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nit
iunit
i unit
9 posts
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iunit · 13 years ago
Quote
... social influencers are trusted by their peers due to their authenticity and lack of 'agenda'.
Herd by Mark Earls
0 notes
iunit · 13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Star Wars # 84: Seoul Searching (from Wookieepedia) 
Asterios Polyp의 작가 David Mazzucchelli 연보를 보다가 발견한 책. 한 솔로가 갬블러 하나를 만나 솔로의 밀레니엄 팰컨과 갬블러의 크리스탈을 두고 도박을 하는 것으로 시작된답니다. 갬블러는 Seoul 5란 도시에서 크리스탈을 발견했다고 주장하고, 처음에는 믿지 않던 솔로가 이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이제는 잊혀진 Seoul 5를 찾아가는 이야기. 이름만 있을 뿐 현재의 서울과는 전혀 관련없는 이야기죠.  서울에 살던 종족을 Seoularian이라고 한다는데 저도 그 중 하나였군요.
미국은 이민자의 나라라 그런지 참 다른 나라의 도시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정말 많은 것 같아요. "Paris, Texas"란 영화를 봤을 때 참 웃기는 지명이다 라고 생각했는데 지금 제가 있는 곳 근처에도 Warsaw, Berlin, Angola, Brazil, Lebanon, New Castle, Peru, Petersburg 등 익숙한 이름의 도시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넓은 미국 땅에, 그렇게 한국사람이 많이 사는데, 왜 Seoul이란 도시는 없을까요? 스타워즈 스토리에나 나올 법한 먼 곳인가요?
0 notes
iunit · 13 years ago
Text
Pinspire는 "신개념을 모방한 SNS"겠죠.
조금 전에 본 기사: 신개념 SNS 핀스파이어, 국내 서비스 본격화
얼마 전에 Pinterest 계정 열고 시험삼아 이것저것 만지면서 재밌네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비슷한 이름을 기사에서 발견하고선 바로 pinspire 사이트에 가 보았습니다. 컨셉은 물론 로고, 색상까지 누가 봐도 카피캣이네요. TechCrunch에서도 한 번 다룬 적이 있군요 -Pin Down The Pinterest Clones
Pinterest 입장에서��� 무척 당황스럽겠지만 인터넷에서 이런 경우는 숱하게 많이 일어나는 듯 합니다. Originality가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이겠죠. 싸이월드가 세계 최초의 SNS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거 외쳐 봤자 무슨 소용일까요? 이노베이션이 성공을 보장하나요? 냉정한 세상입니다.
8 notes · View notes
iunit · 13 years ago
Video
vimeo
LOGORAMA (by Human Music & Sound Design)
아래 City Map의 UI를 보고 다시 기억나는 Video. Fast Company 기사에도 언급되어 있군요. 기사에 쓰인 대로 브랜드에 대해 무척 냉소적인 비디오이긴 합니다.
0 notes
iunit · 13 years ago
Photo
지도 위에 어수선한 3D 빌딩 모양보다는 상점 브랜드를 표시하는 게 훨씬 유용할 듯 합니다. 런던 지하철 노선도를 상기시키는 UI네요. 여러 층에 걸쳐 상점들이 겹쳐 있는 경우 어떻게 표시하는 지 궁금하군요. 
Tumblr media Tumblr media
UI Genius: CityMaps Uses Brand Logos To Make Maps More Useable
81 notes · View notes
iunit · 13 years ago
Link
[Co.DESIGN] Uh-Oh: Science Says Creativity And Dishonesty Go Hand In Hand
Harvard의 Francesca Gino와 Duke의 Dan Ariely의 실험에 따르면 창의적인 사람일수록 정직하지 못한 (deceiving) 행동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실험에 대해 자세히 읽으면 창의적인 사람이 보상을 얻으려는 욕구가 강하다 정도로 보이는데요 어떻게 정직하지 못하다로 연결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것보다 creative accounting이나 Ponzi scheme을 언급한  Fast Company의 인트로가 더 재미있네요.
저는 "창의적인 사람들이 자기 합리화에 능하다"는 정도로 이해하는데요, 그런가요?
1 note · View note
iunit · 13 years ago
Photo
Tumblr media
Sometimes, I wonder whether birds can smell.
새가 느끼는 세상에 대해 상상해 본 적이 없네요.
0 notes
iunit · 13 years ago
Text
Change by Design (by Tim Brown)
Tumblr media
  학기 끝나고 뒤늦게 읽은 책입니다. Tim Brown은 '디자인적 사고 (Design Thinking)'를 디자인이나 스타일링과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Design이 아니라 Design Thinking이 결국 혁신의 핵심이라는 저자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아울러 저자는 어떤 방법으로 디자인적 사고를 제품/서비스 혁신에 활용하는 지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서 이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소 다르겠지만 큰 줄기는 아마 같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예전에 했던 프로젝트들이 자꾸 생각나면서  이 책을 먼저 읽었다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생기네요.
11 notes · View notes
iunit · 13 years ago
Video
youtube
Powers of Ten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세상이 달리 보인다는 내용의 영상입니다. 개구리의 프레임은 우물의 직경이 결정합니다. 항상 어떤 크기의 프레임으로 생각하고 관찰하는지를 자각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1 note · View 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