한다.
3 notes
·
View notes
Text



• 세월의 흔적 / 제자리에 없다
• 세월의 무게 / 무게가 다르다

5 notes
·
View notes
Text

삶의 무게 만큼이나 가벼운 생각 초라한 생각의보폭

몇일째 고심중중인 돕는 기부의 사안
더블어 사는것과 현실의 주머니사정
가장 가치있는 일은 역시 사랑의 아름다움

짧지만 짜릿했던 비행후의 휴가
살아가며 삶의 소중한 기억과 매일매일이 축제같은 인생의 추구!!!
평단가만 올라가고있는 나의 주식계좌들
조각들의 시간이 모아져 우리는 인생이라
칭한다
한구간도 버릴수없는 소중한 모든것
인생은 참 오케스트라 연주같다고 느껴진다
버려야 할것과 소중한 것을 지켜야 하는 것들의 선택이다

브라질의 대표적인
음식 슈아스코를 먹는 오랫만의 소확행
22 notes
·
View notes
Text
1. 글을 쓴다는 말은 왠지 그럴듯하게 들려서, 결핍이나 불안정과 다를 바 없는 것을 멋지게 이름 붙였던 거였을지도 모른다. 이게 내 마음을 다스리는 방식이라는 건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지만 평온할 때는 아무런 글도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처음 알았다. 기쁨이 되는 것들을 적을 때조차도 그건 어둠 속에서 발견한 기쁨이었던 것은 몰랐다. 어딘가 세상에 자취를 남기듯 글이 남는 것이 좋았다. 그런데 아무리 글이 좋아도, 몇 문장 적기 위해 불안정한 것보단 안정적이고 소재가 없는 편이 이롭겠다. 여태 이게 평온이라는 것을 모르고 지냈는데, 갑자기 글이 쓰고 싶어지는 걸 보니 무사히 평안을 누리고 있었구나. 소강을 유지하고 싶은 욕심에 피어오르는 문장들을 누르고 미루다가 이기지 못했다.
2. 낭만이 고갈되었다고 했을 때는 새로움이 없다는 것과 같은 말이었다. 어여쁜 성장이었다가 애처로운 성숙이었다가 반갑지 않은 노화가 되어버린 이 변화의 단계 속에서 몸도 마음도 닳고 소모된다. 새로움이 없다는 것은 평온하다는 말과 다르지 않을 수도 있겠다. 내게 더이상 가슴 떨리고 두려운 처음이 없고, 반가운 두 번째와 익숙한 세 번째, 지루한 네 번째, 지겨운 다섯 번째만 남았다는 것이 내 삶을 얄팍하고 단조롭게 만들었다. 무거워지는 몸과 함께 감정과 정신이 묵직하게 내려앉았다. 방법만 알 수 있다면, 무게 추를 전부 제거하고서 튀어 오르는 발걸음과 붕 뜨는 마음을 회복하고 싶다가도 어지러운 새로움 속에서 위태로울 자아를 생각하자니 겁이 나서 고개를 젓고 말아버린다.
3. 드디어 나를 멀뚱히 쳐다보던 현실을 마주 볼 수 있게 되었다. 좋은 것보다는 슬픈 것에 가깝다. 요즘에는 대단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욕심도 사그라들었다. 뭔가 열심히 해보고 싶은 마음도 전만큼 크지 않고, 그냥 흘러가는 대로 수동적으로 살고 싶기도 하다. 변덕스러운 사람이라 이러다가 또 내일 아침에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어른들의 말처럼 평범한 것도 어렵다는 것을 이제야 인정할 수 있다. 그동안 내 그릇에 맞지 않는 허황된 꿈을 꿨던 것은 아닌지, 내가 원하는 게 무엇인지 찬찬히 돌아보고 하나씩 소거하며 방향을 잡아보려고 하고 있다. 슬픔이 찾아와도, 현실이 나를 이렇게 만든 게 아니라 오롯이 스스로 선택한 길이니까 후회도 내 몫이라고 생각하면서, 그냥 이따금씩 아주 조금만 아쉬워하다가 말고 지내기로 하는 거다.
4. 지금 현재는 사랑의 부재가 나를 가장 힘들게 한다. 어쩌면 내게는 사랑이 오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유치한 체념을 할 때쯤 들려오는 좋은 소식에 그나마 정신을 바로잡았지만, 여전히 내 곁에는 그런 사람이 없다는 것이 힘들다. 주변에서 열심히 연애를 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나도 그냥 사랑 말고 연애를 할까 흔들리기도 한다. 분명 나에게 맞지 않는 처방인데, 사랑이 없는 연애 속에서 내 결핍은 불어날 걸 알면서도 올해가 지나기 전에는 규칙적으로 일상을 공유하고 만나는 대상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을 쉬이 떨칠 수가 없다.
5. 개운하고 맛있는 대화를 하는 게 이렇게 어려운 거였나 싶지만 답답한 건 나만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아직은 오만을 버리는 연습이 더 많이 필요하다. 나의 만족을 내려놓으니 간지러운 부위를 긁어볼 시도마저 좌절되어도 괜찮았다. 나도 이제는 듣기 좋은 말을 제법 자연스럽게 잘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다. 내가 한 점 거짓 없이 솔직한 것보다는 나를 속여서라도 상대를 무안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니까. 그렇게 나를 속이는 훈련이 쌓이다 보니 실제로도 제법 단순해졌다. 융통성이라고는 없던 나에게 새롭게 생긴 단순함이 꽤나 마음에 들었는데, 이대로 고유의 색을 잃게 될까 멈칫하게 된다. 보편적인 선호에 나를 맞추고 싶은 건지 나를 지키고 싶은 건지 갈팡질팡이다. 무리에 어울리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소망을 잠깐 보류하기로 했다.
6. 유년기부터 마음속에 품었던 욕구가 있다. 한때는 당연히 올 미래였고, 그러다가는 간절한 꿈이었고, 지금은 철없는 환상이 되었다. 완벽한 짝은 있을 수 없다고, 그냥 세상이 그렇게 설계된 것이라고 위안 삼으며 기대치를 아무리 낮추려고 해도 나도 모르게 실망이 뿌리를 내리면 이 마음을 어쩔 줄을 모르겠다. 나는 누군가를 사랑할 준비가 안되었나 보다. 서운함을 느끼는 것도 죄책감이 든다. 너를 그냥 이대로 사랑하고 싶다. 다른 것들에 앞서 부족함이 눈에 먼저 들어오지 않도록 애를 쓰면서도 맥을 못 추리고 힘없이 무너지는 나라서 미안하다. 무너진 마음을 일으키는 데 시간이 필요한 나라서 미안하다. 이렇게 부족하고 못난 사람이라 미안하다.
7. 나를 궁금해하지 않는 사람을 앞에 두고 할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자포자기 심정으로 입맛에 맞지 않는 사담을 늘어놓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서로 궁금하지도 않은 각자의 얘기만 나누는 영양가 없는 사이가 되었을지 모르겠다. 가끔 내가 용기 내 하는 질문은 그대로 튕겨져 나와 허공에 어색하게 둥둥 떠다닌다. 삶을 즐길 줄 아는 사람 옆에서 나는 매번 작아진다. 함께 시간을 보낸 후 나누지 못한 사연을 한가득 안은 귀갓길 공기는 나를 외롭게 만든다.
8. 서로 삶의 속도가 다르게 흘러가다 보니 저 멀리서 들려오는 소식 몇 가닥에 의존해 관계를 연명한다. 어느 날에는 가늘게 붙어있는 숨마저 툭 하고 끊기게 되는데, 그걸 알게 되었을 때는 이미 저만치 멀어져 남이 된 후였을 것이다. 우리에게 없는 건 마음이 아니라 시간뿐이니까 괜찮다고 말했었다. 실상은 아무리 마음이 있어도 시간과 거리가 허락하는 근접성이 부재하면 그 관계는 소용이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도무지 적응하기 어렵다. 미룰 수도 없는 일이라면 차라리 선수쳐 마음속에서 정리하는 방법도 깔끔할 테다. 이미 자발적으로 생명을 이어갈 수도 없는 지경의 그 관계를 어떻게든 살려보겠다고 내 힘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순간까지 완전히 숨이 사그라져 소멸되기를 기다린다.
9. 더운 게 싫다. 더운 건 싫지만, 여름을 싫어하기에 여름은 너무 청춘이다. 지나치게 청춘이다. 여름에는 모든 것이 청춘이라는 단어로 용서된다. 내 청춘이 아무리 힘없고 약해도 여름에 속아서 지나친 청춘인 척을 한다. 내 청춘이 낭비되는 것 같아서 불안할 때쯤 여름이 온다. 닳아날 것처럼 멀어지다가도 기특하게 나를 찾아주는 청춘.
5 notes
·
View notes
Text
2023 Feb - June

Key events/tasks:
막학기 수업/과제/실습 (Hunter -> ESA 이동), 라이센스 시험 준비/합격, 파리/런던 여행, 롱텐 친구들 뉴욕 방문, 엄마 아빠 뉴욕 방문, 졸업, Termination, 한국행, SJ 한국 방문
Best 3
Films/Shows:


Belle - 호소다 마모루
Les Pires - Lise Akoka, Romane Gueret
Abbott Elementary (season 2)
Books:
A Little Life - Hanya Yanagihara
고요한 우연 - 김수빈
코리안 티처 - 서수진

Concerts/Exhibitions:
Agust D (D-DAY)
What That Quilt Knows About Me (American Folk Art Museum)
Blaise Cendrars (1887-1961): Poetry is Everything (The Morgan Library & Museum)
Music:
Florist
Digable Planets
김현철

February
지옥같았던 헌터에서의 마지막 1-2주. 정말이지, 악마를 보았다...

2/9 헌터 실습 마지막날. 퇴근 후 하람이와 축배를 들었다. Sobaya에서 모밀과 유자 사케.

2/13 ESA로 두번째 첫 출근. 작년에 함께 시간을 보낸 학생들이 상담실로 찾아와 나를 껴안아주었다. 사진은 TW의 왤컴백 선물. 제니와 인턴 친구들도 따뜻한 환대의 말들로 긴장을 풀어주었다. 덕분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었고 금새 열두명의 학생들을 맡게 되었다.
2월 중순부터 LMSW 시험 준비도 슬슬 시작.
March

혜리와 런던-파리 여행. 과제와 시험 준비로 마음에 여유가 없던 시기였는데, 혜리가 사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동네 엔젤에 도착하자마자 거의 모든 잡념이 사라졌다. 고층 건물이 없고, 작은 운하가 흐르고, 세상에서 제일 맛있고 양이 적은 아이스 마차 라떼가 있는 곳.

런던에 도착하자마자 혜리가 만들어준 잔치국수 그리고 뉴욕으로 떠나기 직전 차려준 집밥을 잊을 수 없다.. 따흑. 이번 여행 맛집 베스트 3를 꼽자면: 혜리네, Table d’ Aki, Dishoom

기대했던 Palais de Tokyo에서의 Mariam Cahn 전시도 좋았다. 아래 사진은 전시를 보고 에너지가 동이 난 혜리.

이번에 깨닫게된 친구와 여행을 하면 좋은 점 셋:
1) 친구의 새로운 장점들을 알게 된다. 혜리, Queen of operations!
2) 친구에게 영향을 받아 새로운 기호와 루틴이 생긴다. 오크라, 오버나이트 오츠.
3) 친구의 친구를 소개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기고, 더 운이 좋으면 그 친구의 친한 친구가 나의 어릴적 베프였다, 와같은 기가막히는 인연이 생기기도 한다.

Marianna 와도 상봉. Marianna에게 색깔을 모두 빼앗긴 나.

여행을 마치고 가장 아름다운 노을과 주원과 해야 할 일들이 있는 곳으로 돌아왔다. 오랜만에 센팍 저수지를 한바퀴 돌며 이곳을 집이라 부를 수 있어 감사하다 생각했다.

이달의 선물: MN이 직접 만들어준 콤부차 그리고 지영 주니어 리아의 탄생 소식.
이달의 quote: 왜 사람들에게 강물 소리가 치유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Annea Lockwood의 말. The body is relaxed by the repetition, but the brain remains engaged because of the details. (...) 시각적으로도 청각적으로도 반복과 임의가 섞일 때, 아름다움이 일어난다. (루시드폴 블로그)
April

LMSW 시험을 등록하고 발등에 불을 붙여 본격적인 시험 공부 시작.
쏟아지는 과제와 실습, 시험공부를 병행하는게 쉽지 않았다. 투두 리스트가 버겁게 느껴질 때 도움이 되었던 breathing exercises 그리고 해야 하는 일의 단위를 잘게 쪼개기 (시험 공부하기 -> Dawn Apgar 책 서른장 읽기).

하기 싫지만 해야 하는 일에 기쁨 두 스푼을 끼얹으면 그럭저럭 할만한 일이 되기도 한다. 학교/도시 곳곳의 예쁜 도서관들을 찾아 다니며 그 기쁨 두 스푼을 놓치지 않으려 애썼던 날들이 사진첩 곳곳에 남아있구나.

그리고 롱텐 친구들 (혜리, 세연, 연지)의 뉴욕 방문. 서른 한살의 몸으로 여전히 스물 한살인것처럼 놀다가 하나 둘씩 앓아 눕기 시작했다.. 어른의 삶이 바빠 서로 듬성듬성 할때도 있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견고하게 쌓은 우정엔 쉽게 변하지않는 안정감이 있다.

4/25 Last day of class. Last day of the program!

4/26 Agust D 콘서트
이달의 app: Pocket Prep
이달의 영감: 오랜 기간 영화 일을 해온 학교 선배의 입봉/깐느 진출 소식
이달의 quote: 일어났던 일들을 얘기하라고 말해주는 것만으로도 잉거 선생님은 내가 살아있음을 실감하게 했다. 나는 아주 중요한 인물이라도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
May
나의 노력, 모두의 응원, 그리고 어쩌면 약간의 전산 오류로

LMSW 시험 합격.
그리고 졸업!


졸업을 앞두고 수많은 응원의 메시지를 받았다. 그 중 가장 마음에 남았던 한 교수님의 마지막 인사:
Have a good life. Make brave decisions!

졸업식을 보러 온 엄마 아빠와 함께 5월의 뉴욕을 만끽할 수 있어 행복했다. 나는 어텀인뉴욕보다 스프링인뉴욕 파니까. 이 도시의 가장 예쁘고 환한 모습들을 배경삼아 사진을 많이 남겼다. 아빠는 회사 때문에 일주일정도 지내다 갔고 엄마와는 3주 좀 넘는 시간동안 뉴욕을 샅샅이 즐길 수 있었다.

엄마가 만든 유부초밥 (혹은 모든 것) 은 왜 이렇게 맛있는걸까? 한가득 챙겨서 센트럴 파크 피크닉.

SJ의 생일 즈음 오랜만에 갔던 Prospect Park. 오늘 지금 바로 여기가 아닌 그 어떤 대안도 생각 할 수 없는 충만한 순간들이 있는데, 5월엔 유독 그런 순간들이 많았다.

5/22 내 생일.
5월 중순 - 6월 초는 졸업, ESA 학생들과의 termination, 등으로 많은 것을 마무리 짓고 여러 사람에게 good bye (hopefully see you again) 를 말해야 하는 시기였다. 좋은 것의 끝은 늘 슬프고, 변화는 좋든 나쁘든 늘 긴장되지만 나에겐 든든한 constant 들이 있으니까.
“Whatever the future brings, 나 너 옆에 있어!”
"지난 10년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의 10년도 언니 옆에서 언니가 하는 거 지켜보고 궁금해하고 자랑스러워하면서 또 힘들어할때는 언제나! 무조건! 옆에 있으면서 보내볼까해.”
June

6월은 거의 한국에서 보냈다. 정기검진도 이상 소견없이 잘 마치고, 보고싶었던 친구들, 가족들을 만나고, 맛있는 음식을 아주 많이 먹었다. 보보식당, 은화계, 농민백암순대, 한남동 한남통닭, 역시 마라상궈는 소림마라, 흑돼지는 숙성도.
거무지 멤버들에게 회원증을 발급하고 프랑스자수에 다시 재미를 붙였다.


가장 가까운 친구들로부터 각각 그릇과 앞치마 선물을 받았다. 왠지 같은 마음같아.


21일엔 SJ가 한국에 도착했다. 엄마 아빠가 뉴욕에 놀러왔을 때도 느꼈지만, 나에게 정말 소중한 사람에게 나에게 정말 소중한 도시를 소개하는 건 쉽지않지만 참 행복한 일이다. SJ랑 또보겠지 떡볶이를 먹다니. 동아 냉면을 먹다니. 제주도에 가다니. 비를 뚫고 물영아리오름을 오르다니. 흑돼지, 전복 물회, 갈치조림을 먹다니..!

6월 27일 엄마 생일을 함께 보내고, 30일에 다시 뉴욕, 다시 집으로 돌아왔다. 주원이 왤컴홈의 의미로 카모마일 꽃 한묶음을 사두었다.
이제 슬슬 다시 일 해야지? 재촉하듯 LMSW 자격증도 도착해있고. 한동안 떠나있어 즐거웠지만 한편으로 그립기도 했던 일상과, 발을 땅에 붙이고 살아갈 수 있게끔 하는 투두리스트의 무게. 에어컨바람, 아이스마차라떼에 힘입어 할 일을 또 해나가보자, 결심했던 6월 말.
10 notes
·
View notes
Text
2005년 전북 익산시 만경강 하구에서 물새 모니터링을 하던 시민운동가 동필씨는 도요새 10만 마리가 갯벌에서 쉬다가 날아오르는 장면을 목격했다. 일사불란한 움직임으로 하늘을 수놓은 은빛 날갯짓. 그것이 마지막이었다. 간척사업이 강행되면서 도요새의 아름다운 군무를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방조제 물막이 공사가 끝나자 갯벌은 바로 말라갔다. 조개와 게들이 죽자 도요새들은 갑작스러운 기근으로 터전을 잃었다. 그 많던 새들이 사라진 갯벌은 텅 비었다.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갯벌의 생태계가 위협받자 그 변화를 시민들이 나서서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긴 세월을 황윤 감독이 다큐멘터리 〈수라〉로 다시 기록했다. 동필씨는 “너무 아름다운 것을 본 죗값을 치르는 일”이라고 표현했다. 고양이와 함께 산 이래로 10여 년간 나는 다양한 감정을 새롭게 배웠다. 그중 하나가 죄책감이다. 생명을 책임진다는 일의 무게, 어떤 동물은 귀여워하고 어떤 동물은 맛있어하는 모순에서 오는 마음의 부대낌, 기후위기의 주범인 인간으로서 세상에 대해 느끼는 일말의 책임감, 뭐 그런 것들 말이다. 하지만 이제는 안다. 어떤 죄책감은 죄책감으로만 머무르지 않고 우리를 돌보고 키우고 넓힌다. 이런 사실을 가르쳐준 것도 고양이다. 요다, 모래, 녹두는 차례로 내 인생에 들어와 때로는 물음표가, 때로는 느낌표가 되었다. 동물과 산다는 건 나와 나 아닌 존재 사이의 틈을 끊임없이 관찰하는 일이다. 보호하고 양육하는 엄마 노릇을 한다고 느낄 때도 있지만 대체로는 이해할 수 없는 타자와 대면하여 갈등 속에 살아가는 일에 가깝다. 그러다 그들과 언어가 필요 없는 교감을 나눌 때면, 인간 세상이 규정해둔 많은 것들이 일순간 인위적이고 어색해진다. ‘동물’과 ‘사람’으로 존재를 구분짓고 분리하는 일도 그렇고 한 생명체가 다른 생명체를 소유한다는 개념도 그렇다. 그들이나 나나 한 자리의 몫을 가진 지구의 거주자라는 사실 앞에서, 우리가 인간의 조건이라고 생각해온 것들이 실은 아주 허약한 관념과 게으른 관성에 기댄 것임을 깨닫는다. 지난 11월 막을 내린 권도연 작가의 개인전 〈반짝반짝〉은 도시의 야생동물들을 만나기 위해 어둠을 좇은 시간의 궤적을 담고 있다. 서울 올림픽대로 행주대교 남단 인근에는 습지와 작은 풀숲이 있어 많은 동물이 드나들 거처로 삼아왔다. 그런데 한강과 아라뱃길을 유람선으로 잇는 공사가 시작되자 강바닥이 파헤쳐지고 작은 숲은 며칠 만에 사라졌다. 사진 앞에 서면 인간이 만든 생태계의 변화 속에 도시의 여러 조각들이 깨어진 퍼즐처럼 함께 있는 게 보인다. 나무, 잡초, 고라니와 삵의 일시적 보금자리가 되었을 공터, 수달이 새끼를 돌보던 습지, 저만치 배경으로 선 아파트, 수많은 동물이 로드킬을 당하는 도로, 수십 년 전 역시 강바닥을 들어내 지은 다리, 그리고 어둠 속에서 존재를 증명하듯 빛을 발하는 야생의 눈들까지. 그 눈들과 만나며 반짝이는 순간을 기록해온 작가는 썼다. “어쩌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기록이 아니라 존재에 대한 감탄일지 모른다”라고. 역설적으로 그 문장은 아름다운 것들이 점점 자리를 잃는 세상에서 기록으로 찰나를 붙드는 노력이 여전히 중요한 이유를 말해준다. 나는 가끔 고양이를 물끄러미 바라본다. 고양이는 내가 너무나 사랑하는 반려 가족이자 영원히 이해할 수 없는 타자, 그 사이 어디쯤에 서 있다. 이들은 말 한마디 없이도 매일 가르쳐준다. 세상 모든 것이 잎맥처럼 연결돼 있음을, 더불어 사는 데에 진정한 삶의 의미가 있음을. 존재에 대한 경외와 감탄을 한번 경험한 사람은 이전의 삶으로 돌아가기 어렵다. 모순투성이 삶 속에서도 그 경험은 가치가 있다. 다른 존재에 대한 발견과 사랑이, 그 아주 작은 감동과 각성과 분투가 모여 우리의 삶을 ‘인간적’인 것의 껍데기 밖으로 걸어 나가게 해주리라 믿는다. — 김영글(미술작가)
김영글 씨의 시사인 연재 『반려인의 오후』 마지막 회를 옮긴다. 이 연재를 정말 좋아했다. 마지막 문단을 마음 깊이 새겨야지. 고마웠습니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735
3 notes
·
View notes
Text
경찰 경정 계급, 핵심 정보 요약과 실무적 이해
경찰 조직 내에서 ‘경정’ 계급은 단순한 승진 단계를 넘어서 실질적인 조직 운영 책임을 맡는 중간 간부 직위입니다. 저는 공무원 진로를 고려하면서 경찰 계급 체계에 대해 깊이 조사했고, 특히 경정이라는 계급의 무게를 실제 경험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경정의 계급적 위치
경정은 경감과 총경 사이에 위치하며, 국가공무원 체계로는 4급에 해당합니다. 실무적으로는 경찰서 과장급 보직을 수행하며, 형사과장, 경비과장, 정보과장 등의 역할을 맡습니다. 실무 책임자에서 벗어나 행정·조직 전략까지 다루는 자리로, 판단력과 리더십이 동시에 요구됩니다.
승진 조건과 경력 요건
경감으로 4년 이상 근무한 자만이 승진 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승진은 근속 외에도 경력, 보직 이력, 인사 고과, 상훈·징계 기록 등이 총체적으로 반영되는 구조입니다. 경찰 내부의 평가 시스템은 누적식이기 때문에 초기부터의 성실한 이력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연봉과 정년 제도
2024년 기준 경정의 연봉은 약 6,200만 원~7,500만 원으로, 성과급과 위험직무수당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년은 만 55세로, 일정 기간 내 총경 이상으로 승진하지 못하면 퇴직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경찰 특유의 연금 시스템으로 인해 퇴직 후에는 월 평균 200만 원 이상의 연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외부 채용 가능성
경정은 대부분 내부 승진으로 충원되지만, 간혹 경력채용으로 외부 전문가를 채용하기도 합니다. 특히 법률, 금융, 사이버 수사 분야에서 해당 경력을 인정받은 이들이 예외적으로 선발되며, 전형은 일반 공개채용과 다른 구조로 진행됩니다.
실무자 관점에서 본 경정의 무게
제가 인터뷰했던 한 현직 경정은 “경정이란 자리부터는 실무를 넘어서 ‘사람을 키우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즉, 단순히 업무를 잘 처리하는 능력보다 팀 운영과 조직 내 갈등 조율, 후배 양성 등 관리자의 역량이 본격적으로 요구되는 계급이라는 것입니다.
문제 해결 정리한 글 보기: → 경찰 경정 계급 구조부터 연봉·정년까지 정리된 글 보기
0 notes
Text
<하품에는 뜻이 있다>
하품은 말 없는 신호 조금은 쉬고 싶은 마음 바쁘게 흐르는 하루에 조용히 던지는 외침
아무도 눈치채지 못해 입을 가린 순간의 의미 하지만 나는 알아 그 안에 담긴 배려를
말하지 않아도 느껴져 당신의 하루가 피곤함을 하품은 그런 마음의 소리 없는 기록이니까
하품에는 뜻이 있다 그냥 졸림이 아니라 삶이 너무 무겁고 지칠 때 흘러나오는 진심의 숨결
수많은 하품을 봐왔어 조금 더 버티자는 눈빛 그 작은 하품 하나에도 세상이 귀 기울였으면
고단한 세상엔 누구나 피곤할 수 있어, 하지만 모두가 이해받는 건 하품 참기보다 힘들어
하품에는 뜻이 있다 잠보다 깊은 마음이 말하지 못한 하루의 무게 그 입 틈새로 흘러나온다
하품할 땐 입을 가려야 한다 하지만 마음까진 가리지 말자 예절은 부끄러운 게 아니니까 용기있게 드러내도 괜찮으니까
하품에는 뜻이 있다 예의 속에 깃든 진심 당신의 피로, 당신의 슬픔 그 모든 걸 달래는 위로
하품에는 뜻이 있다 예절 너머의 이야기 그 작은 틈에서 피어나는 쉼에 대한 침묵의 언어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