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t wanna be here? Send us removal request.
Text
[인물] 가수 정정아

[인물] 가수 정정아
���보란
사람들은 흔히 어리석고 못나게 구는 사람을 얕잡거나 비난하여 이를 때 바보라고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끄럽고 수줍음 이 많은 사람을 두고도 바보 같은 사람이라고도 한다. 또, 순수하고 순진한 사람을 일러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수 정정아가 말하는 ‘바보 같은 남자’의 바보는 순수하고 때가 묻지 않은 사람을 말한다. 그래서 사랑하는 사람을 가까이 두고서도 너무나 사랑하기에 사랑한다 말 못하며 가슴앓이 하는 바보를 말한다. 어떻게 보면 지순한 사랑이다. 하지만, 가수 정정아는 바보 같은 남자의 사랑을 말하지만 그 남자는 남자로 국한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남자는 '한 사람의 인간'을 말한다. 상징성을 가지는 인간이다.
바보 같은 남자의 순수한 사랑
세상을 살다보면 지순한 사랑이, 순수한 사랑이, 왜곡되는 경우가 많다. 생각으로 사람을 사랑하고, 가슴으로 사랑하지 않기에 쉽게 만나고 쉽게 헤어지는 사랑을 하는 것 때문이다. 그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니다. 정말 어리석은 사랑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어리석은 바보의 사랑’이다. 그러나 ‘순수한 사랑의 바보’는 어리석은 사랑을 하는 바보의 사랑과 틀리다. 어리석은 사랑은 생각의 사랑이기에 소유하려하고 집착이 강하다. 그것은 단순히 좋아하는 것을 사랑으로 왜곡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순수한 사랑은 왜곡이 아니다. 바라다봄의 사랑이다. 집착이 아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가까이 있는 자체가 그리움이다. 그래서 사랑해도 사랑한다는 말을 하지 못하는 바보 같은 사람이다. 이 같이 순수한 사랑을 하는 바보 같은 사람을 “바보 같은 남자”를 통해 가수 정정아는 노래하고 있다.
아름다운 바보를 통한 인간성 회복 운동
아름다운 바보를 노래하는 가수. 그 아름다운 바보가 가수 정정아의 '바보 같은 남자'이다. 어쩌면 가수 정정아는 바보 같은 남자를 통해서 바보 같은 아름다운 사람을 말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사람의 순수성이 고갈 되고 있는 시대에 그 순수성의 고갈이 인간성의 상실임을 알고 있는 가수 정정아는 그 인간성이 사랑임을 알고 있다. 그래서 사람의 순수성도 인간성의 내면적 모습이라는 사실도 인지한다. 그래서 이 시대의 진정한 바보를 통해 인간성 회복을 위한 사랑을 '바보 같은 남자'를 통해 가수 정정아는 노래한다. 그는 ‘인간성 회복 운동'을 노래 자체로 대중과 사회에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노래는 가슴으로 부르는 노래다. 사람에게 경이로움을 주는 울림의 노래다.
인간성 회복 운동의 ‘큰 노래’
가수 정정아의 오래는 사람에게 큰 울림을 주는 노래이기에 여타한 가수가 부르는 노래와는 다른 인간성 회복 운동의 '큰 노래'이며 이런 큰 노래를 부르는 가수는 세상에 없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 계속해서 대중들의 곁에서 오래토록, 인간성회복 운동을 노래로 펼치고 있는 가수 정정아의 깊이가 있는 ‘큰 노래’를 통해 진정한 사랑을 하는 사람들로 사회에 물결치기를 바란다. 그래서 정정아의 노래를 통해 대중들이 마음속 깊이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를 바란다.
*필자. 김남열(시인,수필가,평론가, 브레이크뉴스 객원기자)
1 note
·
View note
Text
시인 김남열 시집 / 정과 사랑

시인 김남열 시집 / 정과 사랑 오랫동안 지내오며 생기는 친밀한 감정이다. 좋아하는 감정이다. 즐거움의 마음이다. 경이로운 마음이다. 함께하는 마음이다.정겨움 마음이다. 온화한 마음이다. 위해 주는 마음이다. 감싸주는 마음이다. 정이란 이와 같은 것이다.
반면, 사랑은 누군가를 애틋하게 그리워하고 열렬히 좋아하는 마음이다. 나의 진정한 마음을 누군가에게 베푸는 가식 없는 마음이다. 나의 이기적인 생각 나에게서 지우면서 배려하는 마음이다. 나를 내세우지 않고 나를 항상 낮추면서 하심하는 마음이다. 누군가를 구속 않고 누군가에 집착 않고 자유하도록 하는 것 그래서 나와 타인이 서로가 평안한 마음 느끼게 되는 것이다. 사랑이란 이와 같은 것이다. 그래서 '정과 사랑'을 할 때는 정이 들어 사랑을 하고 사랑하기에 정이 든다. 깊은 정 때문 사랑하고, 깊은 사랑 때문에 정이 든다. 그래서 진정한 정은 사랑이며 진정한 사랑은 정이다. 그래서 '정과 사랑'이란 생각과 마음 뛰어 넘어 가슴과 온몸에 물들기에 헤어지면 지우려 세월이 가고, 지우려면 정 때문에 아프고, 사랑 때문에 아프다. 그것은 정이 들어 사랑도 했고 사랑했기에 정도 들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진정한 정이 들었다면 정과 사랑이 구분 없다. 생각으로 정들고 사랑했기에 구분이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구분 없는 깊은 정은 사랑이며 깊은 사랑은 정인 것이다. 저자. 김남열
1 note
·
View note
Text

시인 김남열 시집 / 욕망의 시대 사람들의 욕구는 끝이 없다. 산업화 시대에 문화적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은 보고, 듣고, 느끼는 것들이 많이 생겼다. 그러한 것에 의해서 사람들이 갈망하는 욕구는 더욱 커져만 가고 욕구에 의한 욕망도 커지게 되었다. 사람들의 욕망은 세상을 살벌하게 만들었고 그것은 인간성의 상실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사람은 욕망을 위한 도구처럼 되어가고 물건처럼 취급 받는 시대가 되었다. 사람의 인간성도 부귀공명의 높낮이가 측정의 기준이 되었으며 그 부귀공명에 의해서 사람의 가치도 정해지는 시대가 되었다. 그래서 부귀공명이 욕구에 의한 욕망이 되는 '욕망의 시대'가 우리가 사는 시대가 되었다. 이제 기계화가 가속화 되고 인간의 존재 가치도 추락하고 있다. 인간 존재의 위기 시대이다. 그 위기를 초래하는 것이 인간의 욕망이다. '욕망의 시대' 인간이 설자리도 점점 사라질 것이며 인간 욕망에 의해서 길 없는 길을 가야하는 인간성 상실의 시대에 인간 인생의 길이 비극의 길이며 인간이 자초한 길이된 것이 현 시대이다. 그래서 인간이 존재하는 한 '욕망의 시대'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 저자. 김남열
구글
1 note
·
View note
Text

시인 김남열 시집 / 미워도 다시 한 번 용서하며 사랑하기에 미워합니다. 사랑이 없다고 한다면 미움 역시 없는 것입니다. 사랑하기에 용서합니다. 사랑이 없다고 한다면 용서 역시 없는 것입니다. 정들자 사랑을 하면서 사랑하며 깊은 정이 들었습니다. 하여, 한 번 헤어졌어도 다시 만나, 다시 한 번 서로를 용서하며 사랑을 하는 것입니다. 너무나도 사랑했기에. 그렇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미워도 미워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랑했기에 그런 미움도 사랑의 모습 인 것입니다. 그래서 임을 미워하지 않습니다. 미워도 미워할 수가 없고 미운 것은 내가 밉습니다. 임에게 미워한다는 말은 내가 나에게 미워한다는 그러한 미움 인 것입니다. 나에게 있는 내 자신의 이기적인 마음을 미워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한 번 그대를 사랑하려 합니다. 그래서 이기적인 나의 마음 ��우며 이제는 내 스스로 내 마음 비우면서 내가 없는 마음에 그대를 존중하며, 아끼며 사랑하고 싶습니다. 그러니 다시 한 번 열정을 태워 봐요. '미워도 다시 한 번 용서하며' 미움도 묻어버리고 새 신랑, 새 신부가 되어 사랑을 해요. 너무나 익지 않았던 우리의 사랑 뒤 늦게 깨닫게 되었으니까요. 저자. 김남열
구글
1 note
·
View note
Text
1 note
·
View note
Text
1 note
·
View 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