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저널리즘
Explore tagged Tumblr posts
knowl-edge · 5 years ago
Text
기술 넘어 삶 다루려는 테크 매체...성공할 수 있을까
테크는 더 이상 경제나 산업의 한 영역이 아니다. 차라리 자본과 같은 글로벌한 힘의 중심부라 할 수 있다.
테크, IT 매체라고 하면 흔히 신제품 스마트폰의 카메라 성능을 자세히 리뷰하거나 페이스북의 좋아요 정책이 어떻게 바뀐다거나 하는 등의 뉴스를 주로 떠올린다.
하지만 이제 테크는 스마트폰 리뷰나 블랙 프라이데이 구매 가이드를 넘어 우리 삶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등의 기술 없이 우리 시대의 일상과 비즈니스, 문화를 설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정부가 범죄를 막기 위해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얼굴 인식 기술을 적용한다면 우리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누가 자신있게 얘기해 줄 수 있는가? 우리(독자)는 혼란스럽다.
그래서인지 최근 테크가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고들려는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미 포화 상태인 테크 미디어 시장에서 기업 비즈니스와 제품 리뷰 비중을 줄인 매체가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 의심은 들지만,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생활 가이드 역할을 하거나 정책과 여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 생존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이런 기사는 뉴욕타임스나 워싱턴포스트가 더 잘하지 않을까?)
Protocol 
테크 분야의 폴리티코. 실제로 폴리티코 창업자가 창업하고, 폴리티코 편집자와 유료 콘텐츠를 담당했던 사람이 편집장을 맡는다. 
"우리는 테크의 사람과 권력, 정치에 초점을 맞춘다. 편견 없는 팩트 기반 뉴스와 분석으로 테크, 비즈니스, 정책 분야 의사결정자들을 돕는다”
폴리티코의 성공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계획 
공격적 내부 취재를 통해 기술과 사업 뒤에서 실제로 일을 하는 사람들과 ���들 사이의 관계, 정책, 사회적 영향 등을 주로 다루면서 
유료 자료와 뉴스레터, 이벤트 등으로 수익화 모색
정치가 우리 삶의 모든 부문에 영향을 미침에도 실제 정치가 이뤄지는 내부 역학이 잘 노출되지 않는다는 것이 기존 정치 보도의 문제였는데, 폴리티코는 이를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 차별화. 이제 테크도 정치만큼이나 우리 삶의 모든 부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폴리티코 방식의 접근이 통할 여지 있으리라 봄.
지금 올라온 기사 보면 아이오와 코커스를 혼돈에 빠뜨린 모바일 앱, 테크 대기업들이 게임 사업에 열심인 이유, 테크 기업들이 윤리 책임자를 고용하는 이유, 새벽 1시에 출근하는 테슬라 노동자 등이 눈에 띔  
Open Sourced 
복스미디어 산하 리코드가 얼마 전 새로 시작한 프로젝트.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룬다. 
경찰들이 어떤 감시 기술을 쓰고 있는지, 인터넷 광고는 얼마나 집요하게 우리를 따라다니고 있는지 등. 
독자 참여 네트워크를 만들어 기사 제안과 제보를 받는 등 말 그대로 '오픈소스' 매체 지
Input 
더버지를 만들었다 블룸버그 갔다가 기술-문화 매체 아웃라인을 만든 조슈아 토폴스키가 중심이 되어 만든 매체. 작년 12월 오픈. 
여성/페미니즘 성향 Bustle, 밀레니얼 세대 겨냥한 Elite Daily, 과학 매체 Inverse 등 보유한 Bustle Digital Group이 아웃라인 인수 후 토폴스키에 인풋 맡겨  
기술, 디자인, 스타일, 문화의 접점을 다루는 컨슈머 테크/라이프스타일 매체 지향
그룹 차원에서 다양한 특성의 오디언스를 위해 그들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만들고 적절한 광고주를 유치하자는 생각 
"지금의 테크 뉴스는 너무 지루하다" 
"구글 페이스북 같은 테크 기업의 플랫폼과 기술이 언론이 기사를 만드는 방식까지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기사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