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ext
손권의 동진, 조비의 저항| 동구, 남군 전투에서 펼쳐진 격돌 | 삼국지, 위촉오, 역사, 전투, 손권, 조비
손권의 동진, 조비의 저항 | 동구, 남군 전투에서 펼쳐진 격돌 | 삼국지, 위촉오, 역사, 전투, 손권, 조비 삼국지의 역사 속에서 위, 촉, 오 삼국은 끊임없이 팽팽한 긴장 속에서 싸웠습니다. 그 중에서도 손권이 이끄는 오나라는 강력한 위나라의 압박 속에서도 꿋꿋이 저항하며 남쪽을 지켜냈습니다. 오나라는 위나라의 영토를 잠식하기 위해 북쪽으로 진출을 시도했고, 이에 맞서 위나라의 조비는 강력한 군대를 동원하여 오나라의 진출을 저지했습니다. 오나라는 손권의 지휘 아래 217년에 동구를 점령하고 남군까지 진출합니다. 이에 맞서 위나라는 조비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남쪽으로 진군하며 오나라의 진출을 저지하려 합니다. 동구와 남군에서 벌어진 격렬한 전투는 삼국지 역사를 뒤흔드는 중요한 전투로 기록됩니다. 이…
View On WordPress
0 notes
Text
youtube
North Korean involvement in Putin's war against Ukraine has been a disaster – for the North Koreans. Mykhailo Makaruk of Ukraine's 8th Special Operations Regiment told Radio Free Asia (RFA) about his encounters with North Korean forces.
In the video above, he describes them as acting like "zombies" who use outdated human wave tactics which result in them getting easily mowed down by artillery and drones.
It's clear that Putin is simply using the North Koreans as canon fodder.
In a related article from RFA, Sgt. Makaruk talks about how poorly Russia has equipped the North Koreans.
North Korean soldiers are fighting with deteriorated supplies and outdated weapons and may have been carrying no food rations during their recent combat operations in Russia’s Kursk region, a Ukrainian special operations sergeant told Radio Free Asia. [ ... ] “They have no military food in their bags. They have some grenades but it’s not even the Soviet type,” Makaruk said in an interview with RFA on Friday that was conducted in English. “It’s bullshit grenades. And they have lower level military medicine kits.” [ ... ]
Makaruk said the North Koreans appear to have Soviet standards for training, and all of their equipment –- including Kalashnikov AK-47 rifles -– seem to have been provided by the Russians. That included smaller items, such as Russian cigarettes as well as multiple lighters that they may have been collecting as souvenirs or for use as barter currency, he said. [ ... ]
He said he also found ID cards that labeled the North Korean troops as “non-combat soldiers” who were carrying out “civilian occupations.” The Ukrainian military has previously said that North Korean soldiers are using fake ID cards with Russian-style names to hide their identities.
So the North Koreans are insufficiently armed, undernourished, collecting Russian cigarette lighters to use as barter, and are given fake IDs. That sounds about right for Russia's military!
According to South Korea's Dong-a Ilbo, regarded as the country's equivalent of the New York Times, relatives of North Korean troops killed in military action in Russia essentially have to keep the deaths secret.
“The authorities gave me a casualty notice for my younger brother, who served in a North Korean special forces unit deployed to Russia. They emphasized not to speak about this to anyone, and made us place a fingerprint on the document.” The U.S.-based Radio Free Asia (RFA) reported on Monday that North Korean authorities had delivered casualty notices for soldiers deployed to Russia to their families, while instructing them not to disclose the information. “After signing the ‘non-disclosure agreement,’ they returned home sobbing over the loss of their loved one,” RFA said, citing a family member from South Pyongan Province.
On Monday, President Zelenskyy reported losses of almost a batallion of Russian and North Korean troops fighting in Kursk oblast. Via The Kyiv Independent.
President Volodymyr Zelensky reported significant losses among Russian and North Korean forces during recent clashes in Russia's southern Kursk region. "In battles yesterday and today near a single village, Makhnovka, in Kursk region, the Russian army lost up to a battalion of North Korean infantry soldiers and Russian paratroops," Zelensky said in his evening address on Jan. 4, citing information from Ukraine's top commander.
So how is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responding to this ongoing disaster? He's banning hot dogs (and a related dish called hot dog soup) as well as divorce.
Kim Jong-Un 'bans North Koreans from eating hot dog soup' 🌭 🍜
BONUS TRACK: Haven't posted one of these for a while. It's the daily tally of enemy (i.e. Russian) losses compiled by the Armed Forces of Ukraine (��бройні Сили України or ЗСУ for short).
As of 07 January 2025, the ЗСУ estimates a total of 800,010 casualties of Russian forces since the full scale invasion began on 24 February 2022. Presumably that includes foreigners fighting for Putin – like the North Koreans.

FYI: 800,010 is more than four US states and DC. It's a bit under the population of San Fransisco.
Remember when Russia called this a "three-day special operation"? It seems to have lasted 1,046 days longer than anticipated.
#invasion of ukraine#north korea#kim jong-un#north korean troops#hot dogs#cannon fodder#inadequate arms#bullshit grenades#poor morale#cigarette lighters#nda for relatives of north korean casualties#kursk#russia#vladimir putin#mykhailo makaruk#volodymyr zelenskyy#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정은#북한 전투 사상자#северная корея#курск#владимир путин#путин хуйло#геть з україни#михайло макарук#володимир зеленський#північнокорейські війська#м'ясні хвилі#слава україні!#героям слава!
11 notes
·
View notes
Text
치사한 버퍼와의 전투: 진정한 승리는 무엇인가? (The Battle with a Sneaky Buffer: What is True Victory?)
치사한 버퍼와의 전투: 진정한 승리는 무엇인가? (The Battle with a Sneaky Buffer: What is True Victory?)
0 notes
Video
youtube
스카이데일리 중국 간첩단 사건 밝혔다...한국측 책임자는 노상원 예비역소장
0 notes
Text
체인소맨 소드맨의 등장과 주요 ���토리 완벽 정리
소드맨은 체인소맨 시리즈에서 총의 악마, 전기톱 악마 등 다른 무기를 상징하는 캐릭터들과 함께 세계관을 확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드맨은 체인소맨 시리즈에서 강력한 반동 인물로 자리 잡으며, 앞으로의 전개에서 그의 역할과 능력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체인소맨 소드맨의 등장과 주요 스토리 완벽 정리 소드맨의 능력과 특징체인소맨 소드맨과 주요 전투 장면체인소맨 소드맨과 체인소맨의 세계관 확장 체인소맨 소드맨의 등장과 배경 체인소맨의 인기 캐릭터 중 하나인 소드맨은 마키마에 의해 세뇌된 하인으로 첫 등장했습니다. 1부 86화에서 그의 존재가 처음 밝혀졌으며, 체인소맨 2부에서는 스고 미리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등장해 체인소맨 교회에서 활동하며 덴지와 얽히게 됩니다. 소드맨의 능력과…
#체인소맨 세계관#체인소맨 소드맨#체인소맨 소드맨 능력#체인소맨 소드맨 등장#체인소맨 소드맨 분석#체인소맨 소드맨 스토리#체인소맨 소드맨 전투#체인소맨 소드맨 전투 장면#체인소맨 소드맨 캐릭터#체인소맨 소드맨 특징#체인소맨 스토리#체인소맨 주요 장면#체인소맨 하이브리드 악마
0 notes
Text
Q. How did Sung Hyunje prepare his bouquets? Does he have a usual florist, or has he ever made one with flowers he grew himself? I’m also curious what Yoojin did with the bouquets he received.
Just after Awakening it is difficult to control one's strength, and similarly, right after battle it is difficult to calm down one's aura/pressure; so it is difficult for Hunters to use regular shops.
So, not just Sesung, but other major guilds as well, provide a variety of goods - including flowers - within the guild, directly or through contracts, for the guild members.
Sung Hyunje also uses Sesung’s contracted florist, but he also often uses flowers he grows himself. As for Han Yoojin, he sticks them in vases or dries them, but don't survive long because of the baby beasts. ^^
Q. 성현제는 꽃다발을 어떻게 준비한 건가요? 단골 꽃집이 있는지, 스스로 키우는 꽃으로 만든 적도 있는지? 유진이가 받은 꽃다발을 어떻게 했는지도 궁금합니다. └ 근서 22.06.25 20:30 막 각성하여 힘 조절이 안 되거나 전투 직후 기세를 줄이기 어려워하는 등의 일반 상점을 이용하기 힘든 헌터들을 위해 세성은 물론 다른 대형 길드 또한 꽃을 포함한 다양한 물품들을 길드 내에서 직접 또는 계약을 통해 길드원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성현제도 세성 계약 꽃집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자신이 키우는 꽃도 종종 씁니다. 한유진은 꽃병에 꽂아두거나 말리지만 새끼 마수들로 인해 남아나질 않습니다^^
24 notes
·
View notes
Text
youtube
[그날군대이야기] 대한민국의 운명을 바꾼 전투 대한해협해전 | 국방홍보원 #태용
15 notes
·
View notes
Text

머리가 많이 길었다.
사실 일부러 머리를 기르는 일은 자주 없는데, 늘 이 기장 쯤 되면 머리를 좀 더 길러볼까 하는 욕심이 생긴다.
일도 똑같다.
이렇게까지 뎁스있게 할 일은 아니었는데, 기왕 이렇게 된거 좀 더 해보자 하는 것들이 많다.
뜬구름들 속에 내리는 비가 되고싶다
새싹이 나게, 나무가 푸르르게, 누군가의 마실 물이 되고싶다. 혹은 의미없는 것들을 쓸어가기도 하고, 고인 물을 뒤집어내고 싶다.
뜬금없지만 조로가 미스터 원 과 전투 때 죽음 직전에서 깨달아 승리하게 된 비결, 사자의 노래 를 쓰던 슌간이 떠올랐다. 가장 힘든 순간에야 더 강해질 수 있다. 무너지지 않는다면 내딛을 수 있다.
자유로운 불꽃처럼, 독수리 날개짓처럼.
'거인을 데려와'의 노래 소절들처럼 세상 모든 시련에도 맡설 용기가 필요하다.
어떤 공포도 감싸안을 다정함이 필요하다.
지금 나에겐 그것들이.
47 notes
·
View notes
Text
youtube
Richard Reynolds, Environmentalist *www.guerrillagardening.org
Guerrilla Gardening : Why People Garden without Boundaries
"We fight not with guns, but with flowers(우리는 총대신 꽃으로 싸운다)"
한밤중, 버려진 땅에 처음으로 꽃을 심을 때만 해도 리처드 레이놀즈는 자신이 게릴라 가드너의 선봉이 되리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다. 공공장소를 무시하고, 흉물스러운 도시 한 구석을 무관심하게 바라보는 세력과 맞서 싸우게 될 줄은 꿈도 꾸지 못했던 것이다. 더욱이 자신이 범세계적인 운동의 선두에 서리라고는! 하지만 그는 곧 '조용한 혁명'의 중심에 서게 된다. 전 세계에 퍼져 있던 게릴라들이 자신이 경험한 각종 '꽃 심기 전투'의 경험을 나누기 위해 그가 만든 블로그GuerrillaGardening.org에 마구 쳐들어오기 시작한 탓이다. 그리고 얼마 안 가 이 블로그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활동 중인 게릴라 가드너들의 베이스캠프가 되었다. 거기서는 황무지를 꽃밭으로 만들 '씨앗폭탄'이 제조되고, 바람처럼 빠르고 조용하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투 노하우가' 오고간다. 우리의 삶을 황폐하게 만드는 모든 것에 작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대항하는 사람들, 자연을 배제한 건축과 무분별한 도시계획에 염증을 내는 의식 있는 전문가들, 그리고 자급자족 원칙에 따라 소박한 삶을 가꾸기 원하는 그린 전사들에게 그는 힘찬 위로의 씨앗이 될 것이다.
When Richard Reynolds planted a flower on unused small plot in the middle of night for the first time in his life, he never expected to be on the forefront of the "Guerrilla Gardening" movement. He had never thought of fighting against the forces that didn't care public spaces and cast a nonchalant look at abandoned corners of ever-sprawling cities. Nor had he dreamed of being at the vanguard of a global movement. But soon he stood at the center of a "silent revolution," as guerrillas around the world raided his blog GuerrilaGardening.org to share their story of flower-planting. There are people standing up against things that make our life dry and dull with small but steady endeavor, concerned experts who find the architecture with no consideration of nature and reckless urban planning sick and tired, and the green troops who wish to lead simple and harmonious life. Richard Reynolds is the seed of consolation and hope for these people.
+++++++++++++++++++++++++++++++
In the spirit of ideas worth spreading, TEDx is a program of local, self-organized events that bring people together to share a TED-like experience. At a TEDx event, TEDTalks video and live speakers combine to spark deep discussion and connection in a small group. These local, self-organized events are branded TEDx, where x = independently organized TED event. The TED Conference provides general guidance for the TEDx program, but individual TEDx events are self-organized.* (*Subject to certain rules and regulations)
'퍼뜨릴만한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라는 정신의 TEDx 행사는 지역에서 사람들이 함께 모여 TED와 같은 경험을 나누고자 자발적으로 만든 프로그램입니다. TEDx 행사에서는 TEDTalks 영상과 실제 발표자의 강연이 결합되어 깊이있는 토론과 교류가 일어납니다. 이렇게 지역기반의 자생적으로 조직된 행사가 TEDx이며, 여기서 x는 독립적으로 조직된 TED 이벤트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TED 컨퍼런스는 TEDx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만 제공하며, 각각의 TEDx 이벤트는 자체적으로 조직되었습니다.
TEDxItaewon wants to give you a chance to network people, share your ideas, make a difference based on international/multicultural area, Itaewon, S.Korea.
TEDxItaewon은 한국의 이태원이라는 국제적/다문화적 도시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분들께 사람들과 소통하며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변화를 만들어 내도록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TEDxItaewon 2012, sponsor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s held for August 11 (Sat), 2012 with 1,000-strong audience. The theme 'Nature+' of the conference is set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nature and awaken communities to the beauty of nature and urban life in harmony. TEDxItaewon2012 consists of three sessions as below, supported by simultaneous interpretation (Kor-Eng);
1. Rediscover the wonder 2. Rebreathe the world 3. Reframe the future
Date : August 11, 2012
Venue : Auditorium, COEX
Size : 1,000 seats
www.tedxitaewon.org
www.facebook.com/tedxitaewon
#TEDx Talks#ted talks#solarpunk#guerilla gardening#Guerrilla Gardening#urban gardening#urban garden#garden#Gardening#Richard Reynolds#london#england#Youtube
13 notes
·
View notes
Text
ADHD
49일, 7주입니다. 그리고 한 주는 7일로 구성되어 있죠. 그런데 왜 하필 7일일까요? 또, 왜 주말은 연달아 붙어 있을까요?
한 주가 7일인 이유는 고대 사람들이 태양계의 7개 천체: 태양, 달, 그리고 당시 알려졌던 다섯 행성을 기준으로 시간을 나눴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말의 구조는 19세기 영국에서 비롯됐습니다. 당시 일요일은 오직 종교 활동을 위한 날이었고, 오늘날까지 그 관습이 이어지고 있죠.
그런데 저 같은 사람들이 일요일을 너무 푹 쉬다 보니, 월요일에 일을 좆같이 했���죠. 그래서 생산성을 조금이라도 높이려고, 근로자들에게 토요일 오후도 쉬게 해주자고 결정했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설이 있지만, 믿거나 말거나 시간 날 때 알아서 찾아보세요.
시간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인간이 지구에 살아온 역사도 꽤 오래됐죠. 그 사이 인간의 뇌는 점점 커졌지만, 시력은 왜 이렇게 나빠졌을까요? 포식자를 제대로 못 본다는 건 생존에 치명적인데, 시력에 문제가 있는 유전자는 자연선택에 의해 사라졌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물론 나이 들수록 시력이 나빠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죠. 대부분의 질병이 그렇듯, 시력 저하도 노인층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때쯤이면 이미 후손을 남겼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더 이상 자연 선택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거고요.
그런데 요즘은 젊은 사람들 중에서도 안경이나 렌즈가 없으면 못 사는 사람들이 많잖아요?
진화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왜 진화는 나쁜 시력을 고치지 못했을까?
우선, 우리의 조상들은 작은 글자를 읽기 위해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삶을 살지 않았겠고, 먼 거리를 보는 게 더 중요했겠죠. 그리고 근시 같은 경우는 일부 사람들에게만 나타났지 모두에게 해당되는 건 아니었으니, 공동체 안에서 서로 협력하며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문명이 발달하면서, 완벽한 시력을 타고나지 않아도 안경, 렌즈, 라식 등으로 충분히 보완이 가능해졌죠. 생각해보면, 우리는 진화의 흐름에 정면으로 맞서 싸우고 있는 셈이에요. 그리고 그 덕분에 ‘시력이 나쁜 유전자’가 여전히 인류 안에 살아남고 있는 거고요.
그러니 안경이 ‘좆경’이라고 생각하신다면, 과학기술에게 책임을 물으셔야 합니다. 그런데 아스카 키라라 안경짤을 보고도 여전히 그렇게 말하실 수 있을까요?
과학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이 덕분에 전 세계 평균 기대수명도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싸고 효과 좋은 의약품, 전재웅이 운전하는 버스만큼이나 안전한 교통수단, 다양한 백신과 치료법까지, 삶의 질이 꽤 많이 좋아졌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평균 수명이 그렇게 드라마틱하게 늘어난 것만은 아니라는 걸 알고 계시나요?
예전 사냥/채집 사회에서는 당연히 일찍 죽었겠죠. 기근, 전염병, 전쟁 등으로 아주 험한 삶이었으니까요. 그런데 어느 시점부터 문명이 발달하면서, 의외로 사람들은 꽤 오래 살기 시작했습니다. 의료 수준은 여전히 구렸지만요.
1994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100�� 무렵 살았던 397명의 그리스·로마인 중 전투, 자살, 혹은 폭력적인 원인으로 죽은 100명을 제외한 나머지의 중위 수명은 무려 72세였습니다. 놀랍지 않나요?
수명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김상훈은 매일 욕 먹고도 아직 살아 있는 걸 보면, 아마 999살까지 살 것 같습니다.
혹시 사비왜소땃쥐를 아시나요? 이 귀여운 동물은 분당 심박수가 835회에 달합니다. 인간보다 10배나 빠르죠. 그래서 겨우 2년밖에 못 삽니다.
반대로 북극고래는 심박수가 분당 10회 정도로 매우 느리고, 수명은 200년에 가깝습니다.
좋은 소식은, 인간은 꼭 이 심박수vs수명 법칙을 따르지는 않는다는 겁니다. 개꿀잼 영화 예고편을 보면서 흥분하거나, 최애 AV에서의 절정 장면에서 심장이 쿵쾅거리기도 하잖아요. 이게 바로 인간입니다.
예고편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요, 영화 보고 집에 와서 유튜브로 그 영화 예고편을 또 보는 사람들 있죠? 나만 그런가요?
사실, ‘예고편(trailer)’이라는 단어는 원래 영화가 끝난 뒤에 상영됐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근데 사람들은 엔딩 크레딧 나오기도 전에 그냥 나가버리니까, 예고편의 효과가 없어진 거죠. 그래서 요즘은 본편 시작 전에 예고편을 붙이는 게 보통입니다. 덕분에 박스오피스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요.
2 notes
·
View notes
Text
런던 대공습, 9 · 11 이후 뉴욕, 1989년 로마 프리에타 대지진 이후 샌프란시스코처럼 위기가 닥친 시기에는 사람들이 힘을 모은다. 좋은 일이다. 하지만 이와 대조적으로 만성적이고, 만연하고, 소모적인 위협을 겪는 경우에는 사람들이든 문화든 좋은 모습을 보이기 힘들다.
굶주림이라는 원초적 위협은 역사적으로 여러 흔적을 남겼다. 나라들의 엄격함 차이를 조사했던 연구를 떠올려보자(독재적이고, 반대 의견을 억압하고, 어디서나 행동 규범을 강제하는 나라가 ‘엄격한‘ 나라라고 했다). 어떤 특징을 가진 나라가 엄격한 나라가 되었을까?[*가장 ‘엄격한’ 나라는 어디였을까? 파키스탄, 말레이시아, 인도, 싱가포르, 대한민국이었다. 가장 엄격하지 않은 나라는? 우크라이나, 에스토니아, 헝가리, 이스라엘, 네덜란드였다.] 앞에서는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가 그렇다고 말했는데, 다른 예측 지표들도 있었다. 과거에 식량 부족을 더 많이 겪은 나라, 식량 섭취량이 적은 나라, 식단 중 단백질과 지방 비율이 적은 나라가 그랬다. 한마디로, 배를 곯을 위협을 만성적으로 겪은 문화들이었다. 환경 악화, 즉 가용 농지나 깨끗한 물이 부족하고 오염이 심했던 것도 문화적 엄격함을 예측했다. 이와 비슷하게, 야생동물 고기에 의존하는 문화들은 서식지 파괴로 동물 집단이 고갈되는 상황에서 갈등이 악화된다. 재러드 다이아몬드는 역작 『문명의 붕괴』에서 많은 문명의 폭력적 붕괴는 환경 파괴 탓이라고 주장했다.
질병도 빼놓을 수 없다. 15장에서 우리는 ‘행동학적 면역’이라는 것을 살펴볼 텐데, 이것은 많은 동물종이 다른 개체에게서 질병의 단서를 감지할 줄 아는 것을 뜻하는 개념이다. 인간도 타인에게서 전염병을 암시하는 단서를 읽어내는 능력이 외국인 혐오를 조장하는 요인이 되곤 한다. 이와 비슷하게, 어떤 문화가 과거에 전염병을 얼마나 많이 겪었는가 하는 것은 외부인에 대한 개방성을 예측하는 한 요소다. 과거에 팬데믹을 많이 겪었던 문화, 영유아 사망률이 높았던 문화, 전염병으로 날릴 누적 햇수가 많았던 문화일수록 현재에 문화적으로 더 엄격한 것으로 드러났다.
날씨도 조직적 폭력��� 발생률에 영향을 미친다. 유럽에서 수 세기에 걸쳐 진행되었던 전쟁들이 한파가 극심한 겨울이나 작물 생장기에는 잠시 쉬곤 했던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날씨와 기후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실 그보다 더 넓다. 케냐 역사학자 알리 마즈루이는 과거에 유럽이 아프리카에 비해 성공했던 이유 중 하나로 기후를 꼽았다. 서구는 매연 틀림없이 겨울이 돌아오는 기후 때문에 미리 계획하는 문화를 발달시켰다는 것이다.[*이 주장을 반박하자면, 열대지방 사람들오 연간 기후 변동을 예견해야 하는 건 마찬가지이고 거꾸로 스웨덴 사람들은 겨울은 있겠지만 우기를 계획할 필요는 없다.] 더 큰 규모에서의 날씨 변화도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엄격함 연구에서, 과거의 잦은 홍수나 가뭄이나 태풍도 문화적 엄격함을 예측하는 지표였다. 기후에서 또하나의 유효한 요인은 남방진동이다. 엘니뇨라고��� 불리는 남방진동은 적도 태평양의 평균 해수면 온도가 몇 년 단위로 오르락내리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약 10년마다 돌아오는 엘니뇨 시기에는 바닷물이 더 따뜻해지고 기후가 더 건조해지므로(라니냐 시기에는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많은 저개발국이 가뭄과 식량 부족을 겪는다. 지난 50년간 엘니뇨 시기에는 국내 갈들의 발생률이 평소의 약 두 배였는데, 대부분은 기존의 갈등이 격화된 결과였다.
가뭄과 폭력의 관계는 좀 까다롭다. 앞 단락에서 말했던 국내 갈등이란 정부와 비정부 세력 간의 전투(내전이나 봉기)로 인한 사망 등을 뜻했다. 따라서 그것은 가축을 칠 물웅덩이나 초원을 둘러싼 싸움이 아니라 현대적 이권 다툼이었다. 하지만 전통사회의 환경에서 가뭄은 채집을 하거나 작물에 물을 대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뜻일 수 있다. 그 경우 타 집단의 여성을 훔쳐오라고 습격하는 일은 우선순위가 높을 수 없다. 그리고 내 가축도 먹이지 못하는 판국에 남의 가축을 훔쳐서 어쩌겠는가? 그러나 갈등이 준다.
흥미롭게도, 개코원숭이들도 이와 비슷하다. 세렝게티 같은 풍요로운 생태계에 사는 개코원수이들은 평소 채집에 하루 몇 시간만 들이면 충분하다. 영장류학자들이 개코원숭이를 좋아하는 ��유 중 하나는 그 덕분에 녀석들이 하루 약 아홉 시간을 사회적 권모술수―밀회와 승부와 험담―에 쓸 여유가 있어서다. 그런데 1984년 동아프리카에 극심한 가뭄이 들었다. 여전히 먹이는 충분했지만 개코원숭이들은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깨어 있는 시간을 모조리 채집에 바쳐야 했다. 그러자 녀석들의 공격성이 줄었다.
(367~369쪽)
몇 가지 수치를 읊어보자. 해부학적으로 현대적인 인간이 출현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20만 년 전이었고, 행동학적으로 현대적인 인간이 출현한 것은 약 4만 년에서 5만 년 전이었다. 인간이 동물을 길들인 것은 1만 년에서 2만 년 전이었고, 농업을 발명한 것은 약 1만 2000년 전이었다. 인간이 식물을 길들여서 작물화한 뒤에도 약 5000년이 더 지나서야 이집트, 중동, 중국, 신세계에서 문명과 더불어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어느 대목에 전쟁이 발명되었을까? 물질문화는 전쟁을 벌이려는 경향성을 누그러뜨렸을까, 악화시켰을까? 뛰어난 전사들은 유전자를 더 많이 남겼을까? 문명이 등장하고 권력이 중앙집중화한 덕분에 우리가 문명화한 것일까? 사회적 계약이 안기는 제약이 겉치레로 작용한 덕분에? 역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인간은 서로를 좀더 점잖게 대하게 되었을까? 그렇다. 요컨대 땅딸막하고/고약하고/야수같은 야만인이냐 고결한 야만인이냐 하는 문제다.
과거 수백 년 동안 이어진 철학자들의 논쟁은 대체로 말장난이었지만, 오늘날 홉스냐 루소냐 하는 논쟁은 실제 데이터 싸움이다. 그중 일부는 고고학 데이터다. 연구자들은 그동안 고고학 기록으로부터 과거에 전쟁이 얼마나 널리 퍼져 있었고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밝히려고 애써왔다.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일인바, 이 주제를 다루는 학회에서는 정의를 놓고 옥신각신하는 게 내용의 절반쯤 된다. ’전쟁’은 집단 간에 벌어진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폭력만을 뜻하는가? 무기가 쓰여야만 전쟁인가? (비록 특정 계절에 한정딜지라도) 정규군이 있어야만 전쟁인가? 위계와 명령 계통이 있는 군대여야만 하는가? 대체로 친족 계보들 간에 싸운 경우, 그것은 전쟁이 아니라 가문 간 알력으로 봐야 하나?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이 기능적으로 사용하는 정의는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폭력적 죽음을 맞는 것”이라는 간소한 형태다. 1996년, 일리노이대학교의 고고학자 로런스 킬리는 기존의 문헌을 종합하여 『원시전쟁』이라는 책을 썼다. 큰 영향력을 미친 이 책에서 킬리는 전쟁을 뒷받침하는 고고학 증거가 광범위하고 오래되었다고 주장했다.
2011년 하버드대학교의 스티븐 핑커는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서 비슷한 결론을 내렸다. 진부한 표현은 삼가는 게 좋겠지만, 이 책을 언급하면서 ‘기념비적‘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기는 어렵다. 이 기념비적 저작에서 핑커는 ⓐ지난 500년 동안 인류의 폭력과 최악의 참상이 꾸준히 줄었고, ⓑ그렇게 바뀌기 이전의 전쟁과 야만성은 인간 종의 역사만큼 오래된 것이어다고 주장했다.
킬리와 핑커는 선사시대 부족사회들의 야만성을 풍성하게 기록했다. 복합 골절이 있는 유골, 함몰된 두개골, ‘방어‘ 골절이 있는 뼈(타격을 막으려고 팔을 쳐들 때 생기는 골절이다), 돌로 된 발사물이 박힌 뼈 등이 나온 공동 매장지를 수집한 것이다. 어떤 매장지들은 전투의 결과로 보인다. 젊은 성인 남성의 유골이 많이 나온 것들이 그렇다. 또 어떤 매장지들은 무차별 학살의 결과로 보인다. 살해된 흔적이 있는 유골들이 남녀노소 다 있기 때문이다. 또 어떤 매장지들은 식인 행위를 암시하는 듯하다.
각자 독자적으로 기존 문헌을 조사한 킬리와 핑커는 우크라이나, 프랑스, 스웨덴, 니제르, 인도, 유럽과의 접촉 이전 아메리카의 여러 장소에서 선사 시대 부족들이 저지른 폭력의 증거를 찾아냈다. 그 장소들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만 2000년 사이에서 1만 4000년 된 유적지인 제벨 사하바다. 수단 북부 나일 강가의 그 묘지에서는 남자, 여자, 아이의 유골 59구가 발굴되었는데, 그중 절반 가까이는 뼈에 돌로 된 발사물이 박혀 있었다. 한편 학살 장소들 중 가장 큰 곳은 사우스다코타의 700년 된 유적지 크로 크릭으로, 400구가 넘는 유골이 한데 묻혀 있었는데 그중 60%는 폭력적 죽음을 맞았다는 증거를 보였다. 킬리와 핑커가 조사한 총 21개 장소들에서 발굴된 유골 중 약 15%는 ’전쟁으로 인한 사망’의 증거를 보였다. 물론 전쟁에서 죽는다고 해서 반드시 골절이나 발사물이 있으란 법은 없으므로, 실제 전쟁 사망자 비율은 이보다 더 높았을 수도 있다.
킬리와 핑커는 또 선사시대 정착지들이 종종 방책과 요새를 건설하여 스스로를 방어하려고 했다는 증거도 수집했다. 선사시대 폭력의 간판 격인 외치도 빼놓을 수 없다. 5300년 된 티롤의 ’아이스맨’ 외치는 1991년에 이탈리아/오스트리아 국경의 빙하가 녹으면서 발견되었다. 외치의 어깨에는 박힌지 얼마 되지 않은 화살촉이 꽂혀 있었다.
그렇다면 킬리와 핑커는 문명이 등장하기 한참 전부터 전쟁으로 인한 대량 사망이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준 셈이다. 더 중요한 점은 두 사람 다 그동안 고고학자들이 이 증거를 무시해왔다고 은근히 주장한 것이었다(킬리의 책은 부제부터까지 ’평화로운 야만인이라는 신화‘였다). 킬리의 표현을 빌리자면, 고고학자들은 왜 이렇게 ”과거를 평화화”했을까? 7장에서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 사회과학자들이 파시즘의 뿌리를 이해하려고 애썼다는 얘기를 한 적 있다. 킬리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 고고학자들이 그 전쟁의 트라우마에 시달린 나머지 인류가 오래전부터 제2차세계대전을 준비해왔다는 증거를 받아들이지 못했다고 본다. 킬리보다 한 세대 아래인 핑커의 견해는 어떨까? 선사시대 폭력을 은폐하는 오늘날의 분위기는 현재 고고학계의 원로들이 약에 취하고 존 레넌의 <이매진>을 듣던 학창시절에 향수를 느끼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이런 킬리와 핑커이 주장에 많은 저명 고고학자들이 강하게 반발하여, 두 사람이 “과거를 전쟁화”한다고 비판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크게 목소리를 낸 사람은 ‘핑커의 목록: 선사시대 전쟁 사망자 비율을 과장하다‘와 같은 제목의 글들을 발표한 럿거스대학교의 R.브라이언 퍼커슨이었다. 킬리와 핑커가 비판받은 지점은 여러 가지다.
a. 전쟁의 증거라고 제시된 매장지들 중 일부에서는 사실 폭력적 사망으로 인한 유골이 딱 한 구 발견되었다. 이것은 전쟁이 아니라 살인이었음을 암시하는 증거다.
b. 폭력적 사망으로 판단하는 기준은 중 하나는 유골이 화살촉과 가까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인공물 중 다수는 사실 다른 용도로 만들어진 도구였거나 그냥 부스러기였다. 예를 들어 , 제멜 사하바를 발굴했던 프레드 웬도프는 유골과 관련된다고 여겨지는 발사물 중 대부분은 그저 무의미한 부스러기라고 보았다.
c. 골절된 뼈들 중에서 나은 것이 많았다. 그런 뼈는 전쟁의 증거가 아니라 많은 부족사회에서 시행했던 의례적 전투의 증거일지도 모른다.
d. 인간의 뼈를 갉아먹는 것이 다른 인간의 육식동물이었지를 가려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1100년경의 푸에블로 원주민 마을에서 식인 행위가 있었음을 증명한 연구는 그러느라 갖은 애를 썼는데, 그곳에서 발굴된 인분에 인간의 미오글로빈, 즉 근육 단백질이 들어 있음을 확인한 것이 증거이다. 그곳 사람들이 인간의 살을 먹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식인 행위가 분명하게 확인되는 경우라도, 그것이 외보적 행위인지 내부적 행위인지는(정복한 적을 잡아먹은 것인지 아니면 몇몇 부족 문화의 풍습처럼 죽은 친척을 먹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e. 가장 중요한 비판은 킬리와 핑커가 전체 문헌을 살피지 않고 전쟁 사망자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매장지들만 골라서 데이터를 취사선택했다는 것이다.[*그가 데이터를 임의로 취사선택했다는 비판에 핑커를 이렇게 답했다.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에서 내가 찾을 수 있었떤 모든 고고학 및 인류학 문헌에 발표된 모든 폭력적 죽음의 인구 당 비율 추정치가 포함되었다.”(S. Pinker, “Violence: Clarfied,” Sci 338(2012): 327) 만약 내가 그의 말을 제대로 이해한 것이라면, 이 대답은 약간 경솔하게 느껴진다. 좀 익살스럽게 표현하자면, 이것은 퀘이커교도들을 대상으로 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의 연구들이 발표된 적 없기 때문에 폭력 분석에서 그들을 제외하겠다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 “퀘이커 공동체 내에서 갱단 스타일의 나이트클럽 처형으로 인한 사망 사건의 인구당 발생률 추정지: 0, 무인항공기 무사일 공격으로 인한 사망: 0, 도둑맞은 플로토늄으로 만들어진 방사능 폴탄을 인한 사망: 0 ······] 그 대신 전 세계 수백 개의 매장지에서 발견된 수천 구의 선사시대 유골을 모두 포함하면, 폭력적 사망의 비율은 15%보다 훨씬 더 낮아진다. 게다가 전쟁과 같은 폭력의 증거가 전혀 발견되지 않는 지역과 시대도 있다. 비판자들이 킬리와 핑커의 가장 큰 결론을 반박하면서 은근히 고소하게 느꼈다는 것이 행간에서 느껴진다(가령 퍼거슨은 앞서 언급한 글에서 이렇게 말했다. ”레반트 남부에서는 1만 년 동안 ’이곳에 전쟁이 있었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사례가 단 하나도 없었다. 내 말이 틀렸는가? 그렇다면 장소를 대보라“). 따라서 비판자들은 인류 문명 이전에는 전쟁이 드물었다고 결론 내린다. 이에 대해 킬리와 핑커의 지지자들은 크로 크릭이나 제벨 사하바 같은 피바다를 무시할 수 없다고 반박하고, 또 (다른 많은 매장지들에서 초기 전쟁이 있었는지에 대한) 증거의 부재가 부재의 증거는 아니라고 반박한다.
(372~377쪽)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있어서 현대의 수렵채집인들은 어떨까? 1970년대까지는 수렵채집인들이 평화롭고, 협동적이고, 평등주의적이라는 것이 분명한 대답이었다. 집단 간 유동성은 개인 간 폭력을 예방하는 안전밸브로 기능하고(서로 죽일 듯 대립하는 사람들이 있을 때는 한 명이 다른 집단으로 옮기면 된다), 유랑 생활은 집단 간 폭력을 예방하는 안전밸브로 기능한다(이웃 집단과 전쟁을 벌이는 대신 그냥 다른 계곡으로 옮겨서 사냥하면 된다).
그중에서도 멋진 수렵채집인의 기수로 꼽힌 것은 칼라하리사막의 !쿵족이었다.[*!쿵족은 흡착음이 있는 언어를 쓴다. 이름 앞에 붙은 느낌표가 바로 흡착음 기호다. ’부시먼’이라는 비공식 명칭으로 알려진 그들은 보츠와나, 나미비아, 앙골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 퍼져 있는 토착 부족들의 통칭인 코이산 문화의 일부다. <부시맨>이라는 코미디 영화의 주인공이 이 !쿵족이다. ‘!쿵‘이 가장 널리 쓰이는 이름이긴 하지만, 부족민 자신들과 오늘날 대부분의 인류학자들은 그 대신 ’주호안시‘라는 이름을 쓴다.] 이들에 과한 초기의 논문 제목―엘리자베스 마셜 토머스의 1959년 작 『무해한 사람들』―만 봐도 알 수 있다.[*내가 다닌 대학의 인류학과가 !쿵족의 본거지였던 터라, 나는 그 애정을 더 넓혀서 아프리카 수렵채집 부족이라면 덮어놓고 껌뻑 죽는 사람이 되었다(그들이 모두 키가 작다는 사실이 한몫했던 것 같다). 지금은 소수만 남은 수렵채집 부족으로, 케냐의 세렝게티 북부 숲에서 사는 ‘은도로보’족 혹은 ‘오키에크’족이 있다. 이들은 이웃 마사이족과 기묘한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 가끔 숲에서 나와 마사이족과 물물교환을 하거나, 마사이족의 일부 의례에서 샤먼 역할을 맡는 것이다. 이들은 키가 작고, 과묵하고, 동물 가죽을 입는다. 키가 훌쩍 크고 창을 쓰는 마사이족이 이 부족 앞에서 동요하는 모습을 보는 게 나는 너무너무 즐거웠다. 내 마사이 친구들은 내가 은도로보족에게 집착하는 걸 놀리곤 했다.] !쿵족과 야노마미족의 대비는 존 바에즈와 섹스 피스톨스의 대비를 연상시켰다.
!쿵족에 대한, 나아가 수렵채집인 전반에 대한 이런 견해는 이후 자연히 수정되었다. 현장 연구의 역사가 충분히 길어지면서 수렵채집인들이 살인을 저지르는 경우도 보고되었기 때문인데, 이 점은 예일대학교의 캐럴 엠버가 1978년 쓴 책에서 잘 지적했다. 연구자가 가령 서른 명으로 구성된 집단을 관찰한다고 하자. 그들의 살인율이 설령 디트로이트에 맞먹는다고 해도(이런 비교에서 늘 언급되는 기준이다), 인구가 적기에 그 현상이 관찰되기까지는 아주 긴 시간이 걸릴 것이다. 수렵채집인의 폭력성을 인정하는 것은 1960년대 인류학계의 낭만주의를 일소하는 것, 즉 늑대와 함께 춤을 추고자 객관성을 내버렸던 인류학자들의 정신을 차리게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핑커가 자료를 종합할 무렵, 수렵채집인의 폭력성은 학계가 인정하는 사실이 되어 있었다. 수렵채집인의 전쟁 사망자 비율은 평균 15%가량이라고 여겨졌고, 이것은 근대 서구사회들보다 한참 높은 수준이었다. 현재의 수렵채집인들에게도 폭력성이 있다는 사실은 인류 역사 내내 전쟁과 폭력성이 상존했다고 보는 홉스식 견해를 지지하는 묵직한 증거가 되었다.
비판도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 잘못된 명명. 핑커, 킬링, 볼스가 언급한 수렵채집사회들 중 일부는 사실 수렵-원예농경 사회다.
· 수렵채집사회의 전쟁이라고 언급된 사례들 중 다수는 더 면밀히 살펴보면 사망자가 한 명뿐인 살인에 해당한다.
· 아메리카대륙 대평원의 폭력적 수렵채집 문화들 중 일부는 홍적세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중요한 무언가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전통적이지 않았다. 그들은 길들인 말을 타고 싸웠다.
· 비서구의 농부나 목축민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수렵채집인은 우리 선조와 동일하지 않다. 지난 1만 년 동안 발명된 무기가 교역을 통해 그들에게 흘러들었다. 대부분의 수렵채집 문화들은 지난 수천 년 동안 농부들과 목축민들에게 계속 쫓겨난 터라, 점점 더 척박하고 자원이 부족한 생태계로 내몰렸다.
· 여기서도 데이터 취사선택의 문제가 있다. 평화로운 수렵채집 문화들은 언급하지 않는 것이다.
· 가장 중요한 점은, 수렵채집사회가 한 종류만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원조는 유랑하는 수렵채집 집단으로, 그 역사는 수십만 년 저까지 거슬러올라간다. 그다음에 말을 타는 수렵채집인이라는 새로운 형태가 등장했다. ‘복합 수렵채집‘ 사회도 있다. 이들은 폭력적이고, 그다지 평등하지 않고, 정주 생활을 한다는 점에서 원조와 다르다. 이 차이는 이들이 보통 풍요로운 식량 공급원을 차지하고 앉아서 그것을 외부인으로부터 지키기 때문에 생겨난다. 순수한 수렵채집사회로부터 이행한 형태인 것이다. 그런데 엠버, 킬링, 핑커가 언급한 문화들 중 다수가 이런 복한 수렵채집사회였다. 차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는 케냐 북부의 1만 년 된 ��살 유적지인 나타루크다. 이곳에서는 땅에 묻히지 않은 27구의 유골이 발굴되었는데, 모두 곤봉이나 칼이나 돌로 딘 발사물에 맞아서 살해된 유골이었다. 피해자들은 투르카나호수의 얕은 만에 정주하여 산 수렵채집인이었다. 그곳은 고기를 잡기 쉽고, 물 마시러 오는 야생동물이 많아서 사냥하기도 좋은 땅이었다. 외부인들이 완력을 써서라도 비집고 들어오려고 할 만한 부동산이었다.
수렵채집인들의 폭력을 가장 세심하게 분석하여 가장 큰 통찰을 끌어낸 것은 프라이, 그리고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의 크리스토퍼 보엠이었다. 그들이 보여준 그림은 좀 복잡하다.
…
2012년 책 『도덕의 탄생』에서 보엠도 비슷한 분석 결과를 보여주었다. 보엠은 프라이보다 약간 덜 엄격한 기준을 써서 약 50곳의 ’순수한‘ 유랑 수렵채집 문화를 수집했다(북극의 이누이트 집단들을 치우치게 많이 포함한 목록이었다). 쉽게 예상할 수 있듯이, 폭력은 주로 남자들이 저질렀다. 그중에서도 여자와 관련된 살인이 가장 흔했다. 한 여자를 두고 두 남자가 싸웠거나, 이웃 집단에서 여자를 납치하려고 했거나, 물론 남편이 아내를 죽인 경우도 있었는데, 보통 간통을 의심해서였다. 여아 살해도 있고, 마녀로 고발된 여성이 살해된 경우도 있었다. 누가 식량을 훔쳤거나 식량을 나눠주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자행된 살인도 종종 있었다. 그리고 살해된 사람의 친족이 복수로 살인하는 경우가 아주 많았다.
프라이도 보엠도, 수렵채집인들이 심각한 규범 위반에 대해서 마치 사형을 집행하듯이 사람을 죽인 경우도 있다고 보고했다. 그렇다면 유랑하는 수렵채집인들이 가장 귀하게 여기는 규범은 무엇일까? 공정함, 간접적 이타주의, 그리고 횡포를 삼가는 것이다.
공정함. 앞서 말했듯이, 수렵채집인들은 친족이 아닌 사이에도 협동하여 사냥하고 나누는 행위를 개척한 사람들이다. 특히 고기에 대해서 그렇다. 성공한 사냥꾼은 으레 성공하지 못한 사냥꾼들과 (또한 그 가족들과) 고기를 나눈다. 사냥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사람이 꼭 남들보다 고기를 더 많이 갖지는 않는다. 결정적으로, 고기 배분을 결정하는 것은 가장 성공적인 사냥꾼의 몫이 아니다. 보통 제삼자가 그 일을 맡는다. 이 관습이 오래되었음을 암시하는 멋진 단서가 있다. 인류가 40만 년 전에 큰 동물을 사냥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들이 있는데, 그걸 보면 도축된 동물의 뼈에 베인 자국이 사방팔방으로 혼란스럽게 나 있다. 모두가 무질서하게 고기를 잘라 먹었다는 것을 암시하는 흔적이다. 하지만 20만 년 전으로 오면, 현재의 수렵채집인들이 보이는 패턴이 등장한다. 베인 자국이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나 있는 것이다. 이것은 한 사람이 도맡아서 도축하고 고기를 배분했음을 암시하는 흔적이다.
순수한 수렵채집인들에게 나눔이 손쉬운 일이라는 말은 아니다. 가령 보엠에 따르면, !쿵족은 자신이 고기를 손해봤다는 불평을 쉴새없이 늘어놓는다고 한다. 사회적 규제에 따르는 배경 잡음인 셈이다.
���접적 이타주의. 다음 장에서 우리는 두 개인이 직접 주고받는 상호 이타주의를 알아볼 것이다. 그런데 유랑하는 수렵채집인들은 그 대신 간접적 이타주의에 능하다는 것이 보엠의 지적이다. A라는 사람이 B에게 이타적으로 행동했다면, B의 사회적 의무는 A에게 똑같이 돌려주는 것이라기보다는 C에게 이타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C는 또 D에게 베풀고, D는······ 이렇게 계속 이어진다. 이처럼 집단을 안정화하는 협력관계는 큰 동물을 잡는 사냥꾼들에게 알맞다. 그 세계에는 두 가지 규칙이 적용되기 때문인데, ⓐ어떤 한 사람의 사냥은 보통 성공하지 못할 확률이 높다는 것, ⓑ그가 드물게 성공했을 때는 제 가족이 먹고도 남는 양의 고기를 얻게 되므로 주변에 나누는 편이 낫다는 것이다. 수렵채집인이 미래의 굶주림을 예방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최고의 투자는 지금 남들의 배에 고기를 채워주는 것이다.
횡포를 삼가는 것. 역사 다음 장에서 살펴볼 텐데, 인간은 진화적 선택압에 따라 속임수를(즉 호혜적 관계에서 제 몫을 다하지 않는 상대를) 감지하는 능력을 키워왔다. 그런데 유랑하는 수렵채집인들에게는 은밀한 속임수를 단속하는 것보다 노골적인 겁박과 권력 지향 행위를 단속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다. 수렵채집인들은 강자가 횡포를 부리지 못하도록 끊임없이 경계한다.
수렵채집사회들은 공정함, 간접적 이타주의, 횡포 금지를 엄수하기 위해서 집단적으로 애쓴다. 여기에 동원되는 것이 탁월한 규범 강제 메커니즘인 소문이다. 수렵채집인들은 쉼없이 소문을 주고받는다. 유타대학교의 폴리 위스너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그 내용은 아니나다를까 주로 지위가 높은 개린들이 어떻게 규범을 위반했는가 하는 것이다. 모닥불을 둘러싸고 『피플』지가 펼쳐진 것이라고나 할까.[*보엠은 인류학자들이 연구 대상자들의 소문을 접할 수 있어야만 비로소 그들의 사저을 제대로 알 수 있다고 강조한다. 나는 개코원숭이를 연구하던 시절에 마사이족 남자들과 함께 야영하며 수많은 계절을 났다. 나는 그들과 비교적 친했고, 그들의 공동체에 어떤 일이 있는지를 들어 알았다. 하지만 나중에 내 미래의 아내도 현장에 오기 시작했는데, 아내가 그곳의 몇몇 여자들과 친구가 되고 나서야 비로소 우리는 진짜배기 정보를 알 수 있었다. 누가 누구랑 잤네, 안 잤네 하는 소문 말이다.] 소문은 다양한 목적을 수행한다. 현실을 혹인할 수 있도록 하고(“내가 이상한 거야, 아니면 그 인간이 멍청이야?”), 소식을 전하고(“오늘 사냥에서 하필 가장 아슬아슬한 순간에 발에 쥐가 난 인간이 누구게?”), 합의를 구축한다(“이 인간에게 뭔가 손을 쓸 필요가 있어”). 소문은 규범 강제의 무기다.
수렵채집 문화들도 비슷한 행동을 취한다. 규범을 어긴 자를 집단적으로 비판하고, 창피를 추거나 조롱하고, 배척하거나 따돌리고, 고기를 나눠주지 않고, 치명적이지 않은 물리적 처벌을 가하고, 집단에서 내쫓고, 그러고도 안되면 최후의 수단으로 죽인다(집단 전체가 가담하거나 지정된 처형자가 수행한다).
보엠은 ���수한 수렵채집 문화들의 절반 가까이가 그런 사법적 살인을 시행한다고 보고했다. 어떤 위반 행위가 그 대상일까? 살인, 권력을 독차지하려는 시도, 악의로 마법을 부리는 행위, 도둑질, 자신의 것을 나누기를 거부하는 행위, 외부인에게 집단을 배신하는 행위, 그리고 물론 성적 금기를 어기는 행위가 그에 해당한다. 이런 문제에 대해 다른 개입 조치들이 반복적으로 실패했을 때, 수렵채집인들은 결국 죽음으로 처벌한다.
(388~395쪽)
행동 - 로버트 새폴스키
4 notes
·
View notes
Text
**
젤렌스키의 미숙한 영어와 정무 판단 미스가 우크라이나를 위태롭게 만들었다.
..
젤렌스키가 원조를 받는 입장에서 주제 파악을 못한게 더 크다.
외교 무대에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면 통역을 써야 된다.
..
..
1. 백악관에서 트럼프가 자신이 중재하는 평화를 상징하기
위해서 젤렌스키 보고 군복 대신에 양복을 입으라고 사전 요청..
바이든과 차별화(무시)
..
2. 트럼프 만나기 전에 미국 공화당 린지 그램 상원 의원이
트럼프 만나면 무조건 칭찬하고 양복 입으라고 조언(무시)
..
3. 밴스 부통령을 공식 석상에서 그냥 JD라고 호명(덕수야)
..
4. 기자가 양복에 대해서 질문시 자기는 costume이라고 오답
(할로윈이나 크리스마스 때 입는 옷)
..
5. 트럼프가 너는 패가 없다고 하자(cards), 나는 게임 안한다고 오답.
..
6. 트럼프한테 너 이렇게 하면 나중에 위협을 느낄 거라고 협박(feel)
..
7. 트럼프 말하는 중간에 끼어 들려면 can I 보다는
pardon Mr. President, may I have a moment to speak?
..
8. 정상 회담에서 팔장끼고 대화(기분 나쁘다고)
..
..
모든 정보를 분석하고 오히려 초기 반응과 다르게
젤렌스키의 책임이 더 크다고 결론을 내렸습니��.
..
유럽에서 치켜 세워주니 어깨 뽕이 들어 갔는데
막상 미국이 지원 중단하다고 하니 유럽은 군사적으로
종이 호랑이요.
..
유럽 통틀어 군대가 140만인데 그나마 전투 준비가
안되어 우크라이나에 파병은 불가하다고 합니다.
2 notes
·
View notes
Text
흑형의 숨겨진 무기: 비밀의 힘을 드러내다 (The Hidden Weapon of the Black Knight: Unveiling the Secret Power)
흑형의 숨겨진 무기: 비밀의 힘을 드러내다 (The Hidden Weapon of the Black Knight: Unveiling the Secret Power)
0 notes
Note
https://x.com/sentobanjo/status/1790684568007459057?s=46&t=r5cQ-fyChNi-Dn-w3MjHHg
I feel like this is an outfit that would be easy to flash someone in 😶
#ohsama sentai king ohger#jeremy brasieri#gira hastie#otp: tyrant king and king of the in between#these skirts are so prone to flipping up ahhh#ask#askrikkaiandhyotei
5 notes
·
View notes
Text
유니콘 오버로드 소드맨 효율적인 운용법과 추천 템
유니콘 오버로드에서 소드맨은 회피 중심의 전투 스타일과 특정 직업군(시프, 법사) 상대로 강력한 성능을 보이는 클래스입니다. 장비 세팅과 스킬 조합, 팀 구성에 따라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지만 범용성이 낮아 전략적인 활용이 필요합니다. 유니콘 오버로드 소드맨 효율적인 운용법과 추천 템 유니콘 오버로드 소드맨 효율적인 운용법과 추천 템소드맨의 주요 특징과 장점비교 분석: 소드맨의 장점과 단점소드맨의 스킬 조합과 운용 전략추천 스킬 조합스킬 운용 전략소드맨의 장비 세팅과 효율적인 아이템 추천주요 장비 추천장비 세팅 전략소드맨의 팀 구성과 육성 전략효율적인 팀 구성성장 팁결론 소드맨의 주요 특징과 장점 소드맨은 높은 회피율과 패리 기술을 활용해 전투에서 탱킹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연한 클래스입니다.…
#소드맨 공략#소드맨 단점#소드맨 스킬 트리#소드맨 육성법#소드맨 장비 추천#소드맨 장점#소드맨 전투 스타일#소드맨 추천 아이템#소드맨 팀 구성 전략#유니콘 오버로드 가이드#유니콘 오버로드 소드맨#유니콘 오버로드 클래스 공략#후열 딜러 추천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