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캠퍼스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ext

[25.06.14. - 25.06.15.] 계명대학교 연극뮤지컬과 제42회 정기공연연극 <코카서스의 백묵원> 일시 | 2025년 6월 14일(토) 14:00, 19:00 / 6월 15일(일) 15:00 [총 3회] 장소 |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음악공연예술대학 블랙박스 소극장 (B110) 러닝타임 : 3시간 20분 (인터미션 15분 포함) 예매 문의 | 010-9352-9559 https://form.naver.com/response/ZA2XMCfQPyVbRmomZAXIKw 대구문화발전소 http://cafe.daum.net/dg-cultural 다음카페 대구문화발전소 https://band.us/band/49860918 밴드 Daegu culture https://cafe.naver.com/a9403043 네이버 카페 대구공연관람모임 https://cafe.naver.com/dglimjonghyun 네이버 카페 http://cafe.daum.net/deagu-seeplay 다음카페 대구공연정보 https://blog.naver.com/a9403043 네이버 블로그 대구공연관람 및 정보문의 https://open.kakao.com/o/gHm2LEbg 오픈쳇팅방 대구문화발전소, 해아람 http://pf.kakao.com/_MmnEn 카카오플러스 채널 대구문화발전소, 해아람 https://info7736.tistory.com/manage/posts/ 티스토리 대구공연정보 https://story.kakao.com/dg-ct 카카오스토리 대구공연정보 https://www.youtube.com/channel/UCjTlbWQ2QLF5u6C9KCO1pbg?view_as=subscriber 유투브 대구 공연정보 및 관람 대구일반인극단 해아람 https://www.postype.com/@dg-art 포스타입
0 notes
Photo

야간 산책겸 운동 ! 마음을 다시 비우고 새출발 !! 😉 #아담스채플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야간산행🔦 #대구방문 #recovery (계명대학교 아담스채플관에서) https://www.instagram.com/p/B6BBS-nFuBs/?igshid=vvvwvsl7lwxx
0 notes
Link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한 북장로교계열의 사립 전문대학교이며, 1962년 계명기독대학병설여자초급대학에서 시작하여 1999년에 대학본부를 대명동에서 신당동으로 이전하였고, 2013년 계명문화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구 달서구 계명문화대학교 2018학년도 수시등급 대학정보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다양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계명기독대학병설여자초급대학 1962. 2. 계명기독대학병설여자초급대학 설치 인가 (모집정원 : 보육과 40명, 가정과 40명) 1962. 3. 초대학장 신태식 박사 취임 (1962. 3. 1.-1979.11.15.) 1964. 1. 계명기독대학병설초급대학으로 교명 변경 인가 1964. 2. 제1회 졸업식(49명) 계명대학병설전문대학 1970. 12. 계명대학병설전문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 1977. 5. 대명동 전문관(쉐턱관) 신축(14,122㎡) 계명실업전문대학 1979. 5. 계명실업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인가 1980. 9. 학보 "계명춘추" 창간 계명전문대학 1989. 9. 계명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인가 1999. 3. 성서캠퍼스 쉐턱관 준공 계명문화대학 1998. 9. 계명문화대학으로 교명 변경 인가 1999. 3. 대학위치 변경 인가(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700) 2002. 1. 교수(독수리), 교목(이팝나무), 교화(백일홍) 제정 2007. 3. 제11대 학장 김남석 박사 취임 2007. 12.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설치 인가 (6개 학과, 모집정원 135명) 2009. 2. 제1회 학사 및 제46회 전문학사 학위수여식 (학사 25명, 전문학사 2,008명) 2011. 3. 제12대 총장 김남석 박사 취임 2012. 5. 개교 50주년 기념식 2013. 1. 고등직업교육 품질인증 대학 선정 계명문화대학교 2013. 3. 계명문화대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 2013. 7.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 (2008, 2010, 2011, 2012, 2013) 2013. 8. 한-EU 교육협력사업 주관대학 선정 2014. 4. 교목(은행나무), 교화(이팝나무 꽃) 변경 및 교석(청금석) 지정 2014. 6. 청년강소기업체험프로그램 운영기관 선정 2014. 6. 고용노동부 청년취업진로지원사업(취업지원관) 선정 2014. 10. 뿌리산업 외국인 기술인력양성대학 선정 2015. 3. 제13대 총장 박명호 박사 취임 2016. 5.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계속지원대학 선정 2016. 12.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 수상 (총 4회, 연속 3회) 2016. 12. 교육부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설치 인가 (경찰행정학과 20명, 보건행정학과 15명, 언어재활학과 15명) 2017. 2. K-MOVE 스쿨 운영기관 선정 2017. 2. 교육국제화역량 인증대학 선정 2017. 2. 제54회 전문학사 및 9회 학위수여식 (전문학사 1,915명, 학사 169명 / 누계 : 82,620명) 3. 특성[편집] 계명대학교와 같은 재단이며, 바로 옆에 붙어 있어서 서로 문화적인 면에서 비슷하다. 학생들중 다수가 계명대 연계 무시험 편입을 노리기 때문에 (대학생 전반의 특성상 노는 학생들도 많지만)학점 경쟁이 매우 치열한 편.[1] 생활음악학부와 유아교육과 사잇길에 계명대학교 공대식당으로 가는 길이 있어서 계명문화대 학생도 이곳에 많이 오곤 한다. 교내 식당보다 계대 공대식당이 맛이 더 좋아서인듯. 그렇다고 교내식당이 맛없는 것도 아닌 게 지하2층에 가면 양식당이 있고 질도 매우 좋은 편이다. 질 만큼 가격도 높지만... 왠지 모르지만 양식당 안에 노래방과 양궁장도 있다. 지하1층 일반 식당은 가격이 싸지만 퀄리티도 그저 그래서 교내 학생들이 싼 맛에 가거나 매점을 이용하기 위해 가는 곳이지만, 2018년 9월에 뜬금없이 일식당으로 ��뀌었다. 그런데 양식당에 비해 창렬하단 얘기가 많다. 4. 학과[편집]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학과는 2년제 학과다. 4.1. 인문사회[편집] 유아교육과(3년제) 경영학부 기업경영전공 금융보험전공[A] 창업프랜차이즈경영전공 호텔항공외식관광학부 호텔리어전공 항공서비스전공 외식사업전공 여행의료관광전공 세무회계정보과 사회복지상담과 경찰행정과 군사학부 육군전공 해군항공전공 아동보육과 보건학부(3년제) 보건행정전공 보건관리전공[A] 언어재활전공 4.2. 자연과학[편집] 식품영양조리학부 식품영양전공 조리전공 제과제빵전공 간호학과(4년제) 4.3. 공학[편집] 건축인테리어과 소방환경안전과 컴퓨터학부(3년제) ICT프로그래밍전공 네트워크ᆞ정보보안전공 행정사무전산전공[A] 전자정보통신과 기계과 4.4. 예·체능[편집] 패션학부 패션디자인전공 패션테크니컬디자인전공[A] 패션마케팅전공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산업디자인전공 원예ᆞ골프코스디자인전공 생활체육학부 생활체육전공 태권도전공 골프전공 운동재활전공[A] 생활음악학부 뮤지컬전공 생활음악전공 디지털콘텐츠학부 그래픽ᆞ영상전공 만화ᆞ애니메이션전공 스마트ᆞ게임전공 뷰티코디네이션학부 헤어디자인전공 메이크업전공 피부미용전공 기업브랜드학부 젤리핏네일아트전공 오무선뷰티전공 5. 캠퍼스[편집] 파일:external/news.unn.net/2009121615945.jpg KMC 문화광장 6. 교통[편집] 파일:external/qr.kmcu.ac.kr/08_img01.gif 6.1. 버스[편집] 계명문화대학 정류장 : 405, 523, 달서1, 성서1(-1), 급행1, 급행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류장 : 509, 성서3[7] 6.2. 도시철도[편집]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계명대역[8] 7. 출신 인물[편집] 김민경(광고디자인과) 김제동(관광레저학부) 8. 관련 항목[편집] 계명대학교 [1] 특히 예체능계열 과가 그런 경향이 강한데, 계명대 예체능과가 대부분 경쟁률이 치열해서 계대에서 떨어진 학생들이 계명문화대의 계대 연계편입을 알게 되고 여기로 오는 경우가 많다. [A] 2.1 2.2 2.3 2.4 2.5 18학번을 마지막으로 전공배정을 하지 않는다. [7] 팔달시장 지원운행 제외 [8] 실제로는 계명대역에서 내린뒤에 계명대학교를 지나서 몇분은 더 걸어가야 된다.(...)역명은 인근에 계명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졌다. 국내의 로마자 표기법상 역명을 Gyemyeong으로 적어야 하지만, 고유명사는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역의 역명도 계명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마자 표기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1] 아양교역과 동촌역에 부역명이 붙기 전, 몇 개의 역에 부역명을 더 붙일 계획이 있었는데 이 역에는 신당이 붙을뻔했다. 2. 역 정보[편집] 신당네거리에 역이 있다 보니 계명대학교 정문이나, 동문이나 어느 쪽으로 나오든 교문에 도착하는데 도보로 5분~10분 정도가 소요된다. 따라서 의과대학, 간호대학, 자연과학대학 및 인문, 사범대학 같은 서쪽에 위치한 건물로 가려면 강창역에서 내려서 가는게 더 빠르다. 계명아트센터로 가기 위해선 7번 출구로 나가서 동문 방향으로 가면 된다. 승강장에서 열차로 들어가는 부분이 다른 역과 다른 모습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른 곳은 바닥에 삼각형 모양의 석재가 설치되어 있으나 계명대역에는 바닥에 발광구가 화살표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가 7개로 많이 있는 편이다. 다만 지하 1층이 분할되어 있어서 밖으로 나가는 방향을 잘못 잡으면 지하 2층 대합실로 내려갔다가 다시 지상으로 올라가야 한다. 강창역과 더불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상대식 역들 중 반대쪽으로 횡단할 수 없는 역이다. 계단 올라가는 곳에, 계명대학생들이 테이프로 새겨붙인 글귀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랜만이다 커피값은 네가 낼게' 같은 식. 이외에도 나가는 길에 벽지에 테이프가 붙여진 작품을 볼 수 있다. 역내에 몇몇 상가가 설치되어있다. 영남대 방면 개찰구 옆에는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있다. 티머니, 캐시비 교통카드를 충전하려면 이곳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역내에서 자전거를 무료로 대여해 주고 있다. 아울러 자전거 보관소와 자전거경사로도 설치되어 있다. 3. 연계 교통[편집] 정류소(ID) 시내버스 계명대역(1번출구) (01159) 425, 524, 527, 564, 655, 805, 성서1-1, 성서2, 250(성주) 계명대역(2번출구) (05013) 425, 524, 527, 564, 655, 805, 성서1, 성서2, 250(성주) 세원정공앞(01183) 급행5, 급행7, 503, 518, 달서3 세원정공건너(01180) 급행5, 급행7, 503, 518, 달서3 계명대학교동문앞(05012) 급행1, 급행5, 급행7, 503, 524, 527, 564, 달서3, 달서5, 성서1 계명대학교동문건너2(00898) 급행1, 급행5, 급행7, 503, 524, 527, 564, 달서3, 달서5, 성서1 4. 일평균 이용객[편집] 계명대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13,230명 14,188명 13,942명 14,432명 14,684명 15,651명 15,950명 16,612명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6,890명 17,038명 16,628명 16,268명 15,709명 2005년 자료는 개통일인 10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개통 직후부터 꾸준히 하루 평균 1만 명 이상의 승객이 타고 내리는 곳이다. 2017년 기준 15,709명이 이용하여 2호선 전체 5위를 차지한다. 역 남쪽은 성서공단으로 사실상 이쪽 방면으로의 승객은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고[2], 시가지가 오로지 북동쪽으로만 조성되어 있음에도 주변 역들보다 많은 승객을 끌어오고 있다. 그 이유는 계명대학교 덕분이다. 계명대학교가 있음으로서 대구 각지에서 오는 대학생들이 이 역을 이용하는 빈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성서의 위치는 대구에서도 꽤나 외진 편이기 때문에, 먼거리를 가는 데 적합한 지하철의 선호도가 높다. 그러나 2014년에 17,000명을 돌파하여 정점을 찍은 이래로 빠른 속도로 승객이 감소하고 있는데, 바로 옆의 강창역보다도 빠른 속도로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2019년에 동산의료원이 들어오면 가파른 속도로 수요가 반등할 가능성이 높은 강창역과는 달리 계명대역은 이렇다할 반등 요소가 보이지 않는 점이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5. 승강장[편집] 상대식 승강장 구조인데,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역 중 계명대역과 함께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한 단 둘 뿐인 역이다. 경산구간 포함 나머지 상대식 역들은 횡단이 가능하다. 즉, 방향을 반대로 탔다면 역무원에게 요청하여 개찰구를 건너가야만 한다. 파일:attachment/계명대역/station.jpg 역 안내도 크게보기 강창 ↑ 하 ㅣ ㅣ 상 ↓ 성서산업단지 상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강창·대실·다사·문양 방면 하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남·반월당·범어·영남대 방면 6. 역 주변 정보[편집] 계명대학교에서 조금만 더 위로 이동하면 계명문화대학교가 있으며 덕분에 역을 이용하는 승객의 대부분은 계명대학교와 계명문화대학교의 대학생들이나 교수, 직원들 또는 대학가 상인들이다. 복잡하던 가축수송이 여기서 풀린다. 하지만 역에서 계명문화대 정문까지는 도보로 15분이라 버스로 환승해서 가는 학생도 있다. 1정거장 차이지만 안습. 계명문화대에서 좀더 직진하면 다사읍 서재리이지만 서재에서 계대역으로 직통하는 노선은 405번이 유일하다. 509번을 탔다면 이곡역으로 가야 한다. 성서권에서 번화가로 꼽히는 계명대 동문 대학가(성서종합시장 일대)가 위치해 있다. 도보 10분 거리. 역 남쪽에는 성서산단이 조성되어 있다. 하지만 성서산단까지 걸어서 이동하기에는 무리이므로 버스로 환승해야 하는데, 자전거도로 조성 사업으로 인해 버스를 타기에는 더욱 병맛이 되어 버렸다. 계명아트센터 쪽의 계명대동문 정류장 혹은 3번/4번 출구 남쪽에 있는 우리은행 성서산단지점 쪽의 정류장(정류장명은 세원정공)을 이용해야 한다. [1] 같은 예로 영남대역이나 서강대역이 있다. 영남대의 '영남' 로마자 표기는 Yeungnam이고, 서강대는 Sogang. [2] 공단��� 특성상 노동자들의 거의 대부분이 자가용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강대역 2번 출구. 2호선 신촌역과 인접하여 있어, 경의중앙선을 통해 2호선 신촌역 인근으로 갈 경우 이 역에서 내려서 2번 출구로 나가 5분만 걸어가면 신촌오거리가 나온다. 서강대역은 지하역이지만 2번 출구 쪽에 지상 구조물이 있는데 이는 직원들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배전반 및 기계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attachment/seogangseung.png 역명 변경전 서강역 승강장 3. 역���[편집] 3.1. 일제강점기[편집] 이 역은 폐쇄된 역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역은 폐쇄되어 열차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문서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서강역 (폐역) 경성순환노선(폐지) 운행계통보기 다국어 표기 일본어 西江 (せいこう → ソガン) 영어 Seikō → Sŏgang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 112-5 운영 기관 용산선 조선총독부 철도국 → 대한민국 철도청 당인리선 개업일 1929년 12월 1일 폐업일 2005년 5월 2일 열차거리표 기점 당인리선 서 강 당인리 방면 세교리 0.7 km → 용산 방면 동 막 ← 1.2 km 舊 용산선 서 강 가좌 방면 가 좌 2.6 km → 기점 신촌연결선 서 강 신촌 방면 연 희 1.0 km → 파일:attachment/서강대역/SAM_1838.jpg 경의선에서 가장 오랫동안 살아남았었던 역사.[1] 1929년[2]에 지어져 2011년까지 유지된 서강역 구역사. 1929년에 '서강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한 유서 깊은 역이다. 원래 경의선은 용산 - 가좌 - 수색이였으나, 중간에 서울역에서 가좌역으로 가는 선로가 놓이면서 이쪽이 본선으로 바뀐것.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경성순환노선과 당인리선까지 취급하게 되었다. 경성순환노선은 신촌연결선을 통해 연희역과 신촌역까지 가게 되었다. 당인리선은 당인리발전소에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생긴 노선이다. 서강역의 중요도를 짐작할 수 있는 노선이다. 하지만 이 서강역도 해방 이후 용산선의 격하 크리를 피할 수는 없었다. 보통역 지위는 유지했으나, 화물 전용역으로 격하당하면서 여객열차를 취급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 주변의 동막역마저 폐역당하고 선로가 걷히는 지못미 상황을 당하고 말았다. 하지만 폐역당해 버린 동막역과는 달리 서강역은 끈질기게 살아남았다. 2000년대 초반까지 화물취급역으로 살아남았던 데다가, 기존 역사가 모 택배회사의 사무실로 쓰여서 철거되지 않았던 것. 1929년에 지어졌지만 민자역사를 건설하면서 좌우대칭이 바뀌어 이상하게 복원된 신촌역 만큼이나 오래 되었던 역사이나, 결국 철거되었다. 한국 근대문화재의 안타까운 현 주소.[3] 1번 출구가 건설된 곳이 옛 서강역이 있던 터. 다음 로드뷰에서는 서강대역에서 과거 로드뷰 보기를 통해 구 서강역을 볼 수가 있다. (로드뷰) 3.2. 광역전철역으로의 부활[편집] 이후 경의선 2단계 구간으로 지정되어 부활이 확정되었지만, 용산선이 원형 그대로 되살아나는 것은 아니고 수인선이 그러했듯, 지하화가 결정되었다. 서강역 역시 기존에 쓰던 지상 역사를 허물어 버리고 지하역으로 건설하였다. 결국 지하역으로 사실상 부활했다. 이설되어 지하역이 된 이후로는 배치간이역으로 전환되었으나 2014년 1월 24일자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코레일네트웍스 위탁. 파일:2014031717187493437_1_59_20140317174905.jpg 지상역이었을 적에는 마포구 신수동 소재였고 지하화하면서 마포구 노고산동으로 소재지가 변경되었는데, 어느쪽이든 역의 위치가 행정구역상 서강동과는 맞지 않는데다, 이미 6호선 광흥창역이 개설될 때 서강역이 부역명으로 빼앗겨 혼동이 발생한다는 민원이 계속 들어온 결과 골목길 안쪽으로 좀 들어가야 정문이 나오지만 인접한 서강대학교의 이름을 따 2014년 3월 17일부터 서강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4] 원래 서강대가 부역명으로 부기되어 있던 대흥역은 서강대 남문과 가장 가까웠다. 더불어 서강역이던 시절에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의해 'Seogang Station'이었으나, 서강대역으로 바뀌며, 서강대학교의 영문표기를 따라 'Sogang University Station'이 되었다.[5] 파일:attachment/서강대역/DSC02597.jpg 그런데 아직도 일부 열차에선 서강역이라고 안내한다. 단 안내방송은 서강대역으로 방송해주긴 한다. 깨알같은 오른쪽 화면. 여담으로 경의중앙선 직결 후 초기엔 영문 표기를 Sognag Univ..로 잘못 표기 했었다.석낙대학교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서강대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선)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788명 1,505명 1,970명 3,894명 4,516명 4,561명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7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서강대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4,500여명 정도로 많지 않은 편이다. 서울시 안에 있는 지하철 역 중에서는 수요가 적기로 열 손가락 안에 들어간다. 서강대학교를 바로 옆에 두고 있음에도 이용객이 저조한 이유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주변에 역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서울 지하철 6호선 광흥창역, 대흥역이 모두 반경 500m 이내에 있다는 것과, 상권이 이 역들에 비해 빈약하고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길어 시간대가 맞지 않으면 탑승에 어려움이 있어 서강대학교 학생들도 어지간하면 다른 역을 이용하는 편이다. 대신 경의중앙선의 시원시원한 속도 덕분에 시간표 보고 잘 타기만 하면 파주/일산 지역에서 30~40분대에 통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이용객이 아예 없지는 않다. 개통 시기가 2012년 말로 가장 늦으며, 노선 배차 간격이 약 15~20분으로 상당히 좋지 않다는 점도 신규 수요 창출에 제약이 되고 있다. 주택가에 위치한 역이지만 지역 주민들보다는 외지인들 수요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미 역세권 주민들은 2호선 신촌역에 오래전부터 의존해왔기 때문에, 메리트가 적은 경의중앙선을 선뜻 이용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된 수요는 파주, 고양시민 중 홍대입구역 환승을 하지 않고 신촌에 가려는 승객 및 소수의 서강대학교 학생들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soganguniversitygyeonguijungang.pn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크게보기 파일:서강대역.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 홍대입구 1 ㅣ ㅣ 2 공덕 ↓ 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대곡·일산·문산 방면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왕십리·덕소·지평 방면 6. 역 주변 정보[편집] 1번 출구 - 신촌삼익아파트 방면 정작 이 역은 서강대학교나 신수동 쪽으로 출구가 나지 않았다. 1번 출구로 나와 공원 쪽으로 조금만 가면 서강대학교정문이 보인다. 그러나 서강대학교 쪽으로 직행하는 게 아니라, 신촌삼익아파트를 끼고 한바퀴 돌아야 나오는 거라서 서강대학교와 마포구청에서 여러번 3번 출구를 만들어 백범로로 나오게 조치해달라고 했다. 이게 국민권익위원회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까지 올라가서 마포구청이 승리, 한국철도시설공단한테 3번출구(백범로) 신설 요구를 했으나, 한국철도시설공단이 '59억원 공사비를 마포구청이 안 내면 절대 안 지어! 배째!'로 일관중이다.[6] 2번 출구 - 창전삼거리, 신촌로터리, 신촌역(2호선) 방면 위치상으로 2호선 신촌역과 매우 가깝지만 직선거리로 300m 가까이라 환승하기에는 종로3가역 1호선-5호선 거리 정도로 조금 먼 거리. 지하신촌역 인근의 구 다주상가 자리에 설치된 신촌임시공영주차장에서 서강대교 방향으로 서강역이 바로 보인다. 어차피 홍대입구역도 있고 하여 환승역으로 지정되지는 않았다. (홍대입구역도 이미 막장환승이다.) 서강대학교에서 제일 가까운 역이라 6호선 대흥역에 붙어있는 '서강대앞' 부역명은 삭제될 것으로 보였지만, 아직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 광흥창역의 부역명인 '서강'은 실제로 마포구 서강동에 있기 때문에 부역명을 유지한다. 지도상으로 보면 서강로와 백범로 사이 중간에 끼어 있다. 그나마 서강로쪽이 좀 더 가깝긴 하지만 역시 출구가 길가에서 약 50m 가량 안쪽에 있다. 애매한 역 위치 때문인지, 역이 개통한지 1년 반이 돼 가는 2014년 3월 현재까지도 서강로와 백범로를 지나는 버스 어떤 버스 정류장에도 이 역의 이름이 붙지 않았다. 역의 2번 출구가 나 있는 서강로쪽은 창전현대홈타운과 신촌로터리 정류장 한 중간의 어중간한 위치에 있고 길 건너편에서 오려면 횡단보도 위치도 어중간하다. 이 쪽으로 다니는 버스는 서울 버스 153,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5713 등으로 극히 적고 (753번도 갈현동 방면은 백범로 경유, 광역급행버스 M7613번이 다니지만 정류장이 없다.), 그나마 버스가 좀 다니는 서강대학교 방향인 백범로 쪽에는 전술하다시피 아직 출구도 없고, 가장 가까운 정류장에 이미 '서강대학교'라는 랜드마크급 시설이 있기 때문에 당장은 역명 붙은 정류장을 보기는 힘들 것 같다. 신촌오거리에서 가장 가까운 경의중앙선의 전철역으로 경의중앙선을 타고 올 경우 홍대입구역에서 막장환승 타고 서울 지하철 2호선을 갈아탈 이유가 없다. 서강대역 2번출구로 나온 이후 오른쪽으로 250m 정도만 걸어가면 신촌로타리가 있다. 그래서 2호선 신촌역과 역세권을 공유하며, 신촌재정비촉진지구 사업이 바로 이 서강대역을 끼고 재개발되는 사업인 것이다. 강화운수가 터미널로 이용했던 옛 신촌터미널도 이 역에서 멀지 않으며, 노고산치안센터 및 신촌스카이에듀 학원과 마주보는 곳에 있었다. 신촌터미널이 2010년에 폐쇄된 후 이 자리에는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신촌터미널과 마주보고 있었던 신촌다주상가도 몇 년 후에 철거되었다. 6.1. 역세권개발사업[편집] 파일:attachment/5418181.jpg 2013년 8월 현재 서강대역 상부에는 넓은 광장과 ��터가 조성되어 있다. 이 광장과 공터는 한국철도시설공단(국가) 관리 하에 임시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서강대역은 홍대입구역과 공덕역처럼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복합역사 역세권개발사업을 하기로 한 지역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과 인접해 있어서 사업성이 높다고 판단, 몇몇 건설사들이 입질을 하였다. 2009년에 첫 구상이 발표되고[7] 2011년 계획이 나왔다.[8].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시장이 불황이라서 공덕역과 홍대입구역과 달리 사업자를 구하고 착공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조감도 등도 없다. 상업지구로 개발되는 공덕역, 홍대입구역과 달리 주상복합아파트로 추진되는 모양이다. 파일:kdffeniufniewf.png "1종지구단위구역"이라고 적혀 있는 그림 우측의 길쭉한 네모칸이 옛 신촌다주상가 자리이고, 그 네모 칸의 아랫쪽 끄트머리가 옛 신촌터미널 자리다. 그래서 신촌다주상가 철거 이후 2호선 신촌역에서 서강대역 방향이 뻥 뚫려 보였다. 서강대역이 개통되면서 신수동 지역에도 재개발바람이 불고 있다. 신수동과 노고산동은 뉴타운은 아니지만, 신수1~15구역, 노고산재개발구역으로 나누어져 소규모 재개발이나 재건축사업을 여럿 진행하고 있다. 2020년경이 되면 이 동네 스카이라인이 많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파일:uploadfile_201105244876586.jpg 파일:57814_3267_229.jpg 신촌숲 아이파크 조감도 2015년 들어서 본격적으로 역세권 개발이 시작되었다. 신수동 재개발 중에서 제일 큰 신수1구역이 사업시행인가 및 관리처분이 끝나서 현대산업개발이 재개발 사업을 2015년 4월 수주했다.[9] 2016년 중순경에 분양하고 당해 말경에 착공하여 2019년 경에 입주할 것으로 보인다. 서강대역 상부에 조성된 임시 녹지도 곧바로 수용되어 아파트로 재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1월 현재 철거가 진행중인데, 전국철거민연합(전철연)이 개입해서 재개발 반대를 하는 중에 법원에서 명도집행을 보낸 용역과 충돌하는 사건도 있었다.[10] 여기는 법원에서 이미 철거하라고 소송 결론이 난 상태이다. 아파트 이름은 신촌숲 아이파크로 결정되었다. 2016년 8월 분양 청약접수가 결정되었다. 파일:123effkgnifngidfsg.png 서강대역과 광흥창역 사이에 창전1구역 재개발/재건축에서는 태영건설이 태영 데시앙 아파트를 건설하기로 했다.[11] 2017년에 정말로 서강대역 광장을 재개발하는 사업이 서울특별시를 통과하였다. 기사 홍대입구역이나 공덕역과 같은 복합역사로 건축하며, 오피스텔 2개동을 지으며, 현재 서강대역 보도블럭 광장을 경의선 숲길과 연결된 공원으로 만드는 것이다. 파일:2017121408290992079_1.jpg 서강대역 복합역사 조감도. [1] 신촌역이 더 오래 전에 지어지긴 했는데, 여긴 거의 다시 지은 거나 마찬가지가 되어버렸다. [2] 서울역사박물관 『서울특별시 문화유적 지표조사 종합보고서』Ⅲ (서울역사박물관 조사연구과, 2005) [3] 참고로, 수색역, 청평역, 어천역, 오천역 구역사들이 이렇게 그냥 사라져버렸다. 이 게 참여 정부까진 어떻게 활용방안을 할 지 고민이 많았는데, 지역 주민들이 근대문화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나머지, 그냥 싹 허물어버리고 만다. 이명박 정부 이후부터는 뭐 아시다시피... [4] 사실 서강이라는 지명은 지금의 서강대교 북단 위치에 있었던 과거 서강나루에서 온 것이니, 한강에 가까운 광흥창 역이 서강에 더 걸맞는 것이 사실이다. 즉 현재 지명에 걸맞게 역명을 잘 정리한 셈. 이는 80년 이상의 오랜 역사를 가진 '서강'이라는 역명도 변화의 당위성과 실제 지명과의 일치 및 혼동 방지와 같은 목적에 따라 주역명에서 부역명으로 바뀔 수 있다는 선례를 남겼다. [5] 고유명사 표기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지 않아도 좋다. 서강대의 영어표기가 저런 것은 정확히 말하자면 외국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여서이며 당대의 국내 표준 표기법이 정해진것이 없었고 외국인 설립자가 영어로 최적의 발음이 나도록 표기한 것. 연세대학교가 Yonsei인 것도 같은 이유다. [6] 「경의선 서강역 명칭·출구 문제로 진통」, 2012-07-03, 연합뉴스 [7] 「서강역세권,복합단지로 ‘환골탈태’」, 2009-07-09, 파이낸셜뉴스 [8] 「경의선 서강역, 복합주거단지 들어선다」, 2011-09-01, 동아일보 [9] 「현대산업개발, 2219억 규모 신수1구역 재건축 수주」, 2015-04-24, 뉴스1 [10] 「신수동 재개발 지역 강제철거 '충돌'…철거민 2명 입건」, 노컷뉴스 [11] 「태영건설, 마포구 창전1구역 재건축 수주」, 2015-01-20, 건설경제신문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0 notes
Photo

Often times I feel so out of place that I just want to leave and give everything up. #howtobenormal (at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 바우어관)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