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mgik
#· 아홉 / reflection
niiinvs-blog · 6 years
Text
tags
0 notes
weekend-seoul · 7 years
Text
SPEAKERS - 울림의 공간
Tumblr media
이희준 개인전 《The Speakers》
2017. 3. 18 ~ 2017. 4. 16
Weekend
글: 이 채(Lee Chae)
SPEAKERS - 울림의 공간
평면이든, 입체든지 간에 예술 작품은 형식에 상관없이 저마다 나름의 형용할 수 없는 어떤 느낌을 자아낸다. 이는 예술이 우리의 감정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감정적 힘을 지닌 예술은 마치 소리가 무엇인가에 부딪혀 되울려 나오는 현상인 울림과도 같다. 그렇게, 예술은 울림의 방식으로 말해질 수 없는 섬세한 감정들을 자극하며 마음을 움직인다. 혹자는 예술의 형용 불가능성에 대해 클리셰가 되어버린 표현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분명한 것은 ‘형용할 수 없음’은 예술의 중요한 요소임과 동시에 예술 작품이 지니는 힘을 상징하는 것이다. 작가란 누구인가. 어떤 대상이나 현상에 의해 내솟는 울림을 영민하게 형상화하는 이가 아닌가. 소리가 들리기 위해서는 음들이 진동할 공간이 필요한 것처럼 작가도 자신의 울림을 위해서 자신만의 공간이 필요하다. 즉, 울림이 주는 내밀한 사건을 작가는 끈질기게 포착해서 자신만의 공간에 표현하는 것이다.
우선, 이희준의 작업에 나타나는 공간을 보자. 작은 이미지 드로잉 ⟨Speaker Practice Vintage Images⟩(2017)에서 볼 수 있듯이 그는 형태가 주는 조형적 요소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작업을 시작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작년 기고자 전시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2016)에서 본 전시인 《The Speakers》(2017)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지난 전시가 건축물이라는 비교적 넓은 시야를 가지고 회화적 작업이 이루어졌다면 이번엔 그에 비해 매우 작은 오브제인 ‘스피커’에 집중한다. 이러한 관심의 흐름이 다소 비약이 있어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 존재하는 건축물 이미지를 가지고 평면적인 화면을 이용해 내부도 외부도 아닌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 작업을 풀어나갔던 그가 평면적으로 재구성된 스피커를 통해 전시장 공간 자체를 가상의 공간으로 바꾸어놓고자 했다는 점에서, 어쩌면 건축물에서 스피커로의 시선 이동은 순서의 차이일 뿐 자연스럽게 여겨진다. 그는 계속해서 그만의 공간-그 공간은 물리적 공간이나 작가의 마음속 공간이 될 수도 혹은 스피커와 같이 어떤 것이든 될 수 있다.-에 대해 평면적 탐구라는 동일한 회화적 주제의식 속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희준의 공간은 중의적이며 그의 작업 전체를 관통하는 의식이라 하겠다. 예를 들어 과슈로 그린 작은 페인팅은 시리즈인 ⟨Speaker Practice Gouache Drawing 1-18⟩(2017)은 작업실에서 작품을 전체적으로 볼 수 없어서 그리게 된 드로잉인데, 드로잉을 하게 된 계기에서 알 수 있듯 그가 작업할 때 공간이란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엿볼 수 있다. 그만큼 그의 작업함에 있어서 공간은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앞서 말했듯이 그의 울림은 대상의 형상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에게서 공간에 대한 의식과 평면성에 대한 의식이 대립하기보다는 공간은 평면으로 평면은 공간이 된다.
아홉 개와 세 개의 캔버스로, 총 열두점으로 구성된 작품인 ⟨Speaker Practice 1-12⟩(2017)에서 스피커가 그에게 건네준 울림은 어떻게 형상화되었을까. 그가 느꼈을 울림은 단순히 스피커가 소리를 내는 사물이기 때문이 아니라, 스피커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생김새인 반듯한 구조와 다양한 형태들의 부품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비개념적이고 규정성을 지니지 않은 감정의 울림을 한번의 포착만으로 회화적 작업으로 표현해 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크릴릭을 여러 번이고 덧칠한다. 그런 이유로, 얼핏 그의 작업을 보면 플랫한 평면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 자세히 관찰해보면 서로 다른 두께의 아크릴릭이 겹쳐지고 발라지면서 미묘한 느낌을 만들어 낸다. 마치 화면이 진동하고 있다는 듯이 붓자국이 남아 있으며, 톤 변화를 주며 그라데이션으로 얇게 쌓아올린 배경에서는 소실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깊이감이 느껴진다. 또한 화면에서 주도적으로 위치하는 빨간색 원 주변으로 크고 작은 원들이 배치되어 있는 콤포지션은 리듬이 느껴지는 어떤 선율의 흐름이 나타난다. 하지만 그 흐름은 방향성 없이 마구잡이로 흘러가지는 않는다. 원형의 형태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선들과 배경들은 움직이는 듯한 조형요소들을 확장하기도 축소하기도 하면서 울림의 공간을 만들고 구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검정 선들은 자칫 스피커라는 대상이 사라지고 작가가 느꼈던 울림만을 남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이런 회화적 시도에 의해 그의 작업은 평면과 입체, 사실적인 이미지의 재현도 순수한 추상도 아닌 중간 어디쯤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희준는 어떻게 울림의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는가. 스피커 시리즈는 그가 스피커를 통해 느꼈던 울림의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스피커를 임의적으로 자르고 재배열한 흔적들을 볼 수 있다. 스피커의 모습은 사라지고 직선과 곡선이 서로 대립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그만의 형과 색으로 변환된다. 그 결과 작품들은 임의적인 움직임을 응집하면서 캔버스 화면의 프레임은 문제가 안된다는 듯이 유기적으로 중첩되기도 하고 충돌하기도 하면서 추상적 결과물인 울림을 만들어 내며 뻗어나간다. 그럼, 그의 울림은 어떤 공간인가. 그가 구현한 울림은 구체적 대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할 수 없는 무언가를 들려주는 것, 헤테로토피아! 그의 작품으로 둘러싸인 전시장은 더 이상 실제 전시장이 아닌 울림을 위한 가상의 공간이 된다. 울림만을 위한 공간이다. 전시 공간의 중앙에 서서 시선을 옮겨 다니다 보면 어느 순간 전시장도 그의 작품도, 더 나아가 스피커라는 특정한 대상조차도 사라지고 울림만이 남게 된다. 색과 형태들의 조화와 충돌이 만들어내는 회화적 음들의 세계가 펼쳐진다. 어쩌면 이희준이 그려낸 스피커는 단순히 추상적 결과물로서 시각화되었다기보다는 스피커가 그려진 2차원 평면 자체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으로 확장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는 스피커라는 소재를 통해 공간 자체를 각색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의 울림을 작업에 그려내고 관람객은 작품을 통해 또 다른 어떤 울림을 얻는다. 전시장은 이렇게 작가의 울림과 보는 이들의 울림이 공명하며 형용할 수 없는 어떤 느낌들로 가득 메워진다. 그렇다면, 이희준의 울림은 무엇인가. 그가 포착한 울림이 어떻게 들리는 것일까. 그 이유는 조형성에 대한 추구가 단순히 대상이 지니는 상징성만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기보다는 대상에 의해 느꼈던 느낌들을 자신의 회화적 언어로 바꾸어 나가는 지점에 있다. 더 이상 스피커는 스피커로서 남아있지 않는다. 본래 대상이 지니는 형상성은 제거되고 그만의 회화적 언어로 가공되며 그가 느꼈던 형태로, 회화의 방식으로 붓을 통해 끈덕지게 재구성된다. 종국에는 회화로 귀결되고자 하는 그의 작업 태도와 맞닿아 있는 모습이다. 따라서 총체적으로, 이희준의 작업을 살아움직이게 하는 것은 화면에 내적으로 조직되어있는 회화적 감각의 울림에 의한 것이다. 
  SPEAKERS – SPACE OF RESONANCE
Whether flat or solid, individual art work arouses its own inexplicable feelings regardless of its form – art is connected to our emotion. Art with emotional force is similar to an echo, a reflection of sound from the surfaces; art stimulates a delicate emotion beyond the words to speak to the heart. Some claim that it is almost cliché to talk about indefinability of art; however, ‘inexplicability’ is, indubitably,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art symbolizing its essence. What is the role of an artist? It is to materialize a reverberation of an object or phenomenon accordingly. As sound waves need a space to travel, it is important for artists to hold personal space for their own resonance as well. In other words, they persistently capture discrete incidents caused by vibration and present those incidents in their own space.
First, let’s take a look at the space in Heejoon Lee’s works. From a series of small image drawings, Speaker Practice Vintage Images (2017), he is triggered by the plasticity of elements in a formative structure. This interest continues from his first solo exhibition, INTERIOR NOR EXTERIOR: PROTOTYPE (2016) to the current exhibition, The Speakers (2017). While he focused on architecture for the last show, this time, he narrowed his perspective to a rather smaller object, speaker. This may be a slight jump in a theme, but it is a reasonable movemen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rtist, who had created a neither interior nor exterior space with architectural images is now changing the entire exhibition space into a virtual one with a restructured speaker on a flat surface.
He continues to explore with the same subject, a flat surface in his own space – the space which can be his physical space, mental space, or even a speaker among others. In this context, his space has a dual meaning and becomes a consciousness which penetrates through his oeuvre. For example, he made Speaker Practice Gouache Drawing 1-18 (2017), a small painting series in order to get a large picture of the whole exhibition view due to his small studio space. This reveals how much space is significant to the artist. Once again, his vibration originates from the form of an object. To the artist, the consciousness of space and that of a flat surface do not contrast; rather space becomes flat, and vice versa.
Then how is the reverberation of the speaker projected on Speaker Practice 1-12 (2017), a 12-canvas series of works? The speaker, for the artist, is not a simple medium for sound, but is an assembly of a structure and various components.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him to capture the vibration of neither conceptual nor regulated emotion at a glance, he paints acrylic on canvas repeatedly. For that reason, his works may seem flat at a distance but when seen closer, layers of colors and different thicknesses of paint arouse subtle emotions. The surface is filled with brush strokes as if it is vibrating, and the layered background with tonal gradation alludes to depth even without a vanishing point. Moreover, the composition of small circles around bold red circles presents a melodic flow of lines. Those geometric figures and lines, however, are in fact not improvised. They allocate or create space for resonance by enlarging or subtracting formal elements. Especially the lines in black prevent the possibility of the speaker from vanishing as an object and leaving only reverberation behind. Based on this painterly attempt, his works are placed somewhere between flatness and solidity, and representational image and pure abstract image.
Then the question of how Heejoon Lee creates the space of resonance follows. In order to realize what he felt through the speakers, he arbitrarily cropped and rearranged the images. Now the form of the speaker vanishes and turns into a new color and form where lines and curves contrast yet harmonize. As a result, regardless of the limit set by each canvas frame, the paintings overlap or conflict with each other by clustering arbitrary movements to form an abstract outcome, ‘resonance.’ Then how do you define this space? It is a realization of an indescribable object despite its specificity —  Heterotopia! Now the exhibition space no longer embraces the reality; it is a virtual space only for reverberation. Let yourself stand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submerge into each work of art. Then there will no longer be an exhibition space, paintings, or even specific objects like a speaker. What is left in the space is ‘reverberation.’ There lies a pictorial yet auditory world created by collision and harmony of colors and shapes. Maybe the speaker painted by Heejoon Lee is an expansion of two-dimensional space itself like heterotopia rather than just a visualization of abstract outcome. Namely, he is adapting the space itself via the speaker.  
The artist paints his resonance and the audience acquires their own through the works. The space is filled with shared reverberations in addition to undefinable emotion. Then what is Heejoon Lee’s resonance and how does it get transferred? In spite of depicting a mere symbol of an object, he is attempting to transcend his emotion into a visual language in painting. The speaker is no longer itself. The original form of an object is removed, transformed into its own language, and restructured into a new language with brush strokes — this is his attitude to conclude his work into painting in the end. Overall what makes his work prosperous is his painterly sensorial resonance, organized innately on a surface.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