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자소서
Explore tagged Tumblr posts
historymakers123-blog · 7 years ago
Text
[중앙대학교] 수학과
* 본 자소서는 합격생이 "교육 정보 나눔" 재능 기부의 목적으로 후배들을 위해서 제공한 것입니다. 본인의 동의를 얻어 공개한 것임을 밝힙니다. 1.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 경험에 대해,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1,000자 이내).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는 어려워졌고 풀어야하는 수학문제 분량은 늘어만 갔습니다. 하지만 그에 비해 자투리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습니다. 시간을 허비하지 않고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방법을 찾던 중 항상 휴대하고 있고 언제든 쉽게 볼 수 있는 휴대폰을 이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저는 SNS에서 수학그룹이란 곳을 가입하였고 이곳에서 실시간으로 업로드 되는 문제들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수시로 업로드 되는 수학문제들을 접하면서 문제가 해결 될 때까지 계속 풀었고 이동할 때나 쉬는 시간에도 SNS를 통해 문제를 풀어보는 습관이 생기게 됐습니다.   이렇게 SNS에서 수학문제들을 풀면서 문제풀이 분량이 늘어났고 자투리시간도 제대로 활용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SNS는 시간 관리의 효과만이 아니라 제 선생님도 되어주었습니다. 학교에 있을 때는 선생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지만 하교 후에는 모르는 것이 생겨도 다음날까지 기다리거나 혹은 주말이 지나야 했기에 답답함이 컸습니다. 하지만 SNS는 언제 어디서나 의사소통이 되는 장점이 있어 모르는 것을 질문하면 바로 구성원들이 풀이과정을 설명해줌으로써 하교 후에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해 주었습니다. 또한 질문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원들의 질문에도 답해주면서 쌍방향으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었고 여러 구성원들이 참여해준 덕에 다양한 문제풀이 과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SNS의 특별한 장점을 이용해 문제풀이능력을 키웠던 덕에 꾸준한 수학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고 교내 수학경시대회에서도 1등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시간 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까지도 답답함이 아닌 즐거움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성적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걸 넘어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었던 뜻 깊은 경험이었습니다. 또한 ‘알차게 시간을 보내면서 꾸준히 노력한다면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가르침을 얻은 좋은 ��험이었습니다. 2. 고등학교 재학기간 중 본인이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활동을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3개 이내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 교외 활동 중 학교장의 허락을 받고 참여한 활동은 포함됩니다(1,500자 이내). 수학은 어려운 과목이���는 생각으로 쉽게 포기했던 우리 반 친구들에게 수학을 쉽게 알려주고 싶어 수학시간 멘토를 자청했습니다. 멘토 활동을 할 때 저의 설명을 이해하지 못하는 친구들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 가지 풀이방법보다는 다양한 풀이방법을 고안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친구들은 이러한 노력에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다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저에게는 큰 보람이었습니다. 또한 저의 글씨체 때문에 글씨를 알아보지 못한 친구들이 있었기에 글씨 쓰는 연습까지 하게 되었고, 글씨 연습의 사소한 노력은 나중에 실수를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해주었습니다.   이러한 멘토 활동으로 수학성적이 가장 우수한 반이 되었고, 저는 친구들에게 ‘황수학’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인정받으며 리틀 선생님이 되었습니다. 멘토 활동을 통해 협력공부의 장점을 느끼게 되었고 ‘협력이 큰 힘이 된다’는 가르침을 얻었습니다. ‘수학을 즐기자’라는 의미를 지닌 교내 수학 동아리 Math Fun에서 부장을 맡았습니다. 부장으로서 수학을 어렵게 느끼는 친구들에게 재미있는 수학 문제를 제공하고 간단한 공식설명을 통해 쉽게 다가설 수 있는 ‘수학 문제집을 만들어보자.’는 의견을 제시하고 제작에 들어갔습니다. 문제집 제작과 동시에 문제를 푸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싶어서 친구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은 풀이과정을 촬영했습니다.   촬영 내내 긴장하여 더듬고 실수도 했지만 우리 수준에 맞는 문제집이 완성되었습니다. 부원들과 마지막으로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여러 번 반복하여 검토했고, 완성된 문제집과 영상CD를 각 반에 배포하였습니다. 저희가 만든 문제집을 친구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푸는 것을 보면서 수학의 재미를 심어줄 뿐만 아니라 학업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 마냥 뿌듯했습니다. 문제집 제작을 통해 수학적 내용을 이해하고 증명하는 과정을 거치며, 부족한 지식을 채워나갈 수 있었고 또한 동아리 부원들과 협력하여 결과물을 도출해내었다는 것에 큰 의미를 가지게 되었던 활동이었습니다. 훌륭하신 학교선생님들 덕에 수학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었던 정규 수업 시간이었지만 그 시간은 저에게 너무 짧기만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고등학교 생활 동안 선생님들에게 수업을 부탁드리고 수학공부에 많은 관심이 있는 친구들과 모여 수학학습두레를 개설했습니다. 학습두레를 하면서 느낀 장점중 하나는 학교수업과 연관이 된다는 것입니다. 학습동아리를 통해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복습하고 다음날 배울 것은 예습하면서 학교수업에 충실히 임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장점은 수업만이 아닌 인성교육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선생님께서 교육의 목적은 제대로 된 인격체를 갖춘 사람이 되도록 해주는 것임을 강조해주셨고, 이러한 가르침은 문제풀이��만 급급했었던 저로 하여금 남을 배려하고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는 학생이 될 수 있도록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수업 덕에 저는 모의고사 1등급을 거머쥘 수 있었고 공부만 잘하는 학생만이 아닌 도덕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돼주었습니다.     3. 학교생활 중 배려, 나눔, 협력, 갈등관리 등을 실천한 사례를 들고, 그 과정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을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1,000자 이내). 우리 학교는 흡연이라는 큰 문제가 있었습니다. 담배 연기로 인해 화장실에서 볼일을 못 보는 친구들도 있었고 친구들끼리의 다툼도 생겼습니다. 깨끗한 학교를 모토로 삼았던 저는 전교회장으로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생회 회의를 열었습니다. 회의를 통해 캠페인을 열기로 결정하게 되었고, ‘조금만 더 힘내서 참자 친구들아!’는 캠페인 문구를 정하고 금연캠페인을 실시했습니다. 금연캠페인을 시작하기 전에 지역 리더연합회를 통해 다른 학교 전교회장들을 만나 금연서명운동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게 되었고 캠페인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캠페인을 개최하고 나서 학생들이 서명운동에 동참해주면서 함께 노력한 결과 교내 흡연이 절반 이상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전교회장으로서 학교문제 해결에 대한 강한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고, 강제적인 방법보다 학생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의지를 길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또한 모두가 의견을 모으면 좋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2학년 때 반장이었던 저는, 수업 분위기가 좋지 않아 걱정하시는 선생님들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학급회의를 통해 친구들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친구들이 공부하는 의미를 찾지 못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친구들에게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를 해준다면 좋을 것 같다는 결론을 찾았습니다. 저는 꿈을 가진 뒤에 공부를 진심으로 시작했기에, 친구들 또한 꿈을 가진다면 의지가 생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꿈 게시판’을 제안했습니다.   친구들이 꿈을 찾고 그 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매일 볼 수 있도록, 친구들의 꿈을 조사해 게시판으로 만들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모두의 노력 덕에 우리 반의 수업 분위기가 개선되었고 성적 또한 가장 우수한 반이 되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꿈이 가장 좋은 동기부여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누군가가 나서 남을 위해 도움을 주려고 노력한다면 모두에게 큰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4. 아래에 제시된 평가 요소 중 추가로 보충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1,500자 이내). (평가 요소)   일반형 / 고른 기회 전형 : 학업역량, 지적탐구역량, 성실성, 자기주도성/창의성, 공동체의식   심화형 : 지적탐구역량 (관심분야에 대한 흥미와 열정, 탐구능력) 수학은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이 가능한 학문입니다. 풀이과정과 해석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특히 그래프로 정보를 표현하고 해석할 수 있다는 사실이 흥미로웠습니다. 미분과 적분을 이용한 해석과정은 어렵기도 했지만 그만큼 도전해보고 싶은 승부욕을 갖게 했습니다. 함수에 대해서 공부할 때는 그래프로 표현하면서 해석과 증명과정을 거쳤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를 공부하면서 함수를 쉽게 이해했습니다.   증명과 해석 문제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내용을 보고 증명하는 방법이 다양할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런 생각을 다른 과목 공부에도 응용했습니다. 문제를 읽거나 선택지를 볼 때면 정확히 출제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성급하게 문제를 판단하지 않고, 다른 경우의 수가 있는지 찾는 연습을 했습니다. 수학에 대한 관심과 노력은 성적 향상으로 이어졌습니다. 한 번에 급격히 오르진 않았지만, 학기별로 꾸준하게 올랐습니다.   성적은 꾸준하게 상승세였지만 교내수학경시에서는 입상하지 못했습니다. 어려운 내용은 손도 대지 못하는 문제도 많았습니다. 특히, 평소 자신 있었던 증명 문제도 정작 제대로 풀지 못했습니다. 공부의 내용과 범위를 심화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깊이 있게 공부하기 위해서 나름의 원칙을 정했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만나도 답지를 통해 풀이과정을 보지 않았습니다. 대신 풀지 못한 문제를 따로 정리해서 ‘수학 생각 노트’라는 이름으로 정리했습니다. 정리해둔 내용은 아침저녁으로 확인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일주일, 한 달 만에 해결되는 문제들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풀이과정을 답지로 확인하지 않고 스스로 힘으로 해결한 문제는 절대 잊어버리지 않게 됐습니다. 또한, 문제를 생각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과 연결고리를 찾는 연습을 할 수 있었습니다. 자투리 시간도 낭비하지 않고, 수학에 대한 생각으로 보낼 수 있었습니다. 정말 어려운 부분은 선생님께 해결의 실마리를 얻어 해결했습니다. 수학경시대회를 목표로 심화 문제를 풀면서 실력을 향상했습니다. 그 결과 3학년 때 열린 교내 수학 경시대회에서 2등을 수상했습니다. 교내 수학 경시대회를 목표로 공부하면서 수학 실력을 한 단계 성장시킬 수 있었습니다.
위 정보는 히스토리 메이커스 카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교육 정보는 지금도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으니 카페에 가입하셔서 많은 정보 공유하세요^^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