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youth culture becomes monopolized by big business, what are the youth to do?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avact-avact-avact-blog · 7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기본 정보 - 공 연 명 : YAHYEL Live in Seoul with PONY, KIM XIMYA - 공연일시 : 2018년 4월 14일 (토요일) - 공연장소 : KT&G 상상마당 라이브홀 - 관람등급 : 전체 - 관람시간 : 오후 7시 - 티��가격 : 예매 45000원 현매 55000원 - 티켓오픈 : 2018년 3월 14일(수) 오후 6시 - 예매 페이지 : http://ticket.melon.com/performance/index.htm?prodId=201565
youtube
youtube
youtube
yahyel's all MV Director : Dutch Tokyo (VJ member of yahyel)
Dutch Tokyo directed Video of Suchmos, Your Romance, 向井太一, Yogee New Waves, D.A.N., 水曜日のカンパネラ, 米津玄師, iri, Tempalay, 宇多田ヒカル, THE YELLOW MONKEY, BOA and ETC. 
“I’M A STRANGER”
국적, 성별, 인종의 경계를 뒤흔드는 yahyel의 첫 번째 내한 공연! with PONY, KIM XIMYA 2015년 밴드 결성, 첫 번째 EP [Y] 발매 2016년 유럽투어 진행, 11월 1집 [Flesh and Blood] 발매 2017년 Fuji Rock, VIVA LA ROCK, TAICOCLUB 등의 페스티벌 출연, Warpaint, Mount Kimbie, Alt-J와의 공연 2018년 3월 7일 2집 [Human] 발매, 미국 SXSW 쇼케이스 및 ���지 투어 진행 이 투어를 마무리하는 장소는, 바로 서울
“저희의 음악이 일상생활에서 사람들과 나누는 이야기처럼 용해되었으면 합니다. 해외 라이브라면 ‘특정 국가의 아티스트’라는 특수효과 없이, 평소에 듣는 음악으로 접해 라이브에 왔으면 좋겠습니다. ‘우연히 어느 국가의 사람이었다’라는 게 저희에게 이상적입니다.“
외계인이라는 뜻을 가진, yahyel(야옐)은 2015년 3명의 멤버가 모여 결성하고, 라이브 활동이 본격화되면서 드러머와 VJ를 담당하는 멤버들을 영입했다. 어쿠스틱 사운드를 포스트 덥스텝 사운드로, 그리고 그 전자 사운드를 다시 라이브로 방출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탁월하다. 익명성을 내세운 그들이 라이브에 서기 위해, 무대의 조명을 끄고 시각화 된 영상으로 음악을 표현해내면서, 그들은 아주 영리하게 라이브라는 포맷을 활용한다. 음반의 마스터링을 담당하는 Matt Colton은, Arca, Aphex Twin, Blood Orange, Brian Eno, Coldplay, Elliott Smith, FKA Twigs, Flume, Four Tet, James Blake, Kanye West, Låpsley, Muse, New Order, Nosaj Thing, Panda Bear 등의 아티스트 또한 담당했으며, 그는 yahyel의 음악을 두고 “동시대적이고, 국경 없는 음악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들어보았으면 좋겠다. 그들에 곡에는 그럴 가치가 있다.”라고 말했다. yahyel의 VJ 멤버 Dutch Tokyo는 현지에서 현재 가장 영향력 있는 영상 감독으로, 본격적으로 데뷔한 2017년, 2018년에 노미네이트된 시상식에서 전부 수상하며 ‘사상 최연소 수상자’라는 수식을 거머쥘 정도의 실력을 가졌다. 음악으로만 구성된 트랙이 100%의 효과를 지닌다면, 그 효과를 라이브에서120%로 확장하여 세계관을 표현할 수 있도록, ‘영상을 연주한다’는 말을 이 공연에서 입증할 것이다. yahyel을 자처했지만, 결국은 인간관계와 소통에 대해 이야기하는 그들은 공연에서 독특한 악곡을 완벽히 재현하고 공연마다 제각기 다른 편곡 방식 뿐만 아니라 독창적인 VJing을 통해서 매 순간을 다르게 연출하며, 한 번 한 번의 공연을 놓치기 아까운 마음이 들게 만드는 완벽한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3월 말에 진행 예정인 현지 단독 콘서트의 공연은 1000석의 규모이지만, 이미 몇 달 전부터 SOLD OUT! 2집 발매 이전에 공개한 싱글 ‘Rude’는 Flume, Classixx, Ta-Ku 등이 소속된 유명 레이블 ‘Future Classic’의 Recommends에 선정 급속도로 활동 반경를 넓히고 있는 yahyel의 한국 라이브는 지금의 타이밍이 아니면 좀처럼 없을 기회로 예상된다. 이번 내한 공연의 게스트로는, 밴드 Pony가 (한 차례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2년이 넘는 공백기를 깨고 게스트 출연을 결정했다. 또한, 해외 매체들에게서 큰 주목을 받고, [Human] 음반에 수록된 ‘Polytheism’에 피쳐링한 XXX의 김심야까지 함께한다. 한국에서의 yahyel 공연은, ‘Polytheism’의 완벽한 라이브를 들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결을 가진 사운드로 쌓아 올린 트랙을 들려주지만, 각기 다른 온도를 방출하는 아티스트들이, 4월 14일 홍대에 위치한 KT&G 상상마당 라이브홀에서 영상과 함께한 라이브를 통하여, 입장 번호와 무관하게 온전히 공연이란 미디어에 집중할 수 있는 독특한 경험을 관객들에게 선보일 것이다. 또한, 이번 yahyel의 내한 공연은, 이 공연을 주최한 creator team인 AVACT의 Ex-formation Project의 서막을 여는 공연으로, AVACT가 준비한 특별한 티켓과 배경음악까지도 공연장에서 즐길 수 있을 것이다.
Yahyel's first performance in Seoul, a band that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gender and race, with PONY, KIM XIMYA 2015, Releasing first EP [Y] 2016, proceeding Europe tour, Releasing 1st studio album [Flesh and Blood] 2017, Performing at Fuji Rock, VIVA LA ROCK, TAICOCLUB, Performing with Warpaint, Mount Kimbie, Alt-J 2018, Releasing 2nd studio album [Human], Proceeding SXSW Showcase and local tour The last place to [Human] tour is Seoul
“We want that our music is melted in with the same feeling as talking with people in every life. When We go abroad, We want you to visit the ours live as a music that you listen to from the usual, not a gimmick ‘artist who came from specific country’. ‘It is the ideal form that ‘artists from certain countries, coincidentally’ to us”
yahyel, which means "alien," was formed by three members in 2015, and according to the live activities have become bigger scale, the members of the drummer and VJ have been recruited. They have an excellent understanding of how to convert acoustic sound to post-dubstep sound, and how to release the electronic sound at the live venue. yahyel, which aims to be anonymous, uses the format of live very smartly, to turn off the stage lighting and turn on the visualization of Vjing, yahyel express their music one more time. Matt Colton who has been mastering yahyel's sounds mastered the recordings of various artists such as Arca, Aphex Twin, Blood Orange, Brian Eno, Coldplay, Elliott Smith, FKA Twigs, Flume, Four Tet, James Blake, Kanye West, Låpsley, Muse, New Order, Nosaj Thing, Panda Bear and etc. He thought of yahyel's music as "Their sound is contemporary and borderless. I hope many people listen it. They deserve it.” Yahyel’s VJ member ‘Dutch Tokyo’ is the most influential video director in the region at present. He won all of the nominations in 2017 and 2018 when he made his debut in earnest, and he is a talented VJ with the formula of 'the youngest winner in history'. “If a music has a 100% effect, I have expressed the world view by expanding the effect to 120% in live through ‘playing video’”, he said. He will demonstrate it in this concert, too. Althought yahyel call themselves 'yahyel(alien)', eventually, yahyel have been talking about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They perfectly reproduce the unique pieces of live, and at the same time, they perform different performances with different arrangements as well as creative VJing for each performance, showing a perfect performance that makes you miss it. Even if The local's yahyel solo concert which is scheduled to be held at the end of March is 1000 seats, it has been already SOLD OUT! The single 'Rude' released before the release of the 2nd album was selected as Recommendation of the overseas famous label 'Future Classic' belonging to artists such as Flume, Classixx, Ta-Ku! Yahyel, who is expanding the scope of activity rapidly, Live in Korea is expected to be a little difficult to see unless it is this opportunity. As a guest of this performance, the band PONY decided to appear as a guest after breaking the gap of more than two years. In addition, it is accompanied by KIM XIMYA of XXX who has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from overseas media and featured in 'Polytheism' recorded in [Human] album. The yahyel performance in Korea seems to be the last chance to hear 'Polytheism' complete live. The artists who play to the tracks piled up by composing sound with similar textures, but who emit each different temperatures in live will show you live on April 14 at the KT&G SangSangMaDang Live Hall with VJing. Through this performance, we will give you the unique experience of concentrating on Live Time, which is entirely independent of the entry number. In addition, this yahyel’s concert will be the opening of Ex-formation Project of AVACT, creator team that hosted this performance, so that special tickets and background music prepared by AVACT will be enjoyed at the venue.
“BE A LOVER”
0 notes
avact-avact-avact-blog · 7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When Youth Culture Becomes Monopolized by Big Business, What Are The Youth To Do?”
AVACT is a creator team based in Asia. ‘AVACT’ is a compound word borrowing from the meaning of Abject mentioned in ‘Pouvoirs de l'horreur, Essai sur l'abjection, Éditions du Seuil’ by Julia Kristeva who is a Bulgarian-French philosopher, literary critic, psychoanalyst, feminist.
Abject is an intermediate thing that exists between the ambiguous boundary of a subject and an object and threatens a clear system, order, or boundary. The subject constantly attempts to expel abject, which threatens their identity, and this aspect expands as society seeks to drive the antisocial elements and maintain order. According to Julia Kristeva, Abject remains in the form of a trauma in the unconscious of the subject and reproduced in many works of art, including literature, art, and so on.
The members were interes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graphic design, visual making, sound engineering, etc.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place where we should be located in this world, we organized the team that is able to organically participate through various project and seek out contact with other fields to create new scenes.
We think that creators, consumers, and their stakeholders are an element of this cultural community, it isn't a fixed role, and It isn't able to divide them into hierarchical relationships. Within this community, we want to exist in the same form as Abject.
0 notes
avact-avact-avact-blog · 7 years ago
Text
BGM list of AVACT’s 1st Curation Gig
Tumblr media
텀블러 웹사이트에서 동영상 링크 연결을 최대 5개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아티스트 분들이 추천하셨던 트랙들을 제외하고는 유튜브 링크 입력만 하였습니다.
Tumblr Site only permit a 5 videos per post. Except for the tracks that the artists recommended, We’ve input as  parataxis the others’s link.
일부 트랙들은 트랙들은 유튜브 재생 목록을 통해 쉽게 들으실 수 있습니다.
We created a playlist for only the tracks uploaded on YouTube. This makes it easy to check.
PlayList LInk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419qbsHvGpNj0-1CM-8DWuWLgcugIH18
Setting by MiNXUH
OPENING
Flamingosis | I Don't Really Care · https://soundcloud.com/flamingosis/i-dont-really-care-1
BOY DUDE | Funk on the Line · https://youtu.be/glhAmt2nyj0
Wet Baes | Dancing In The Dark · https://youtu.be/Yth_Ew1UiaQ
TE RIM | Pavilion · https://youtu.be/lNCtHPCOlGU
TELEx TELEXs | หยุดตรวจ · https://youtu.be/OqeCBdKxLbg
Buscabulla | Tártaro · https://youtu.be/jxN4eUJ52qQ
Gavin Turek | Don't Fight It · https://youtu.be/VT6Oe3B71gk
Andre Gibson |  Bring Back the Cool (MOGWAA pick!)
youtube
intermission (MOGWAA - ASEUL)
First Light | Stop the Clock (MOGWAA pick!)
youtube
9m88 and Fishdoll | Air Doll · https://youtu.be/wVVkzO0NQy0
Grimes - Genesis (ASEUL pick!)
youtube
intermission (ASEUL - XIN SEHA)
Gwenno | Fratolish Hiang Perpeshki (ASEUL pick!)
youtube
Neon Indian | Polish Girl (ASEUL pick!)
youtube
PAELLAS | Shooting Star · https://youtu.be/UWG8qVylsBc
CLOSING
Blood Orange | Thank You · https://youtu.be/5urHC4rZmJ4
MACROSS 82-99 | LFDY · https://youtu.be/8qfZUuPgYag
Yaeji | Full of It · https://youtu.be/XrB2YzzPkk4
Yam Who? | Mono Drive · https://midnightriotrecords.bandcamp.com/track/yam-who-mono-drive
Skylar Spence | Fiona Coyne · https://youtu.be/Bw_7UrqzNUg
COLTECO | Do It · https://youtu.be/E_sMx3OqHIo
야광토끼 | 왕자님 · https://youtu.be/o0STGIblwgU
吳卓源 | 夜晚 · https://youtu.be/1r1oVjMMwFs
Roosevelt | Night Moves · https://youtu.be/8PMJNUjaivw
STRFKR | In The End · https://youtu.be/SdgI2kJAy4k
1 note · View note
avact-avact-avact-blog · 7 years ago
Text
About Mogwaa
youtube
MOGWAA | Mogwaa는 서울 영등포구 출신의 프로듀서로서 Boogie, House, Balearic의 접점에 있는 음악을 만들고 있다. 그는 지난 3월 카세트 테이프로된 첫 EP [Déjà Vu] 를 클리크 레코드를 통해 발매하였으며 이 EP는 11월,��카고의 Star Creature에서 바이닐로 새로이 발매되었다.
MOGWAA | Mogwaa is a producer from Yeongdeungpo-gu, Seoul, and is making music at the contact points of Boogie, House and Balearic. He released his first EP [Déjà Vu], a cassette tape, on Clark Records in March, and was released in vinyl in Star Creature in Chicago in November.
JuYeon
공간 안에서 구성되는 듯한 소리의 인상, 이는 앨범 커버의 이미지와 강하게 맞닿고 있다고 생각한다. 노을 속에서 어느 풍경을 뒤로 하고 춤을 출 수 있는, 간혹 햇빛에 눈이 부셔 튀어오르는 기분 또한 느끼게 된다. 햇빛이 길게 내리쬘 때면, 음악이 이를 적절한 선에서 끌고 가면서도, 풍경의 주황빛을 잃지 않는다.
어떤 일을 하고 있던 간에, 기분 좋게 음악에 함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자는 모과의 음악을 선호한다. 그렇다 하여, 모과의 음악을 흘려 듣게 된다는 이야기는 아님을 명시한다. 끌고가는 소리와 뒤에서 즐거움을 뒷받쳐주고 있는 소리가 함께 어우러지기 때문에 모과만의 분위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공연에서 분위기를 자아내기를 기대한다. 모과의 음악을 몇 곡 들으며, 어깨를 살포시 흔들지 않고서야, 견딜 수 없을 것이다. 가끔은 신나게 즐겨도 될 것이다, 해가 지고 있으니.
Hyuk _ track <Angelica>
모든 트랙이 모과라는 아티스트를 보여주려 열심히 소리를 내고 있었다. 그중에 내가 자극을 받은 노래는 <Angelica>이다. 템포도 다른 곡들과는 다르게 느리고 신스는 바닷가를 걷는 어떤 이의 발을 적시는 파도처럼 부드러웠다. 한가로이 앉아서 들었을 때 노래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또 머릿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이 곡은 한동안 필자의 chill-out song이었다. (사실은 이 곡을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자주 들었었는데 긴 하루 동안의 잡스러운 생각과 스트레스에서 해방시켜주는 곡으로 자주 사용했다.)
또는 예전 일본의 시티 팝의 계보를 이어나가는 것처럼 들렸는데 시티 팝이라면 빠지지 않는 야마시타 타츠로의 1990년도에 발매된 For you라는 앨범에 Music Box라는 곡이 오버랩 되어 들렸다. mogwaa의 <Angelica>는 필자의 삶, 어느 시간대에 얽매이지 않고 추억들을 자극했던 노래이다, 어느 날 향수에 젖어보고 싶다면 꼭 들어보길 바란다.
MinXuh _ track <Hong Xiao Rou>
이번 공연에 출연하게 된 아티스트 중 '알아야 할'에 부합하는 아티스�����고 생각하고, 배경음악을 정하는 과정에서 가장 영향을 크게 줬던 아티스트임이 자명하다. 그래서인지 그의 음악을 어떻게 말해야 좋을 지 마땅한 언어를 잡지 못해 이리저리 분주했다는 것을 변경으로 삼는다. 모든 트랙이 일관되게 '모과스러움'의 향기를 흩뿌리고 있고, 어느 한 트랙이 취향이라면 [Déjà Vu] 음반 전반적으로 청취하겠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추천하고 싶은 트랙은 'Hong Xiao Rou'.
떠오르는 카우벨 소리도, 적절하게 들어가 감미료 같은 기타도, 사운드 전반을 이끄는 신디사이저의 흐름도, 빠짐없이 내가 좋아하는 요소들로 밀봉되어있어, 트랙을 풀었을 때 느껴지는 즐거움은 생각 이상이 될 것이라 자부한다. 후반부에 페이드 아웃이 들어갔지만, 전개에서 기승전결이 크게 느껴지지 않음으로 인해, 한 곡 반복을 걸어두어도 자연스럽지 않을까? 공연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 사운드의 향기를 느낄 수 있을지 쉬이 알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그 경험에 대해 말을 나누고자, 많은 사람들이 Mogwaa가 선사하는 시간에 빠져들길 소망하는 이른 새벽이다.
PaJu _ track <Déjà Vu>
포토그래퍼 이차령의 환상적인 사진은 시간을 잡아끈다. 무채색과 기하학적 이미지가 주를 이루는 전자음악 앨범아트 속에서, 컬러풀한 자연을 앞세운 건 소수다. Midnight Madness, Hong Xiao Rou, Angelica……. 수록곡의 제목으로부터 그가 표현하고 싶은 세계를 어렴풋이 읽어낼 수 있었다. Mogwaa의 트랙 리스트 중 시선을 잡아끈 건 Déjà Vu였다. 한 폭의 그림처럼 생긴 단어, 그리고 데자뷰- 그 어감과 뜻은 앨범아트의 무드와 자연스레 연결된다. 
음악 재생과 동시에 천둥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이어지는 생소한 질감은 감각을 일깨웠고, 독특한 공간감은 어떤 풍경으로 빠져들게 했다. 내 눈앞에 다양한 레이어가 겹쳐지는 순간이었다. 한번도 가보지 못한 어떤 바다가 펼쳐지고 있었다. 그리운 해 질 녘, 온몸을 감싸는 햇빛과 천둥 소리. 잊고 지냈던 노스탤지어, 경험해본 적 없는 최초의 데자뷰였다. 나는 이 뮤지션과 음악을 아주 오래 전부터 좋아하고 있었다,는 데자뷰를 느낀다.
0 notes
avact-avact-avact-blog · 7 years ago
Text
About Aseul
Tumblr media
ASEUL | aseul은 서울을 거점으로 활동중인 프로듀서로, 2012년 12월 yukari라는 이름으로 작곡, 보컬, 믹싱 등을 담당하여 셀프 프로듀싱 EP 음반 [ECHO]로 데뷔했으며, 이 음반은 일본의 Plancha Records를 통해 일본 에디션으로 발매되기도 했다. 최근, 3년 하고도 반 년 정도의 시간을 축적하여, 2016년 5월 aseul이란 이름으로- [ECHO]에서 보여줬던 로파이 드림팝 사운드에서 한층 더 선명해진 일렉트로닉 팝 사운드의 1집 [New Pop]을 발매했고, 이 앨범은 BandCamp의 올해의 베스트 음반과 한국대중음악상 일렉트로닉 부문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2017년 [ECHO] 발매 5주년을 맞이하여 리마스터링 음반까지 재발매되었다.
ASEUL | Aseul is a producer based on Seoul. Aseul made her debut with self-produced EP record [ECHO] in December 2012 under the name of "yukari" in charge of composing, vocals, mixing and etc. Recently, Aseul has accumulated three and a half years- Aseul released the first album [New Pop] of electronic pop sound that became even clearer in the LoPi Dream Pop sound that showed on [ECHO] in May of 2016. This album was selected as BandCamp's best record of the year and Korean Music Awards's electronic section, and re-released to the remastering album to celebrate the fifth anniversary of [ECHO] release in 2017.
MinXuh
아티스트가 이름을 바꾸는 경우, 예전 발매작들과의 단절을 선언하는 것일지도 혹은 또 다른 정체성을 제시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Antony와 ANOHNI가 다른 뮤지션이듯이- 주로 Spotify를 통해서 음원을 스트리밍하는 입장에서, 최근에 음반이 나온 Aseul을 먼저 들었고 Yukari는 생각도 못했기에 그런 의미에서 Aseul이란 네이밍의 사용은 성공적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유카리가 아닌, 아슬과 앨범 [New Pop]을 소개하는 글으로 작성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팝 음악에 대해서 왜곡된 시선을 갖고 있는 지금, 어쩌면 [New Pop]이라는 앨범 제목은 도발적일지도 모르겠다. [New Pop]의 ‘Intro’를 듣고는 캐나다 토론토 출신의 인스트루멘탈 재즈/힙합 밴드 BadBadNotGood이 생각났다. 정확히 말하자면, 아슬과는 조금 다른 장르를 구사하는 그들의, 네 번째 정규작인 [IV]의 첫 트랙 ‘And That, Too’와의 유사점을 느끼면서 [New Pop]이 무언가를 담고 있을지를 기대하며 흥미롭게 [New Pop]을 들어보았다. (표절 이야기를 하면 웃겨진다, [New Pop]이 먼저 발매되었으니 BBNG에게 가서 이야기하자.)
트랙 리스트 순서대로 듣지 않을 청자에게 가장 먼저 추천하고 싶은 트랙은 ‘Give Me Five’이다. 이 앨범에서 가장 밝은 향기를 이미지를 풍기는 트랙으로- 신디사이저를 사용해 멜로딕한 ‘일반적인’ Pop에 가까운 트랙으로, 이 트랙이 마음에 든다면- ‘Loveless’를, 그 다음에 ‘Dazed’와 ‘Nothings’를 듣길 추천한다. 찬찬히 급하지 않게 하나씩 듣다보면, 음반 전반을 훑을 수 있게, [New Pop] 음반에 흥미가 붙을 것 같다.
youtube
이 음반에 수록된 12개의 트랙은 사운드는 ‘공허함’을 축으로 삼고 있는 듯하다. 그러면서도 아슬의 가사들은 다정하고 친절하다. 누군가는 사랑한다는 말을 사랑받기위해서 함으로 비극이 시작된다고 했었지만, 어떤 ‘비애’라든가, ‘설움’이라든가, ‘침울’과 같은 감정을 느껴본 사람만이 타인의 감정에까지 예민할 수 있다고- ‘Give Me Five’에서 ‘사랑한다고 말을 할 때엔 책임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아슬은, 그보다는, 공허함이란 감정을 느끼는 모두를 배려하는 섬세한 감수성을 가진 것으로 느껴져 더 없이 사랑스러운 아티스트로 새겨졌다.
다시 돌아가, Intro에 이어 재생되는 ‘Gong’은 미묘하다. 이펙터를 사용한 보컬이지만 딜리버리가 상당히 좋다. 사운드는 악기들이 각자 호흡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면서도 리드리컬함을 유지한다. 가사는 함축되어 짧고 화자와 대상이 불분명한 상태가 연속적이다. ‘Dazed’는 또 어떨까, Gong에서 변주된 사운드가 이어지는데, 직접적으로 드럼 사운드가 중심을 잡아 곡을 진행하고, ‘Gong’과 비슷하지만 좀 더 명쾌하다.
Aseul (아슬) - Dazed + Nothings
youtube
처음 이 라이브 영상을 보았을 때, 당혹스러웠다. 생각치 못한 베뉴와 그 베뉴에 잘 맞는 스타일링을 한 아슬의 모습은 흥미로웠다. 심지어 도쿄에서 기모노를 입고 디제잉하던 Lisachris를 보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두 트랙이 이어지는 부분을 가장 좋아한다, 라이브를 기대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
이런 말을 적기는 많이 조심스럽지만, 이 글은 아슬에 대한 소개이자, 나의 감상이므로 ‘생략’을 더해- 아주 조심스럽게 또 조심스럽게 적는다. 이야기에 앞서-  ‘Weird World’�� 베이스를 주의깊게 들었으면 좋겠다. 전자음악에서 간과하기 쉬운 부분에도 공을 들인 게 느껴지고, 정말 센스있다고 감탄했다. 이 트랙을 통해- 아슬은 이번, 신도시에서 진행하는 공연이 지향하는 ‘a safe space to dance’를 만들 수 있는 윤리적인 감수성을 소유한 아티스트라고 생각했다. 팀원 어느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았지만, ‘Weird World’는 이성보다는 감각에 각인된 ‘생존의 죄책감’의 시간을 떠올리게 했던 트랙이다. 긴 시간이 지나지 않은- 어떤 사건 이후로, 한국 음악에서는 그 사건과 시간의 슬픔을 공감할 수 있는 자들만이 느낄 수 있는 트랙들이 조금씩 발표되었다. 몇 곡을 언급하며 글을 적자면, ‘그날 이후 다른 우주’라고 말하는- 2015년 발매된 이승열 [SYX]의 ‘a letter from’과, ‘I’ll never get over’이라고 말하는- 2016년에 발매된 사비나 앤 드론즈 [우리의 시간은 여기에 흐른다]의 ‘우리는 모두’. 공개적으로 밝혔지만, 공개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이 트랙들은 나에게 죄책감과, 생존의 무게로 울었던 시간들을 떠올리게 한다. 아티스트의 창작물은 세상에 나오고 수용자 각자에 의해서 해석당한다- 이기적으로 나는 이렇게 트랙을 판단해버렸고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기억해주기를 바란다, 마지막 파트의 가사처럼: ‘어떻게 잊어버릴 수 있을까?’
모든 트랙을 짚어버리면, 청취가 재미없을 것 같아 많은 트랙을 넘기겠다. 트랙 러닝 타임이 10분 4초나 되는- ��너스 트랙이자 마지막 트랙인 ‘The Bedroom Demos’에서 아슬의 음악적 역량은 극대화되었다. 농담으로 친구들과 “6분이 안 넘으면 그게 들으라고 만든 음악이냐?”라는 말할 정도로, 길이가 긴 트랙을 만들어내는 아티스트들의 집중력있게 곡을 끌고 나가는 능력을 칭송한다. 라이브 영상에서 이 트랙을 적절히 구현하는 모습이 정말이지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건, 본인의 생각만이 아닐 것이다.
한국에서 팝이 갖는 의미는 한정적으로, 대개 미국의 대중음악을 통칭하는 단어가 되어버렸다. 그렇다고 해서, 팝을 단순히 ‘Popular Music’이라는 어원에 기대어, 결과적으로만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고 생각한다.  팝 음악은 어쩌면 의도와 결과 두 양상으로 나누어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창작자의 의도는 pop과 anti-pop으로 수용 결과적으로 pop과 un-pop으로. 창작자가 자신의 음악을 pop으로 호명했을 때, 이것은 당연히 Pop일 수밖에 없다.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이, [New Pop]은 다분히 팝적이다.
아슬의 음악이 BandCamp를 통해서 해외에도 노출되고 있다는 것은 정말 긍정적이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많은 아티스트들이 해외 유통 플랫폼에 무관심한 점이 상당히 아쉬웠던 나는 이렇게, 많은 플랫폼에 자신을 소개할 줄 아는 아티스트들을 사랑한다. 공연 역시도 그런 미디어라고 판단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 ‘공연’이란 미디어를 통해 아슬의 음악을 경험하고, 시간에 담아둘 수 있길 바란다.
* 짧은 소개에 작성하지 못했지만, 2017년에 아슬은 BandCamp에 Wake Up을 업로드했다. (필자가 한국 음원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아서 국내 유통은 모르겠다.) 스트리밍도 가능하니, 쉽게 체크가 가능하다. https://aseulmusic.bandcamp.com/album/wake-up
아슬이 야광토끼와 함게 타이페이에서 ‘Meuko! Meuko!’와 함께 공연했던 사실 또한 어떤 힘을 준다, 그렇지 않아도, 조형감이 돋보이는 일본의 밴드 D.A.N.의 세션-이지만 솔로 음반과 이전에 몸 담았던 밴드인 鬼の右腕를 듣다보면 밴드에서 비중이 너무나도 큰- Utena Kobayashi와 Meuko! Meuko!가 함께하는 공연을 만드는 게 일종의 목표이기 때문에. 이렇게, 한국을 포함한- 특히나 전반적 아시아 문화권에서 ‘비남성’ 뮤지션들이 설 자리가 더 많아지고, 누군가는 그런 자리를 만들 수 있길 바란다는 말도 덧붙인다. (또한 구글에 아슬을 검색했을 때, 아슬의 사진이 최상단에 뜨길! 박찬욱의 ‘아가씨’가 행했던 것처럼)
글을 쓰면서, 한국어 사용자이기에 아슬의 텍스쳐를 읽을 수 있다는 것이 행운이라 느껴졌다. 나에게 아슬의 음악이 그랬듯, 이 글 역시 그런 자리로 남길 바라지만, 낯 부끄러운 부족함은 어쩔 수 없다. 소개하는 자의 부족함은- 이 글을 읽는 타인들의 감상으로 채워주시길-.
0 notes
avact-avact-avact-blog · 7 years ago
Text
About Xin Seha
XIN SEHA | xin seha는 2014년 qim isle의 [Boylife in 12"] 음반을 프로듀싱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프로듀서이다. 2015년 2월 첫 번째 싱글 [맞닿음]과, 4월 첫 정규 음반 [24Town]을 발매했다. 올드스쿨, 뉴웨이브, 신스팝, 훵크(Funk) 등의 장르가 xin seha의 감각 아래에서 조합되어 시대를 경험하지 못했던 이들에게까지도 80년대의 바이브를 연상케하는 xin seha의- 2017년에 발매된 [7F, the Void]는 전작에 비해서 장르적 특징에서 비롯된 댄서블함이 덜어졌지만, 시간에 대한 메시지는 더해졌다.
XIN SEHA | xin seha is the producer of Qim Isle’s [Boylife in 12"] album in 2014 and released the first single in February 2015 and the first album [24Town] in April 2015. Old school, new wave, synthpop, and Funk were combined under the senses of xin seha, and even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the era, xin seha, reminiscent of the 80s vibe - released in 2017 [7F , the Void] is less danceable than the previous, but the message about time has been added.
MinXuh
Xin Seha의 이름을 처음 봤던 것은 기린의 정규 음반 [사랑과 행복]에 실린 ‘헤어지자고 하면 어떡해’였다. 짧은 몇 마디에서부터 그에 대한 궁금이 증폭되었고, 얼마 안 가- Qim Isle의 음반을 프로듀싱했고, Qim Isle의 V*$*V 뮤직비디오에서 신디사이저를 연주하고, 비눗방울을 불기도 했던 ‘그’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youtube
[사랑과 행복]은 2014년 11월에 발매된 음반이기 때문에, ‘맞닿음’ 싱글로, 신세하라는 아티스트의 첫 트랙을 공식적으로 듣게 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았지만, 처음 ‘맞닿음’을 듣고 나서의 흥분을 혼자 간직하기 아까워서 지금 팀 활동을 함께하고 있는 PaJu에게 바로 연락했던 기억이 난다. ‘맞닿음’은 말 그대로 충격이었다. 직접적으로 섹슈얼한 파트가 없는 가사임에도 불구하고 섹슈얼한 포인트로 텐션이 이어지는 가사 그리고 신세하의 보컬에 살짝 딜레이 된 여성 보컬의 코러스가 들어가는 것이 상당히 재미있는 포인트로 받아들여졌다.
youtube
시종일관 카메라와 눈을 맞추는 신세하를 보고 누군가는 뇌쇄적이라고 말했다. 캐릭터를 사람들에게 세뇌시키는 것 같은데-
[24Town] 음반은 앨범 자켓에서 보이는 카세트 형식과 함께 ‘회귀’로 소개가 많이 되었지만, 필자에게는 시선적인 의미가 강하게 다가왔다. 특히나 인트로 트랙인 ‘Youth’를 제외한, ‘맞닿음’ -  ‘Physical Medium’ - ‘빤히 봐’(Interlude라고 할 수 있지만, 제목에서 느껴지는 포인트로) - ‘내일이 매일’으로 구성된 A Side는 구체적으로 시선이 느껴지는 트랙들이 포함되어있다. B Side라고 할 수 있는 6번 트랙부터 9번 트랙은 카메라로 치자면 광각렌즈로 갈아끼운 인상을 준다. A Side가 무대를 바라보고 춤을 추는 기분이라면, B Side에서는 청자 역시도 댄스 플로어로 빠져나간 기분이 들 것이다. 마지막 트랙인 ‘Shake That Villa’에 대한 반응으로 Jericho 랩핑을 거슬려하는 사람들도 적지않던데, 본인은 이 파트 역시도 즐겁게 들었다. 특히나 ‘우리는 젊고, 미성숙하지’
JFYI. [24Town] 음반을 세 장 샀다. 아깝다는 마음은 전혀 없고, 오히려 더 살 걸 그랬다는 생각만 한다.
[24Town]에서 싱글 ‘티를 내(Timeline)’으로 넘어가는 것은 아주 부드��고 자연스러웠다. 그리고 거기서부터 [7F, the Void]로의 이동은 시간이 좀 더 소요되었으며, 처음에는 다소 낯설게 느껴져 청취를 멀리하던 때도 있었다. 이전 음반에 수록되었던 ‘Physical Medium’에서 돋보이는, 사운드와 함께 배치되어 말 그대로 빈 곳을 채워주는 ‘필인’에 가까웠던 가사 나열 방식과 달리 [7F, the Void] 음반 트랙들은 좀 더 명확하게 스토리를 전달하고 있다. 잘 만든 트랙임과는 무관하게 ‘마음에 들지 않아’와 ‘Balcony’의 각개 곡의 진행은 낯설지만, 싱글을 발매하지 않고 EP로- 하나의 음반으로 발매했음은 의도가 있다는 것. 음반 전반적인 사운드의 흐름 역시도 좋다. 트랙리스트 대로 청취하면서 EP를 음미하면 통일되게 관통하는 키워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시간’과 ‘관계’. 수록곡이 많은 정규 음반도 아니니, 가벼운 마음으로 [7F, the Void] 음반을 훑어도 좋을 것이다.
디지털 시대와 다소 거리감을 두고, 디스크 가이드적인 방법으로 신세하의 [7F, the Void] 음반을 트랙리스트에 따라 몇 번 듣다보면 청자도 모르는 사이 감각에는 신세하의 사운드가 학습될 것이다. 아무리 [24Town]에 익숙했던 필자였더라도 [7F, the Void]를 듣다보니, 지난 나고야 일정에서 공연이 끝나고 로컬 펍에서 맥주를 마시고 숙소로 돌아가는 길에 [7F, the Void] 의 마지막 트랙인 ‘Tell Her’을 흥얼거리는 사태에 이르렀다.
심지어 얼마 안 가, 나고야에서 공연을 봤던 일본 밴드의 보컬이 신세하의 음악을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일도 생길 정도였으니- 신세하 가사의 질감 역시도 이 타이밍에서 언급하고 싶다. 사운드의 질감처럼 가사의 질감도 억양, 발음, 운율, 리듬, 강세 등의 요소들이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yaeji가 영어와 한국어를 혼용하며 영리하게 메시지 전달에 차이를 주는 질감의 변화 방식을 입체적으로 사용했다면- 신세하는 영어로는 개념적인 키워드를 던져주고, 청자에게 직접적으로 흡수되지 않는 한자를 기반으로한 한국어를 가사에 끼워넣고 가사를 흘려 보내어, 영어와 두 언어의 차이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사운드에 맞는 이미지를 전달했기 때문에, 잘 어울리기 힘든 이질감있는 원단들을 잘 가공해서 하나의 옷을 차려입은 느낌이다. 예지든, 신세하든, 그 방식의 차이는 있더라도 언어의 질감을 가공하여 자신만의 결을 만드는 것은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청취자에게도 특별하게 각인될 것이다.
본인은 부산에서 자랐기에, 신세하의 라이브를 접한 게 겨우 일 년 반도 채 되지 않는다. The Internet 공연에 게스트 액팅 정보가 올라왔었지만, 어떤 이유로 신세하 앤 더 타운의 공연이 취소되었고- 스티브 레이시가 투어에 참여하지 않았던 디 인터넷 내한이었기에 양도하는 등 이런 식으로 공연을 볼 기회는 점점 밀려났었다. 처음 신세하의 공연을 본 곳은 합정역에 위치했던 예전 채널 1969으로- 당일 새벽 6시에 집에서 출발해 이른 오전에 ���험을 치고, 밤엔 공연을 보고 집에 거의 기어들어가다 싶이했지만- 단연, 연말 정산으로 2016년 공연 봐서 좋았던 아티스트 리스트에 이름을 올릴만했던 순간이었다.
* 신세하의 작업 중 가장 즐겨들었던 트랙은 TouJours Youth Feat. Xin Seha (Xin Seha Remix): https://soundcloud.com/apachiofficial/toujours-youth-feat-xin-seha-xin-seha-remix 이다. (TouJours Youth를 Remix�� 아티스트 중에 소개하게 될 아티스트가 있음을 여기서 일러둔다.)
사람들은 쉽게 신세하의 음악을 80년대 바이브라고 말했다- 그래서 나도 그렇게 소갯말을 작성했긴하지만, 본인은 그렇게 말할 자격이 없다. 글쎄- 80년대를 겪어 본 적이 있어야 그렇게 말하지. 누군가는 패션처럼 음악에도 주기가 있다고 했지- 그 사이클 구조는 이해하고 있지만 생의 경험이 짧은 나에게는 조금 다르게 다가온다.
우선적으로, 재현과 재해석에 대해서- 본인은 언젠가 이런 말을 하기도 했다. “요즘 좋은 평가를 받는 아티스트들에 대한 반응으로 ‘촌스럽다’라는 말이 나오는 건 흥미롭다. 너무 광범위하지만, 70~90년대 음악을 듣고 자란 아티스트가 그와 비슷한 노선을 따라가면 지금에서야 그 음악을 처음 듣는 이후 세대에게는 전혀 촌스럽다는 느낌 없이 완전히 새로운 음악으로 받아들여진다. 말만 들으면 계승이란 뜻으로 적은 것 같지만, 비슷한 스타일이라도 재현과 재해석은 나누어지기에 분류를 달리해야 할 것 같다. 재현을 노선으로 택한 음악은 당대 음악보다 좋지 않으면 굳이 찾아들을 필요가 없다고 느껴져 그런 행보가 소멸한 뒤에야 많은 사람들이 지루하지 않게 들을테지만, 재해석보다 재현을 했을 때에 더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스타일링도 있고, 퍼포먼스적인 특징이 도드라지는 댄스팝에서는 재현도 흥미로운 풀이 방식이 될 수 있다. 가장 흥미롭고 기대되는 건, 현재 괜찮은 음반을 발매한 아티스트의 음악을 들었던, 앞으로 새로 등장할 다음 세대의 신인들이 현재를 골든 에라라고 말할 지도 모른다는 것이라는 점이다.”
몇 년이 지난 지금 생각이 조금 달라졌다. 주기라고 했을 때, 어떠한 세대가 듣고 자란 공통된 시대적인 무드가 바탕이 되어 그들이 성장하고 난 뒤 재생산되는 구조여야 할텐데, 최근 음악의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주기는 굉장히 짧아지기에도 모자라 난데 없이 튀고 중구난방이다.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를 바탕으로 성장한 YouTube, Apple Music, Deezer, SoundCloud, Spotify, BandCamp 등 음악을 접할 수 있는 플랫폼들을 통해 타인에 의해 아카이빙된 정보를 구하기는 수월해졌기 때문에(한편으로는 자신의 취향을 갖기 위해 신경쓰지 않으면 음악과 관련된 미디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스테레오타입화된 취향을 갖게 되기가 쉽기 때문에, 많은 정보들 중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을 잘 뽑아내는 아티스트가 소중한 이유이기도 ���지만.),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 그 이전 세대간의 정보량은 전에 본 적 없는 이상한 곡선을 그리고 있을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장르의 주기는 시간적으로 배열할 수 없게 되어버렸다. 사스케 하라구치는 2003년생이면서, 도쿄도 아닌- 심지어 일본 주요 4개 섬 중 가장 작은 시코쿠의 마츠야마시-인구 약 50만명-인 도시에 거주하지만 최근 Drop Tokyo, WWD, NATIVE INSTRUMENTS, Red Bull 등에서 직접 나서서 푸쉬하는 아티스트인 것을 생각하면, 이제는 그 웬만한 물리적-비물리적 장벽은 음악 청취와 창작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같다.
필자의 경우 그 과거의 시대적 무드를 직접 체험하기는 타임머신을 만드는 게 아닌 이상- 심지어 환생해도 불가능하다, 간접 체험으로 충족시킬 뿐이지. 시대를 겪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신세하는 항상 새롭고 동시대적이다. 결국, 라인업에 이름을 올린 아티스트 소개라며 나에게 신세하의 음악은 처음 맛보는 무언가라는 말을 이렇게 장황하게 늘어틀었다. 비교적 긴 시간 신세하의 음악을 들어왔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 필자는 그의 음악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것 같다는 머쓱한 말도 함께 위치시킨다.
아직 목격하지 못한 신세하의 순간: 2월 3일, 신도시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신세하의 솔로 라이브 셋을 고대하며-
P.S. 이번 공연을 준비하며 준비한 entry/intermission/exit time 배경음악 리스트가 있는데, 리스트를 전달했더니, 평소에 좋아하는 아티스트 이름이 몇몇 보인다고 하셨다. 알 것 같기도하고, 모를 것 같기도 하다.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