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mgik
#김시형
you-just-said-that · 2 years
Text
“중증장애인, 또 코로나 대유행에 마음놓고 아플 수나 있었으면”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1 note · View note
elkajord · 6 years
Video
undefined
tumblr
Hi, HISTORY ❤
4 notes · View notes
Link
[INSTAGRAM]  200118  Kim Sihyoung
“1. I’m not too bad considering I haven’t played in years 2. It’s a good spin~ 3. But why can’t I feel my wrist...? 4. Come on, hang in there....ah.............! 5. Let’s just go home...”
Trans CR: history-translations
Take out with full credits! No exceptions please!
We are learning Korean - we are NOT fluent! Things may not be translated 100% correctly, and we apologize, but we are trying.
1 note · View note
princessofdarebelz · 7 years
Photo
Tumblr media
Can't believe the news 😢 I know I'm gonna miss y'all 힘내자, 애기들.. #히스토리 #송경일 #나도균 #김시형 #김재호 #장이정 #스토리아 #History #SongKyungIl #NaDoKyun #KimSiHyung #KimJaeHo #JangYiJeong #Storia
0 notes
Photo
Tumblr media
[Photo]  김시형 instagram update - with Minho 170913 - (1P)  Credit: kimsihyoung
29 notes · View notes
his-torybegins · 7 years
Text
[FANCAFE] 170512 FAVE ENT
Hello. This is FAVE ENTERTAINMENT. 
This is information regarding the end of HISTORY’s group activities. 
On May 12th, after 4 years of activity, HISTORY (Song Kyungil, Na Dokyun, Kim Sihyoung, Kim Jaeho, Jang Yijeong) will be officially ceasing all group activities.
Following Kyungil’s enlistment last December, the other members will also be entering the army eventually in order. We feel this means there will be a long period where they can’t be a full team, and that the member’s individual activities are also important. Meanwhile with the current situation at the company, the direction of HISTORY’s activities has been thoroughly discussed at length with the members. 
After reflection, the company and the members have discussed ending the precious group activities as HISTORY, and have decided to focus on a more expansive future with each members’ individual activities. HISTORY’s group activities will end as of today but all 5 members’ exclusive contracts are maintained and the company plans to support the members’ individual activities from now on. 
We truly thank the fans for all the support they have given HISTORY in the last 4 years. Please warmly support all five members in their new start as well. 
Thank you.
*On May 31st, the official channel and fancafe will be deleted. You can find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members from the FAVE ENT Twitter or Facebook. 
[T/N: You can see the original Korean text under the “Read More”]
trans cr: his-torybegins please take out with full credits
안녕하세요. FAVE ENTERTAINMENT입니다.
그룹 ‘히스토리(HISTORY)’의 그룹활동 종료에 대한 소속사 공식입장을 전해드립니다.
히스토리(송경일, 나도균, 김시형, 김재호, 장이정)는 오늘 5월 12일 부로 4년여에 걸친 그룹 활동을 공식 마감합니다.
5인조인 히스토리는 현재 멤버 송경일이 지난해 12월 군입대에 나선 이후로 멤버들의 순차적인 군입대가 예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오랜 팀의 공백기로 멤버 개별 활동이 필수불가결한 상황이기도 합니다. 그 동안 당사는 현 상황을 종합적으로 놓고 히스토리의 활동 방향 ��에 대해 멤버들과 오랜 시간 진중하고도 심도 높은 논의를 이어왔습니다.
심사숙고 끝에 당사와 멤버 5인은 정들었던 히스토리의 그룹 활동을 종료키로 협의하고, 멤버 각자의 개별 활동에 주력하여 보다 발전적인 미래를 도모하는 것에 뜻을 모았습니다. 히스토리의 그룹 활동은 오늘 부로 종료되지만 멤버 5인의 전속계약은 그대로 유지되며, 향후 당사는 멤버들의 개별 활동을 지원해나갈 예정입니다.
지난 4년여간 히스토리에 보내주신 팬들의 성원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새로운 출발선에 선 다섯 멤버들을 위해 앞으로도 따뜻한 관심과 성원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채널, 팬카페는 5월 31일에 폐쇄 예정이며, 히스토리 멤버들의 관련 소식은 FAVE ENT TW / FB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08 notes · View notes
kien97-blog1 · 7 year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생일 축하합니다 시형형 #HappySihyoungDay chúc mừng sinh nhật tuổi 26 Sihyoung hyung #김시형 #ForeverWithHISTORY 🎂🎂🎉🎉
0 notes
Photo
Tumblr media
Just Pinned to 아이유 고퀄 고화질 HD 움짤 GIF 모음: 아이유 고화질 움짤 모음 아이유 고퀄 고화질 HD 움짤 GIF 모음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다양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M은 카카오의 자회사로 음악음반 유통 음악 콘텐츠 투자제작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을 하는 종합음악기업이다. 자회사로 가수 레이블을 굉장히 많이 두고 있다. 현재는 아이유가 소속됐던 페이브엔터테인먼트[6]를 비롯하여 크래커엔터테인먼트 스타쉽엔터테인먼트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인디레이블 문화인이 있다.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다시 배우 매니지먼트사인 킹콩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으니 그것까지 합한다면 총 6개의 레이블이 있는 셈이다. 2018년 9월 1일자로 기존의 카카오M은 모기업인 카카오에 흡수합병되서 법인이 소멸[7]되었고 대신 동년 8월 18일 자본금 9억으로 (주)이엔컴퍼니를 신규 설립 후 카카오M이 흡수협병된 후 2일후인 9월 3일 이엔컴퍼니를 카카오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냥 바꿔치기 한거다. 카카오는 9월 11일자 공시로 카카오M을 흡수합병 된 후 카카오로 들어온 사업중 일부인 5127억7400만원 어치의 자산을 가진 사업부분을 물적분할해서 카카오M에 유상현물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치로 기존 카카오M의 디지털 영상 음악 제작 콘텐츠 사업과 연예 매니징 사업이 이관될 예정으로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동일한 사명을 가지지만 별개의 역사를 가진 카카오M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동년 11월 1일자로 스타쉽 플랜에이 등의 주식이 카카오에서 카카오M(舊 이엔컴퍼니)로 이관되었다고 11월 6일자로 공시했다. 2018년 9월 18일 현재 최대주주는 (주)카카오이며 보유지분은 100%이다.[8] 2. 연혁[편집] 카카오M의 전신은 1978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에 세워진 서울음반이다. 서울음반은 시사영어사(현 YBM)의 창업자인 민영빈 회장이 시사영어사의 자회사로 세운 기업이었다. 설립 당시 주요 사업은 어학용 테이프를 만드는 일이었다. 1982년 서울음반은 주식회사화하고 이름을 (주)서울음반으로 변경했다. 1984년 음반 을 만들었고 클래식과 국악 관련 음반도 상당수 제작했다. 대중가요에서도 상당히 많은 명반을 발매했으며 대중음악 100대 명반을 선정하면 항상 최상위권에 랭크되는 유재하의 사랑하기 때문에를 발매하기도 했었다. 서울음반은 1999년에 벤처기업으로 등록했다. 또 이 해부터 음반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2000년 회사 이름을 (주)YBM서울음반으로 바꿨다. 같은 해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등록했다. 2003년에는 국제음반을 합병했다. 2005년 SK텔레콤이 지분 60%를 사들여 최대 주주가 되면서 YBM서울음반은 SK그룹 계열사로 편입됐다. 이 해에 회사 이름을 다시 (주)서울음반으로 바꿨다가 2008년에 (주)로엔엔터테인먼트로 변경해 2018년 3월까지 사용했다. 2009년 로엔엔터테인먼트는 SK텔레콤이 운영하고 있던 온라인 음악 판매 서비스인 멜론(Melon)을 넘겨받아 운영을 시작했다. 그리고 멜론은 SK텔레콤의 막대한 힘으로 국내 최대의 음악사이트가 되었다. 2013년 7월 SK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에 따라 지분을 어떤식으로든 정리해야 했던 로엔엔터를 결국 사모펀드인 스타 인베스트 홀딩스 리미티드에 2659억원에 매각하기로 계약이 체결되었다. 2013년 9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및 제작사업을 멀티 레이블(음반제작사) 체제로 전환하고 로엔트리 레이블과 콜라보따리 레이블을 설립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와 제작사업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0월 16일자로 회사의 최대주주가 SK에서 중국 사모 펀드인 스타인베스트홀딩스로 변경되었다. 2013년 12월에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150억 원에 인수하였다.[10] 2015년 5월 스타쉽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배우전문기획사인 킹콩엔터테인먼트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 2015년 11월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126억원에 취득했다.[11] 2016년 1월 (주)카카오가 기존 대주주인 스타인베스트먼트와 SK플래닛이 지닌 지분 76.4%를 1조 8743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되었다. 최대주주 변경일은 동년 3월 16일로 발표되었다. 2659억원에 인수해서 1조 8743억원에 매각하는 사모펀드의 능력을 보여줬다. SK텔레콤은 이후 로엔엔터의 매각을 후회하고 결국 아이리버를 통해 다시 음원음반 유통사업에 재진출하게 되었다. 2016년 3월 (주)카카오로 최대 주주가 변경되면서 카카오 계열의 자회사로 편입이 완료되었다. 또한 자회사인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가 3월 2일 자로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6년 5월에는 로엔트리와 콜라보따리를 로엔의 부서에서 자회사로 분리시켰고 사명 또한 다른 연예 기획사와 비슷하게 페이브엔터테인먼트 크래커엔터테인먼트로 바꾸었다. 아무래도 로엔이 앞서 여러 연예 기획사를 인수하면서 로엔의 기존 레이블인 로엔트리와 콜라보따리의 구조를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12] 2016년 6월에는 인디 레이블인 문화인을 설립했다. 2017년 1월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가 킹콩엔터테인먼트를 1일자로 흡수합병했다. 2017년 1월월에는 모바일 영상 제작소 크리스피 스튜디오 설립했다 2017년 5월에는 드라마 제작사 메가몬스터[13]을 설립했다. 2017년 12월에는 회사명을 카카오엠(kakao M)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 이후 2018년 3월 23일 주주총회를 거쳐 사명을 변경했다. 2018년 1월 자회사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가 김소현의 1인 기획사인 E&T스토리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다.(지분 60%) 2018년 5월 자회사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의 2대 주주였던 최진호 前 대표의 지분 30%를 카카오M이 35억 1300만 원에 매수하여 완전 종속자회사로 변경했다. 최진호 전 대표가 1월 31일 공동 대표에서 해임되고 이후 지분을 매각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빅톤을 말아먹은 게 크지 않았냐는 추측이 있다. 솔직히 에이핑크 띄운 것은 큐브 창업자인 홍승성의 능력이지 최진호의 능력이 아니었기에 경영 능력에서는 팬들의 의심을 받기는 했다. 2018년 5월 17일 사명 변경 후 얼마안가 모회사인 (주)카카오에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존속회사는 카카오 소멸회사는 카카오M. 합병 기일은 2018년 9월 1일 자로 하며 합병 신주는 9월 18일자로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할 예정이다. 합병결정의 이유로는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업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양사 간 시너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덧붙여서 합병 이후에는 카카오엠의 음악 및 영상 사업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하여 콘텐츠 제작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럴 경우 카카오M 산하의 기획사들도 카카오의 자회사로 들어갔다가 다시 분사된 회사로 넘어갈 게 확실해 보인다. 2018년 8월 18일 카카오가 자본금 9억 원으로 주식회사 이엔컴퍼니를 설립했다. 카카오M 합병 후 분리될 사업 부문을 이어받을 가교 기업이다. 예정대로 2018년 9월 1일 카카오M이 흡수합병되었다. 이로써 서울음반 로엔엔터테인먼트 카카오M으로 이어진 회사가 소멸되었다. 2018년 9월 3일 전달에 신규 법인으로 설립된 이엔컴퍼니를 카카오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8년 9월 11일 카카오는 공시를 통해 현물 출자를 통해 음악 및 영상 컨텐츠를 전문적으로 영위하기 위해서 카카오M에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법원의 인가가 필요하기에 시기는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 2018년 11월 1일자로 카카오가 가진 스타쉽 플랜에이 페이브 등의 엔터사와 기타 현물자산을 넘겨받았다. 결국 로엔이 가졌던 멜론만 빼고 다시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카카오M으로 다시 넘어온 셈이다. 3. 사업[편집] 3.1. 1theK[편집] 3.2. 산하 레이블[편집] 파일:kakaoM_white.png 산하 레이블 파일:Fave Entertainment_02.png 파일:creker.png 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제거.png 파일:external/http://bit.ly/2ENN4cO 파일:문화인영문제거.png 3.2.1. 페이브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FAVE_LOGO_300x80_2017.png 지아 송경일 나도균 김시형 김재호 장이정 페이브걸즈 3.2.2. 크래커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크래커로고로고.png 더보이즈 (THE BOYZ) 3.2.3. 스타쉽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Starship_Entertainment.png [ 열기 / 닫기 ] 3.2.4. ��랜에이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external/http://bit.ly/2ENN4cO [ 열기 / 닫기 ] 3.2.5. 문화인[편집] 파일:문화인.png [ 열기 / 닫기 ] 4. 트리비아[편집] 두산의 비꼬는 응원가인 해냈다 해냈어의 원곡을 2005년에 여기서 만들었다. 본사 안에 국악사업부가 있다. 이는 서울음반 시절의 유산으로 2010년 KBS 국악대상에서 출판 및 미디어상을 받았다. 핀테크의 일종인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엄 중 하나인 카카오 컨소시엄에 참가하고 있다.#기사링크 2011년에 우면산 산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 당시 SNS에 이 회사의 간판이 흙에 쓸려간 사진이 돌면서 아이유를 비롯한 소속 연예인의 신변을 걱정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었다. 아이유는 당시 사옥 내에 있지도 않았고 숙소가 이 근처도 아니었기에 무사했으며 당시 사옥 이전 작업이 진행 중이라 우면산 인근 구 사옥 건물에는 일부 시설과 인력만 있어 피해가 그렇게 크지는 않았다고. 하지만 다른 소속 가수들이 쓰는 숙소가 인근에 있었는지 이후 일정 기간동안 심리적 충격을 이유로 활동을 하지 않았다. 현재는 사옥과 스튜디오 숙소를 비롯한 모든 시설이 우면산 인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자회사 소속 연예인이 연습실을 공유하기도 한다. 피에스타[14] 멜로디데이[15] 더 보이즈[16] 몬스타엑스[17] 우주소녀[18] 등이 같은 연습실에서 찍은 안무영상을 업로드하기도 했다. 2017년에 새로 옮긴 신사옥에 자회사가 있고 사옥 입구에 카페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스타힐빌딩 문서 참조 바람. 소속 가수나 유통하는 가수의 음원을 한국 애플뮤직에는 절대로 서비스하지 않으며 2018년 기준으로도 그 정책은 유지되고 있다. 산하에 여러 레이블들이 있지만 아이유는 2018년 8월 이후 카카오M이 직접 관리하는 모양이다. 이 시기에 아이유가 페이브 소속 목록에서 빠졌다고 한다. 전술했듯이 아이유 전용 연습실도 있고. [1] 카카오에 흡수된 카카오M의 설립일은1978년 10월 1일로 舊 서울음반 창립일이였다. [2] 2018년 11월 1일 - 현재. 링크 [3] 2016년 4월 모기업인 카카오가 상호 출자 제한 기업 집단에 속하게 되어 자회사인 로엔 역시 대기업으로 바뀌게 되었지만 2016년 6월 정부가 대기업의 기준선을 10조 원 이상으로 변경하며 다시 중견기업으로 내려왔다가 준대기업집단을 창설하면서 준대기업으로 변경되었다. [4] 구글에 '로엔엔터테인먼트'라고 치면 한국 최대 음악사이트이자 계열사인 멜론이 건물을 쓰고 있고' 로엔엔터테인먼트 본사'라고 치면 우리가 흔히 아는 5개의 레이블을 가지고 있는 연예 기획사가 맞다. 헷갈리지 말길. [5] 2018년 3월 - 현재 회사 슬로건. 링크1 링크2 [6] 자회사인 페이브와 계약을 맺던 이전과 달리 2018년 기준 직접계약은 지주사인 카카오M과 맺고 매니지먼트는 페이브에서 그대로 담당한다. [7] 카카오M 산하의 연예기획사들은 현물출자가 진행되는 몇개월동안은 카카오의 자회사로 지위가 바뀌게 되었다. [8] 18년 9월 1일자로 소멸된 카카오M의 최대주주도 (주)카카오였으며 보유 지분은 67.73%[9]였다. [9] http://bit.ly/2EPSlkB [10] 창업주인 서현주 대표의 지분 중 70%를 인수했다. [11] 창업주인 최진호 대표의 지분 중 70%를 인수했다. [12] 로엔이 회사 구조를 정리하면서 논현동의 한 빌딩을 매입해서 리모델링한 다음 산하 레이블을 모두 같은 빌딩으로 이주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로엔이 인수한 산하 레이블 간 협력을 도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건물 증축을 통해 확보된 층 가운데 한 층을 통째로 아이유에게 연습실로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며 외부노출을 줄이기위해 층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을 본 각주 내 링크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이 레이블들이 모두 모여 매월 로엔 프렌즈 오디션이라는 합동 오디션을 실시한다고 한다. [13] 구 (주)스토리플랜트. CJ ENM의 계열사인 스튜디오드래곤와 공동투자이다. [14] 페이프 소속 5인조 걸그룹 [15] 크레커 엔터테인먼트 소속 4인조 걸그룹 [16] 크레커 엔터테인먼트 소속 12인조 보이그룹 [17]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소속 7인조 보이그룹 [18]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소속 13인조 걸그룹 인디애나 대학교 공공행정학과 (SPEA) 건물 전경[3]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IU[4]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을 줄여서 IUB 라고 쓰기도 한다. 인디애나 대학교의 캠퍼스들이 워낙 많다보니 이런식으로 메인 캠퍼스를 구분한다. 인디애나 주립대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물론 주립대이긴 하나 학교의 정식 명칭은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즉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이다.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같은 인디애나 주 안에 Indiana State University 즉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가 있기 때문. 인디애나 주립대학교는 인디애나 주의 플래그십 대학교들인 인디애나 대학교나 퍼��� 대학교보다는 학문적으로 많이 떨어지는 곳이다. 때문에 가끔 잘 모르는 한국인들이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와 시카모어에 있는 인디애나 주립대학교를 헷갈려하면 블루밍턴 학생들로서는 억울하다. 1. 소개 2. 역사 3. 특징 4. 평가 5. 주요 전공 5.1. 음악 대학 / Jacobs School of Music 5.2. 공공행정 대학 /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SPEA) 5.3. 경영 대학 / Kelley School of Business 5.4. 기타 학과 6. 유명 동문 6.1. 음악대학 (Jacobs School of Music) 동문 목록 6.2. 경영대학 (Kelley School of Business) 동문 목록 6.3. 기타 동문 7. 스포츠 7.1. 농구 7.2. 풋볼 7.3. 야구 7.4. 기타 1. 소개[편집]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정식 영문명칭은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으로 미국 인디애나주 블루밍턴에 위치한 공립 대학교이다. "Indiana University"는 주 내 7개 캠퍼스를 가진 거대한 대학 네트워크를 통칭하기도 하지만 보통 인디애나 대학교라 함은 블루밍턴에 위치한 본교를 지칭한다. 줄여서 IU라고 한다. 가끔 인디애나 대학교의 타 캠퍼스들과 차별화하고 블루밍턴 캠퍼스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IUB라고 하기도 한다. 2. 역사[편집] 1820년 인디애나 주정부가 전문대로 설립한 학교로 1838년 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인디애나폴리스에 위치한 IUPUI (Indiana University-Purdue University Indianapolis)를 비롯하여 총 7개의 캠퍼스를 가진 인디애나 대학교 (Indiana University)의 본교로 자리하고 있다. 2020년에 무려 개교 200년을 맞이하는 미국에서도 역사가 매우 깊은 학교 중 하나이다. 3. 특징[편집] 인디애나주의 균형발전이라는 미명하에 본교임에도 불구하고 공대와 의대가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문계열 및 자연과학계열을 집중 양성한 결과 2018년 현재 경영 음악 공공행정 언론 환경 법학 문헌정보 교육학 전반에 걸친 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인디애나 대학의 공대와 의대 부재 및 주도 인디애나폴리스 주민의 고등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9년 퍼듀 대학교와의 공동출자로 인디애나폴리스에 통합 캠퍼스인 IUPUI를 세우면서 그 캠퍼스에 공대와 의대를 배치했다. 일반적으로 이과전공희망 학생들은 라이벌 대학인 퍼듀 대학교로 진학한다. 인디애나 대학교는 경영대인 Kelley School of Business 음대 Jacobs School of Music 공공행정대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경제학과그리고 법대 Maurer Law School이 유명하다. 특히 경영대는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과와 글로벌경제학과의 협약으로 성균관대 우수학생 일부에게 인디애나 대학교 경영학 혹은 경제학 학사학위를 동시에 이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성균관대 학비가 아닌 인디애나 학비 내고 다니는건 안자랑. [인디애나대 외에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영국 버밍엄 대학교 등으로 가는 것이 가능하다] 2017년 기준으로 총 재학생수는 43710명이며 크고 아름답기로 유명한 캠퍼스는 총 면적 1937 에이커 (약 7.8 제곱킬로미터)의 옥수수밭[5] 암반위에 자리잡고 있다. 그렇다고 블루밍턴에 비탈길이 많지는 않다. 인디애나의 진짜 언덕배기는 블루밍턴에 더 내려가서 시골로 가야된다. 캠퍼스가 매우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학교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샘플게이트를 지나면 나오는 경관은 처음 보는 사람들은 놀랄 수준. 현대적인 느낌보다는 고풍스러운 멋이 있는 캠퍼스다. 아무래도 워낙 큰 Big 10 소속의 대학이고 학생수만 해도 50000명에 육박하다 보니 다양한 곳에서 온 다양한 학생들이 있어 차별은 적지만 백인이 다수이다. 범죄율은 학생수에 비해 낮은편이지만 간간히 새벽시간 핸드폰에 울려오는 Crime Alert는 상당히 무섭다. 동양계 학생들도 캘리포니아 만큼은 아니어도 의외로 이 미드웨스트 주임에도 적지 않은 편이다. 역시나 중국인들이 많은데 미국 대부분의 캠퍼스가 그러하듯 최근 10년 사이에 중국인들의 숫자가 급격하게 불어나는 중. 덕분에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춘 중국 식당들의 숫자도 늘어나고 있고 (미국식 중국집이 아닌) 돈 많은 부자들이 상당수인지라 동네 역시 급격하게 확장되면서 고급 아파트들이 만들어지고 렌트비가 올라가는 중이다 (...) 대학교도 현재 새로운 건물들을 많이 짓고 확장 중인지라 일각에선 중국인들의 돈으로 재정 충당을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 (...) 조그마한 동네에 중국 학생들이 타고다니는 차들은 가히 모터쇼를 연상케한다. 이외에도 한국인 인도인들의 숫자도 꽤나 많은 편으로 여튼 인종차별에 대한 걱정은 별로 없는 다인종이 잘 어울리는 캠퍼스라고 볼 수 있다. 날씨는 거의 한국과 비슷한데 좀 더 사계절이 뚜렷하다. 여름의 경우 한국만큼 습하지는 않은 편. 블루밍턴 도시의 날씨는 매우 변화무쌍 하다. 사실 말이 좋아 변화무쌍이지 변덕이 매우 심한 날씨라 지난 주 까지는 따뜻하던 날씨가 바로 다음 주에는 눈 오는 날씨로 바뀌는(...) 매우 거지같은 신기한 기후의 도시이다. 사계절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추천할만 하다. 4. 평가[편집] 인디애나 대학교는 문과 특히 사회과학분야 중심으로 운영되는 대학으로 사회과학분야 주요 전공이라 할 수 있는 법 경영 경제 언론 행정 심리 등 전 분야에 걸쳐서 전미 30위 이내의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공대와 의대가 없는 학교 특성상 실제 사람들의 인식과 학교의 수준보다 낮은 순위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의 히토츠바시 대학이 사회과학분야에서는 도쿄대와 함께 12위를 다투지만 대학 전체 랭킹은 뒤처지는 것과 비슷한 사례이다. 한국과 비교를 하자면 의대가 없고 공대 규모가 작은 서강대가 랭킹에서 비슷한 다른 대학들보다 순위가 낮게 평가되는 것과도 비슷하다. 이에 따라 퍼블릭 아이비 리그에 중부 주립 대학들 중 하나로 당당히 등재되어 있다. 미시건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등도 함께 등재되어 있는 중부의 주립대학들. 즉 문과에 있어서는 꽤 강한 주립대학 중 하나. 위스콘신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퍼듀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 등과 함께 중서부의 명문 상위권 주립대학으로 평가받는다. U.S. News 등의 랭킹에 계속해서 실질적 인식보다 낮은 순위로 랭크되어 여러 사람들의 불만을 사고있다. 심지어 U.S. News 조차도 이를 인정했다(..). U.S. News가 올린 'Which Ranked Universities Are Doing Better Than Their Academic Reputations?'라는 글을 보면 본인들이 매긴 순위와 Academic peer assessment rank 즉 실질적으로 사람들이 매기는 순위가 가장 많이 차이나는 대학교 명단을 올렸는데 인디애나 대학교는 U.S. News에서 매긴 순위보다 무려 40위 정도를 높게 평가받았다. 즉 학교들 순위매기는 사이트들에 의해 실제 인식보다 과소평가받는 대학교라는 것. 퍼블릭 아이비 리그에도 속해 있을 정도로 인정받는 명문 주립 대학이다. 아무래도 공대와 의대가 아예 없는 인문/사회계열 중심 학교이고 의대/공대에서 나오는 논문 등이 순위에 영향을 미치다 보니 그렇게 되는 듯.[6] 피스크 대학 안내서(The Fiske Guide to Colleges)는 인디애나 대학교를 'Best Buy' 대학교 명단에 올렸다. 투자한 돈에 비해 가장 실속있는 대학생활을 보낼수 있는 학교라는 뜻. 최근 몇년사이 순위 하락에 학교 운영진들이 뭔가를 느꼈는지 학교에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는 중이다. School of Global and International Studies Computer Science & Informatics 공공행정학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등등의 학과들의 건물을 새로 지을 정도로 투자를 거듭하고 있고 또한 전통적으로 인디애나 대학교에 존재하지 않았던 공과대학(Computer Science)을 최근에 신설하면서 도약을 준비중이다. 그간 학교 재정이 많이 좋아졌고 이를 이용해 학교를 여러 방면으로 성장시키고 있다. 5. 주요 전공[편집] 5.1. 음악 대학 / Jacobs School of Music[편집] 음악대학인 Jacobs School of Music은 전국 2위라는 매우 높은 순위를 가지고 있다. 학교 규모도 University of North Texas에 이어 전미 2위이다. 줄리아드 대학 바로 밑 혹은 동급으로 취급되는 음악 명문 대학이다. 치열한 경쟁 끝에 매우 뛰어난 학생들이 모였기 때문에 연습 시간이 장난아니게 길다(...) 제이콥스 학생들 만나려면 스케줄 잡기가 힘들다 (...) 5.2. 공공행정 대학 /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SPEA)[편집] 행정대학인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줄여서 SPEA는 하버드 대학교의 케네디 스쿨과 시라큐스 대학과 더불어 전국 2위로 평가되다가 2017/2018년에는 드디어 전미 1위의 자리에 올랐다. 사실 한국유학생들에게는 별로 매력없는 학과인지라 [7]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미국에서는 행정학으로 크게 인정받는 학교이다. 길게 말할것 없이 순위가 하버드 대학교 제치고 1위인데 뭐... 다만 우선 행정학 정치학 자체가 별로 인기없는 문과 학과인데다 학생수도 소규모로 운영하는 학과이고 기본적으로 SPEA라는 행정학이라는 학과 자체가 대학원 과정을 중시하는 지라 1위로 랭크된 것도 학부가 아니라 대학원이다. 애초에 Public Affairs 행정학은 학부 랭킹 자체가 없다. 오직 대학원 랭킹 뿐. 물론 그렇기에 따지고 보면 행정학 학부 역시도 인디애나 대학교 SPEA가 전미 1위라고 볼수 있지만 어쨌든 학과의 비교적 낮은 인기도 때문에 전미 1위임에도 불구하고 Jacobs School of Music 이나 Kelley School of Business 보다는 조금 아래로 평가된다.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가장 신경쓰는 학과 세개 중 하나. 랭킹이 높은 학과이니만큼 합격하기에도 매우 어렵다. 2017년 가을 SPEA 신입생들의 평균 GPA가 4점 만점에 3.87이었다고. 인디애나에 거주하며 변호사나 법/행정 관련 직업을 꿈꾸는 고등학생들에게는 최고의 학교 중 하나이다. 2018년 가을에 공공행정학 수업들에 변화가 생긴다! 그간 SPEA의 기본 수업들 중 하나였던 V160이 2018년 봄 학기를 마지막으로 사라지고 V182로 바뀌는 등 여러가지 수정이 가해졌다. 학부 학생들의 취업이 더욱 수월해지게 돕는 수정이라고. 5.3. 경영 대학 / Kelley School of Business[편집] 켈리 경영대학 Kelley School of Business 역시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16년 블룸버그 비즈니스 위크 2017년 US World and News Report 2017년 방송사 CNBC가 발간한 '미국 경영대학 학부 과정 순위' 에서 각각 4위 11위 6위에 랭크되었다. [8] 또한 켈리 경영대학 내에서는 금융 회계 마케팅 매니지먼트 등 전반에 걸쳐 미국 10위권 이내로 랭크되어 있다. 많은 기업들이 주목하는 학과이며 졸업생들 평균 초봉 또한 주립대 치고 상당한 수준이다. (평균 $61000 2018년 기준 한화 약 6800만원)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가장 많이 홍보하고 또 신경쓰는 학과. Undecided 메이저로 들어온 많은 학생들이 한번쯤은 들어가보려고 도전해보는 학과이기도 하다. 악명 높은 K201 E201 W131 A100 M118 등의 수업들을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해야 하기에 난이도가 매우 높다. 켈리 비즈니스 스쿨 건물과 SPEA 건물이 나란히 붙어있는데 한 건물이 뭘 새로 지으면 옆 건물에서도 마치 따라하듯 바로 뭘 새로 짓는다(...)켈리와 SPEA는 서로 도서관을 함께 운영할 정도로 교류가 많은 학과들이다. 5.4. 기타 학과[편집] 저널리즘 스쿨(School of Journalism) 또한 다수의 언론사에서 항상 10위 내로 평가되었다. 학교 내의 신문사인 Indiana Daily Student의 경우 매년 The Hearst Journalism Awards Program과 같은 미국 내 대학생 저널리즘 대회에서 다년 간에 걸쳐 수상을 하는 등 심층 취재 및 보도에 있어서 뛰어난 인재 육성에 특히 두각을 드러냈었다. 다만 2016년 이후로 독립된 학과로서의 저널리즘 스쿨은 사라지고 여타 과목을 통합하고 방송 멀티미디어 위주의 미디어 스쿨 (Media School)로 개편되었다. 이로 인해 미국에서 활약하고 있는 많은 동문 기자들 및 교수 저널리즘 학생들의 반발이 있기도 했었다. 통합 이후에도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2018년 기준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y 세계 6위에 랭크되는 등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설적인 2차세계대전 당시 종군 기자였던 어니 파일 (Ernie Pyle)이 이 학교 출신이다. 학교 정문인 샘플 게이트 쪽에는 현재 그의 동상이 세워져 그와 함께 마주보고 앉아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의 이름을 따서 저널리즘 스쿨의 건물도 어니 파일 홀(Ernie Pyle Hall)이라고 불리었으나 현재는 샘플 게이트 쪽의 프랭클린 홀(Franklin Hall)을 개조 확장하여 미디어 스쿨 (Media School)의 건물로 쓰고 있고 어니 파일 홀은 교실로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Computer Science도 주목받는 좋은 학과중 하나. 졸업생들의 평균 초봉이 상당히 높은 학과다. 이외에도 사회과학 분야로는 명문대로 평가받는다. 의대가 블루밍턴이 아닌 인디애나폴리스에 있어서 그렇지. 뱀발로 따라오는 랭킹으로 블루밍턴 캠퍼스는 가장 아름다운 캠퍼스 랭킹에 심심치 않게 등재되며 가장 잘 노는 학교(Top Party Schools) 랭킹에도 순위권 내에 등재된다. 매년 봄 인디애나에서 개최되는 자동차 레이싱 대회인 Indy 500을 자전거 대회로 바꾼 Little 500 경기를 개최한다. 이 기간은 Little 5 Week라고 불리우며 막상 경기보다는 일주일 내내 술 마시고 파티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경기가 시작되기 몇 주전부터 이미 프래터니티 소로리티에서 술을 박스째 트럭에 싣고 파티 준비를 하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으며 경기 기간 중 동네 전체가 파티에 미쳐 있는 걸 볼 수 있다. 막상 경기는 지루해서 (여자는 100바퀴 남자는 200바퀴) 관심 없는 사람들이 대다수 (...) 6. 유명 동문[편집] 유명 동문은 주로 세계구급인 제이콥스음악대학과 켈리경영대학 출신들로 이루어져 있다. 6.1. 음악대학 (Jacobs School of Music) 동문 목록[편집] 조슈아 벨 - 바이올리니스트 부커 티 존스 - 작곡가/프로듀서 크리스 보티 - 재즈 트럼페터 노아 벤딕스-벨글리 - 바이올리니스트.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제1악장. 6.2. 경영대학 (Kelley School of Business) 동문 목록[편집] 제프 페티그 - 현 월풀 CEO 존 챔버스 - 현 시스코 시스템스 CEO 지미 웨일스 - 위키피디아 창립자 겸 위키미디어 회장 필립 프랜시스 - 현 펫스마트 CEO 데이빗 사이먼 - 현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 CEO 마이클 시만칙 - 전 필립모리스 회장 겸 CEO 로버트 제임스 월러 - 1992년 출판된 베스트셀러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의 작가. 1968년 경영학 박사학위 이수 제이 쇼튼스타인 - DSW 아메리칸이글 CEO 마크 큐번 - 댈러스 매버릭스 구단주 및 벤처 투자가 존 비토브 - 토론토 랩터스 창립자 및 구단주 사업가 코디 젤러 - 샬럿 호네츠 소속 농구선수 2011-12 빅텐 콘퍼런스 Freshman of the Year 수상 박병호(교수)-KAIST 교수 강지영(아나운서) - JTBC 아나운서 김영진 - 한독제약 회장 정용진 - 신세계(기업) 부회장. 브라운 대학교로 편입 윤장호 - 아프가니스탄 파병 다산부대 통역병. 바그람 기지 자살폭탄테러로 전사. 이후에 하사계급 추서. 주원석 - 벼룩시장 알바천국 다방 등으로 유명한 미디어윌 그룹 창립자 및 현 회장. 1987년 경영대학원 졸업 예종석 - 예춘호 전 국회의원의 장남. 같은 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경영학 석사 경영학 박사를 땄다. 마케팅 전공. 한양대 교수. 아름다운 재단 이사장. 음식평론가. 6.3. 기타 동문[편집] 김덕 - 전 국가안전기획부 부장. 제이미 모이어 - 전 메이저리그 산신령투수. 일반교양 학사과정 이수.[9] 마이클 히긴스 - 제 9대 아일랜드 대통령 로버트 게이츠 - 전 미국 국방장관 존 톰슨 준장 - 미 육군 병기창 간부. 톰슨 기관단총의 아버지 플로이드 탤버트 상사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제101공수사단 제506연대 제2대대 Easy 중대 소속 부사관. 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등장. 제임스 왓슨 - 생물학자 및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DNA 2중 나선모델 최초 규명 제이미 하이네만 - TV쇼 Mythbusters MC 데이비드 조던 - 스탠포드 대학교 초대 학장 알프레드 킨제이 - 배우 장혁이 3번 정독한킨제이 보고서의 저자 폴 오닐 - 조지 W. 부시 행정부 당시 재무장관 빅터 올라디포 - 인디애나 페이서스 소속 현역 NBA 농구선수 2012-2013 빅텐 올해의 선수 등. 수잔 콜린스 - 베스트셀러이자 제니퍼 로렌스가 주연인 동명의 3부작 영화로도 유명한 소설 헝거 게임 작가 댄 퀘일 - 미국의 44대 부통령. 조지 H. W. 부시의 러닝메이트였으며 로스쿨에서 법무박사 (J.D.)를 이수하였다. 마이크 펜스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공화당 부통령 당선자 (도널드 트럼프의 러닝메이트). IUPUI의 로스쿨에서 법무박사를 이수하였다. 릴리 킹 - 미국 올림픽 여자 수영 국가대표. 2016년 리우 올림픽 여자 100M 평영부문 금메달리스트 마크 스피츠 - 전 미국 올림픽 남자 수영 국가대표. 1972 뮌헨 올림픽에서 자그마치 금메달 7개를 획득했고 이 기록은 마이클 펠프스가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8개를 획득하면서 깨지게 되었다. 7. 스포츠[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px-Indiana_Hoosiers_Logo.svg.png 인디애나 후지어스 Indiana Hoosiers 7.1. 농구[편집] 파일:external/rushthecourt.net/assembly-hall-indiana.jpg 홈 구장인 사이먼 스콧 어셈블리 홀(Simon Skjodt Assembly Hall).[10] 파일:external/graphics.fansonly.com/branch.gif 20대 감독 브랜치 매크라켄 (19381943/19461965 재임. 1970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2회 우승 (1940 53) 파일:external/http://bit.ly/2EMrt4o 본교를 빛낸 전설의 명장 밥 나이트(Bob Knight) (19712000 재임.). - NCAA 토너먼트 3회 우승 (1976 81 87) NIT 우승 (1979) NCIT 우승 (1974) 파일:2kmucuO.jpg 24대 감독 마이크 데이비스 (20002006 재임. 현재 텍사스 서던 대학교 감독으로 재직중.) - NCAA 토너먼트 준우승 (2002) 파일:wYn1vXc.jpg 26대 감독 톰 크린 (2008 2017 재임. 현재 조지아 대학교 감독으로 재직.) - NCAA 토너먼트 16강 진출 3회 (2012 13 16) NCAA의 리버풀 혹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좀 더 괜찮은 리버풀이다 우승횟수많지만 우승못한지 좀 됐다 빅텐 우승(리그)는 최근에도 있지만 전국대회는 30년째 무관 미식축구는 더럽게 못 하기로 유명하지만 농구는 전국구 수준으로 잘 한다. NCAA Division I 남자농구 챔피언십 5회 우승에 빛나는 명문으로 NFL팀 인디애나폴리스 콜츠나 NBA팀 인디애나 페이서스보다도 주민들의 충성도가 높은 실질적인 인디애나 최고 인기 스포츠팀이다. (다른 한팀은 사우스벤드에 있는 노트르담 대학교 남자 풋볼팀이다.). 하지만 주가 워낙 돈이 없어서 특급 스타플레이어들이 오질 않다보니 대학무대에서 통하는 전술을 갈고 닦은 전형적인 NCAA 농구팀으로 졸업생중 60년대 스타인 월트 벨라미조지 맥기니스 배드보이스를 이끈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아이재아 토마스 외엔 NBA에서 명성을 남긴 선수들이 거의 없다. 또한 스티브 알포드 (現 UCLA 감독)이 이끌던 1987년 마지막 우승 이후 2002년 준우승이 최고 성적으로 30년 넘게 무관 상태.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그 전설적이었던 래리 버드가 이 학교를 잠깐 다녔다는 것이다. 그의 재능을 발견한 위에 언급된 바비 나이트는 그를 스카웃하였으며 버드는 인디애나 대학교를 등록하고 다니기 시작했는데 자신의 고향이 프렌치 릭(규모가 3천명이다. 실제로 인디애나 시골에 있는 프렌치 릭은 래리 버드의 고향으로 매우 유명해 지금도 그의 생가를 가면 그가 갖고 놀던 농구 골대 등이 전시되어있다. 그 곳에 있는 리조트의 매우 유명한 돔 건축물이나 주변에 있는 아미쉬 마을 등으로 한 번 기회가 되면 찾아 갈만한 곳이다.) 에 규모가 너무 컸던 대학 (삼만명의 학생이 등록되어 있었다)은 그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었고 불과 24일만에 그만두었다. 위에 언급된 치고 박고 싸운 아이재아 토마스와 선후배가 되었을수도... 어쨋든 다녔으니까 선배는 선배잖아! 현대의 스타 중심 원앤던 시스템이 아닌 팀플레이 전술을 고수하다고 삽질하다가 빅터 올라디포 코디 젤러 등을 앞세워 반짝했던 2012년 2013년의 빅텐 우승 등전성기를 뒤로하고 그저그런 성적을 올리고 있다. 계속되는 부진에 감독 탐 크린은 2017년 3월 16일 전격 해임되었다. 이후 빌리 도노번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감독 스티브 알포드 UCLA 감독 (인디애나의 1986년 우승 주역이다.) 등이 거론된 자리에 아치 밀러가 선임되었다. 새로운 감독과 함께 힘차게 시작한 2017-18시즌 March Madness조차 탈락했다(...) 홈에서 퍼듀 대학교에게 패배했을때의 그 우울함이란(...) 주요 동문은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아이재아 토마스 인디애나 페이서스의 빅터 올라디포 샬럿 호네츠의 코디 젤러(켈리 경영대 출신) 휴스턴 로켓츠의 에릭 고든 댈러스 매버릭스의 슈퍼루키 요기 페렐 등이 있다. 비슷한 전국구 명문인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교 듀크 대학교 켄터키 대학교 등에 비교하면 마이클 조던이나 카이리 어빙 앤써니 데이비스 같은 NBA의 슈퍼스타가 적다는 느낌은 인디애나의 재정문제로 스타플레이어가 적었고 밥 나이트의 전술 탓이 있다. 탐 크린 부임 이후 인디애나 고교농구 Mr. Indiana Basketball이 몇몇 오는 등 리크루팅이 늘면서 스타 유망주들도 점점 오고 있다 지난해 2016-17 시즌을 앞두고 어셈블리 홀의 리노베이션이 있었으며 이름이 최대투자자의 이름을 따 사이먼 스콧 어셈블리 홀(Simon Skjodt Assembly Hall)이 되었다 7.2. 풋볼[편집] 파일:external/grfx.cstv.com/hoosier-fb-stadium-750.jpg 홈 구장인 메모리얼 스타디움. 파일:external/img.spokeo.com/john_pont_1968_10_01.jpg 21대 감독인 존 폰트 (19651972 재임. 2008년 작고.) - 로즈 볼 진출 (1967). 같이 있는 16번 선수는 팀의 주전 쿼터백이자 학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해리 곤조(Harry Gonso)이다. 파일:external/cdn1.sbnation.com/bilde.jpg 24대 감독인 빌 말로리 (19841996 재임. 2018년 작고.) - 피치 볼 2회 진출 (1987 90) 이 팀은 메이저 볼 게임 진출(1967-68 시즌에 로즈 볼 진출)이 딱 한 번밖에 없을 정도로 약체이며 노스웨스턴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Big-10의 밑바닥을 책임지고 있는 팀이다. IU학생들의 농구사랑을 부추겨준다 요즘은 농구도 못해서... 하지만 최근 들어 감독을 바꿔 리빌딩함으로써 5-5 정도의 성적을 내 핀스트라이프 볼 등 메이저급은 아니어도 중견급 볼 게임 진출을 하고 있다. 그래도 캔자스시티 치프스의 주전 쿼터백 트렌트 그린 등의 NFL 선수들을 적지 않게 배출했다. 7.3. 야구[편집] 파일:external/baseballcoachesclub.com/Morgan-Kneel.jpg 23대 감독 밥 모건 (19842005 재임. 현재 생존.) - NCAA 야구 토너먼트 진출 (1996) 파일:external/0929f23552dfb8cf7f791946462885956e900c874a21809ed916e9d95b0a62d1.jpg 24대 감독 트레이시 스미스 (20062014 재임. 현재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의 감독으로 재직중.) - 칼리지 월드시리즈 진출 (2013) 야구에서는 신시내티 레즈의 레전드 테드 클루즈제프스키 1990년대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주전 2루수였던 미키 모란디니가 대표적인 동문이다. 7.4. 기타[편집] 스포츠 전반에 걸쳐 동 주에 위치한 퍼듀 대학교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Puck Furdue Boiler Down [1] 빛과 진리 [2] 마스코트 라기보다 인디애나 주민들을 부르는 상징적인 닉네임. 인디애나주의 플래그십 대학교인 인디애나 대학교이기에 학교의 마스코트이자 닉네임 역시 Hoosiers 이다. [3] 2017년에 새로운 건물이 켈리 경영대 바로 옆에 세워졌다. 본 사진은 오래된 건물 [4] 인디애나 대학교를 줄여서 IU라고 흔히 부른다. 한국인들에게는 가수 아이유와 혼동을 일으킬수도 있다(...) [5] 아무래도 인디애나 주 자체가 옥수수로 유명하지는 않지만 미드웨스트 주라 옥수수밭 드립이 잘 먹히는데 실상 옥수수밭 드립에 어울리는건 북부 인디애나의 퍼듀이지 남부 산악 지방에 위치한 아이유가 아니다. 아이유에 재학중인 학생이라면 알겠지만 산 비탈에 대학을 건설한건지 경사가 쩔어주는 비탈길도 있는 환경에 옥수수를 심을래야 심을수도 없다.물론 블루밍턴 주변엔 없지는 않지만 [6] 엄밀히 말하면 의대가 있는 학교이다. 다만 시스템이 독특해서 랭킹 신정시에는 IUB에 포함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교는 인디애나폴리스의 IUPUI에 있지만 특이하게 이 학교는 본과 12학년 과정을 IUPUI를 포함한 인대애나주 내의 다른 8 캠퍼스에서 끝낼 수 있기때문이다. 그러나 의대 이름은 엄연히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USM) 즉 인디애나 대학교 시스템 산하의 의대이다. [7] 미국에서 행정학 정치학을 전공해서 한국에서 써먹기는 쉽지않다. 제도적으로 완전히 다르기 때문. 그래도 자매결연을 맺은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과정을 밟는 학생들이 교환학생으로는 자주 온다. [8] 각 랭킹 참조: http://bit.ly/2lkMXrN https://cnb.cx/2iYDLy4 http://bit.ly/2EQGAdE [9] 그런데 대학생활과 체육활동은 세인트 조지프 대학교에서 했다. [10] 2016년까지는 어셈블리 홀(Assembly Hall)로 불림. http://bit.ly/2ENN4JQ
0 note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조현열 특강-김시형
0 notes
suprememan-kr-blog · 8 year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HISTORY HIM (Spade ver.) 시형 SCAN
0 notes
kien97-blog1 · 7 year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생일 축하합니다 시형형 #HappySihyoungDay chúc mừng sinh nhật tuổi 26 Sihyoung hyung #김시형 #ForeverWithHISTORY 🎂🎂🎉🎉
0 notes
Link
아이유 고화질 움짤 모음
아이유 고퀄 고화질 HD 움짤 GIF 모음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다양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M은 카카오의 자회사로 음악·음반 유통, 음악 콘텐츠 투자·제작,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을 하는 종합음악기업이다. 자회사로 가수 레이블을 굉장히 많��� 두고 있다. 현재는 아이유가 소속됐던 페이브엔터테인먼트[6]를 비롯하여 크래커엔터테인먼트, 스타쉽엔터테인먼트,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인디레이블 문화인이 있다.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다시 배우 매니지먼트사인 킹콩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으니 그것까지 합한다면 총 6개의 레이블이 있는 셈이다. 2018년 9월 1일자로 기존의 카카오M은 모기업인 카카오에 흡수합병되서 법인이 소멸[7]되었고, 대신 동년 8월 18일 자본금 9억으로 (주)이엔컴퍼니를 신규 설립 후 카카오M이 흡수협병된 후 2일후인 9월 3일 이엔컴퍼니를 카카오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냥 바꿔치기 한거다. 카카오는 9월 11일자 공시로 카카오M을 흡수합병 된 후 카카오로 들어온 사업중 일부인 5127억7400만원 어치의 자산을 가진 사업부분을 물적분할해서 카카오M에 유상현물출자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치로 기존 카카오M의 디지털 영상, 음악 제작 콘텐츠 사업과 연예 매니징 사업이 이관될 예정으로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동일한 사명을 가지지만 별개의 역사를 가진 카카오M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동년 11월 1일자로 스타쉽, 플랜에이 등의 주식이 카카오에서 카카오M(舊 이엔컴퍼니)로 이관되었다고 11월 6일자로 공시했다. 2018년 9월 18일 현재 최대주주는 (주)카카오이며 보유지분은 100%이다.[8] 2. 연혁[편집] 카카오M의 전신은 1978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에 세워진 서울음반이다. 서울음반은 시사영어사(현 YBM)의 창업자인 민영빈 회장이 시사영어사의 자회사로 세운 기업이었다. 설립 당시 주요 사업은 어학용 테이프를 만드는 일이었다. 1982년 서울음반은 주식회사화하고 이름을 (주)서울음반으로 변경했다. 1984년 음반 을 만들었고 클래식과 국악 관련 음반도 상당수 제작했다. 대중가요에서도 상당히 많은 명반을 발매했으며, 대중음악 100대 명반을 선정하면 항상 최상위권에 랭크되는 유재하의 사랑하기 때문에를 발매하기도 했었다. 서울음반은 1999년에 벤처기업으로 등록했다. 또 이 해부터 음반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2000년 회사 이름을 (주)YBM서울음반으로 바꿨다. 같은 해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등록했다. 2003년에는 국제음반을 합병했다. 2005년 SK텔레콤이 지분 60%를 사들여 최대 주주가 되면서 YBM서울음반은 SK그룹 계열사로 편입됐다. 이 해에 회사 이름을 다시 (주)서울음반으로 바꿨다가 2008년에 (주)로엔엔터테인먼트로 변경해 2018년 3월까지 사용했다. 2009년 로엔엔터테인먼트는 SK텔레콤이 운영하고 있던 온라인 음악 판매 서비스인 멜론(Melon)을 넘겨받아 운영을 시작했다. 그리고 멜론은 SK텔레콤의 막대한 힘으로 국내 최대의 음악사이트가 되었다. 2013년 7월 SK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에 따라 지분을 어떤식으로든 정리해야 했던 로엔엔터를 결국 사모펀드인 스타 인베스트 홀딩스 리미티드에 2659억원에 매각하기로 계약이 체결되었다. 2013년 9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및 제작사업을 멀티 레이블(음반제작사) 체제로 전환하고, ‘로엔트리 레이블’과 ‘콜라보따리 레이블’을 설립해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와 제작사업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0월 16일자로 회사의 최대주주가 SK에서 중국 사모 펀드인 스타인베스트홀딩스로 변경되었다. 2013년 12월에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150억 원에 인수하였다.[10] 2015년 5월 스타쉽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배우전문기획사인 킹콩엔터테인먼트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 2015년 11월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126억원에 취득했다.[11] 2016년 1월 (주)카카오가 기존 대주주인 스타인베스트먼트와 SK플래닛이 지닌 지분 76.4%를 1조 8,743억원에 인수한다고 발표되었다. 최대주주 변경일은 동년 3월 16일로 발표되었다. 2,659억원에 인수해서 1조 8,743억원에 매각하는 사모펀드의 능력을 보여줬다. SK텔레콤은 이후 로엔엔터의 매각을 후회하고 결국 아이리버를 통해 다시 음원음반 유통사업에 재진출하게 되었다. 2016년 3월 (주)카카오로 최대 주주가 변경되면서 카카오 계열의 자회사로 편입이 완료되었다. 또한, 자회사인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가 3월 2일 자로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6년 5월에는 로엔트리와 콜라보따리를 로엔의 부서에서 자회사로 분리시켰고 사명 또한 다른 연예 기획사와 비슷하게 페이브엔터테인먼트, 크래커엔터테인먼트로 바꾸었다. 아무래도 로엔이 앞서 여러 연예 기획사를 인수하면서, 로엔의 기존 레이블인 로엔트리와 콜라보따리의 구조를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12] 2016년 6월에는 인디 레이블인 문화인을 설립했다. 2017년 1월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가 킹콩엔터테인먼트를 1일자로 흡수합병했다. 2017년 1월월에는 모바일 영상 제작소 크리스피 스튜디오 설립했다, 2017년 5월에는 드라마 제작사 메가몬스터[13]을 설립했다. 2017년 12월에는 회사명을 카카오엠(kakao M)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 이후 2018년 3월 23일 주주총회를 거쳐 사명을 변경했다. 2018년 1월 자회사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가 김소현의 1인 기획사인 E&T스토리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다.(지분 60%) 2018년 5월 자회사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의 2대 주주였던 최진호 前 대표의 지분 30%를 카카오M이 35억 1,300만 원에 매수하여 완전 종속자회사로 변경했다. 최진호 전 대표가 1월 31일 공동 대표에서 해임되고 이후 지분을 매각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빅톤을 말아먹은 게 크지 않았냐는 추측이 있다. 솔직히 에이핑크 띄운 것은 큐브 창업자인 홍승성의 능력이지, 최진호의 능력이 아니었기에 경영 능력에서는 팬들의 의심을 받기는 했다. 2018년 5월 17일 사명 변경 후 얼마안가 모회사인 (주)카카오에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존속회사는 카카오, 소멸회사는 카카오M. 합병 기일은 2018년 9월 1일 자로 하며, 합병 신주는 9월 18일자로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할 예정이다. 합병결정의 이유로는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업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양사 간 시너지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덧붙여서 합병 이후에는 카카오엠의 음악 및 영상 사업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하여 콘텐츠 제작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럴 경우 카카오M 산하의 기획사들도 카카오의 자회사로 들어갔다가 다시 분사된 회사로 넘어갈 게 확실해 보인다. 2018년 8월 18일 카카오가 자본금 9억 원으로 주식회사 이엔컴퍼니를 설립했다. 카카오M 합병 후 분리될 사업 부문을 이어받을 가교 기업이다. 예정대로 2018년 9월 1일 카카오M이 흡수합병되었다. 이로써 서울음반 → 로엔엔터테인먼트 → 카카오M으로 이어진 회사가 소멸되었다. 2018년 9월 3일 전달에 신규 법인으로 설립된 이엔컴퍼니를 카카오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8년 9월 11일 카카오는 공시를 통해 현물 출자를 통해 음악 및 영상 컨텐츠를 전문적으로 영위하기 위해서 카카오M에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법원의 인가가 필요하기에 시기는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 2018년 11월 1일자로 카카오가 가진 스타쉽, 플랜에이, 페이브 등의 엔터사와 기타 현물자산을 넘겨받았다. 결국 로엔이 가졌던 멜론만 빼고 다시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카카오M으로 다시 넘어온 셈이다. 3. 사업[편집] 3.1. 1theK[편집] 3.2. 산하 레이블[편집] 파일:kakaoM_white.png 산하 레이블 파일:Fave Entertainment_02.png 파일:creker.png 파일:스타쉽엔터테인먼트제거.png 파일:external/www.planaent.co.kr/newlogo.png 파일:문화인영문제거.png 3.2.1. 페이브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FAVE_LOGO_300x80_2017.png 지아 송경일 나도균 김시형 김재호 장이정 페이브걸즈 3.2.2. 크래커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크래커로고로고.png 더보이즈 (THE BOYZ) 3.2.3. 스타쉽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Starship_Entertainment.png [ 열기 / 닫기 ] 3.2.4.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편집] 파일:external/www.planaent.co.kr/newlogo.png [ 열기 / 닫기 ] 3.2.5. 문화인[편집] 파일:문화인.png [ 열기 / 닫기 ] 4. 트리비아[편집] 두산의 비꼬는 응원가인 해냈다 해냈어의 원곡을 2005년에 여기서 만들었다. 본사 안에 국악사업부가 있다. 이는 서울음반 시절의 유산으로 2010년 KBS 국악대상에서 출판 및 미디어상을 받았다. 핀테크의 일종인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엄 중 하나인 카카오 컨소시엄에 참가하고 있다.#기사링크 2011년에 우면산 산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은 적이 있다. 당시 SNS에 이 회사의 간판이 흙에 쓸려간 사진이 돌면서 아이유를 비롯한 소속 연예인의 신변을 걱정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었다. 아이유는 당시 사옥 내에 있지도 않았고 숙소가 이 근처도 아니었기에 무사했으며, 당시 사옥 이전 작업이 진행 중이라 우면산 인근 구 사옥 건물에는 일부 시설과 인력만 있어 피해가 그렇게 크지는 않았다고. 하지만, 다른 소속 가수들이 쓰는 숙소가 인근에 있었는지 이후 일정 기간동안 심리적 충격을 이유로 활동을 하지 않았다. 현재는 사옥과 스튜디오, 숙소를 비롯한 모든 시설이 우면산 인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자회사 소속 연예인이 연습실을 공유하기도 한다. 피에스타[14], 멜로디데이[15], 더 보이즈[16], 몬스타엑스[17], 우주소녀[18] 등이 같은 연습실에서 찍은 안무영상을 업로드하기도 했다. 2017년에 새로 옮긴 신사옥에 자회사가 있고, 사옥 입구에 카페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스타힐빌딩 문서 참조 바람. 소속 가수나 유통하는 가수의 음원을 한국 애플뮤직에는 절대로 서비스하지 않으며 2018년 기준으로도 그 정책은 유지되고 있다. 산하에 여러 레이블들이 있지만, 아이유는 2018년 8월 이후 카카오M이 직접 관리하는 모양이다. 이 시기에 아이유가 페이브 소속 목록에서 빠졌다고 한다. 전술했듯이 아이유 전용 연습실도 있고. [1] 카카오에 흡수된 카카오M의 설립일은1978년 10월 1일로 舊 서울음반 창립일이였다. [2] 2018년 11월 1일 - 현재. 링크 [3] 2016년 4월 모기업인 카카오가 상호 출자 제한 기업 집단에 속하게 되어 자회사인 로엔 역시 대기업으로 바뀌게 되었지만 2016년 6월 정부가 대기업의 기준선을 10조 원 이상으로 변경하며 다시 중견기업으로 내려왔다가 준대기업집단을 창설하면서 준대기업으로 변경되었다. [4] 구글에 '로엔엔터테인먼트'라고 치면 한국 최대 음악사이트이자 계열사인 멜론이 건물을 쓰고 있고,' 로엔엔터테인먼트 본사'라고 치면 우리가 흔히 아는 5개의 레이블을 가지고 있는 연예 기획사가 맞다. 헷갈리지 말길. [5] 2018년 3월 - 현재 회사 슬로건. 링크1 링크2 [6] 자회사인 페이브와 계약을 맺던 이전과 달리 2018년 기준 직접계약은 지주사인 카카오M과 맺고 매니지먼트는 페이브에서 그대로 담당한다. [7] 카카오M 산하의 연예기획사들은 현물출자가 진행되는 몇개월동안은 카카오의 자회사로 지위가 바뀌게 되었다. [8] 18년 9월 1일자로 소멸된 카카오M의 최대주주도 (주)카카오였으며 보유 지분은 67.73%[9]였다. [9] http://finance.daum.net/item/company.daum?code=016170&type=11 [10] 창업주인 서현주 대표의 지분 중 70%를 인수했다. [11] 창업주인 최진호 대표의 지분 중 70%를 인수했다. [12] 로엔이 회사 구조를 정리하면서 논현동의 한 빌딩을 매입해서 리모델링한 다음, 산하 레이블을 모두 같은 빌딩으로 이주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로엔이 인수한 산하 레이블 간 협력을 도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건물 증축을 통해 확보된 층 가운데 한 층을 통째로 아이유에게 연습실로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며 외부노출을 줄이기위해 층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을 본 각주 내 링크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이 레이블들이 모두 모여 매월 로엔 프렌즈 오디션이라는 합동 오디션을 실시한다고 한다. [13] 구 (주)스토리플랜트. CJ ENM의 계열사인 스튜디오드래곤와 공동투자이다. [14] 페이프 소속 5인조 걸그룹 [15] 크레커 엔터테인먼트 소속 4인조 걸그룹 [16] 크레커 엔터테인먼트 소속 12인조 보이그룹 [17]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소속 7인조 보이그룹 [18]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소속 13인조 걸그룹 인디애나 대학교 공공행정학과 (SPEA) 건물 전경[3]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IU[4]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을 줄여서 IUB 라고 쓰기도 한다. 인디애나 대학교의 캠퍼스들이 워낙 많다보니 이런식으로 메인 캠퍼스를 구분한다. 인디애나 주립대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물론 주립대이긴 하나 학교의 정식 명칭은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즉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이다.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같은 인디애나 주 안에 Indiana State University, 즉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가 있기 때문. 인디애나 주립대학교는 인디애나 주의 플래그십 대학교들인 인디애나 대학교나 퍼듀 대학교보다는 학문적으로 많이 떨어지는 곳이다. 때문에 가끔 잘 모르는 한국인들이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와 시카모어에 있는 인디애나 주립대학교를 헷갈려하면 블루밍턴 학생들로서는 억울하다. 1. 소개 2. 역사 3. 특징 4. 평가 5. 주요 전공 5.1. 음악 대학 / Jacobs School of Music 5.2. 공공행정 대학 /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SPEA) 5.3. 경영 대학 / Kelley School of Business 5.4. 기타 학과 6. 유명 동문 6.1. 음악대학 (Jacobs School of Music) 동문 목록 6.2. 경영대학 (Kelley School of Business) 동문 목록 6.3. 기타 동문 7. 스포츠 7.1. 농구 7.2. 풋볼 7.3. 야구 7.4. 기타 1. 소개[편집]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정식 영문명칭은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으로 미국 인디애나주 블루밍턴에 위치한 공립 대학교이다. "Indiana University"는 주 내 7개 캠퍼스를 가진 거대한 대학 네트워크를 통칭하기도 하지만 보통 인디애나 대학교라 함은 블루밍턴에 위치한 본교를 지칭한다. 줄여서 IU라고 한다. 가끔 인디애나 대학교의 타 캠퍼스들과 차별화하고 블루밍턴 캠퍼스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IUB라고 하기도 한다. 2. 역사[편집] 1820년 인디애나 주정부가 전문대로 설립한 학교로, 1838년 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인디애나폴리스에 위치한 IUPUI (Indiana University-Purdue University Indianapolis)를 비롯��여 총 7개의 캠퍼스를 가진 인디애나 대학교 (Indiana University)의 본교로 자리하고 있다. 2020년에 무려 개교 200년을 맞이하는, 미국에서도 역사가 매우 깊은 학교 중 하나이다. 3. 특징[편집] 인디애나주의 균형발전이라는 미명하에 본교임에도 불구하고 공대와 의대가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인문계열 및 자연과학계열을 집중 양성한 결과 2018년 현재 경영, 음악, 공공행정, 언론, 환경, 법학, 문헌정보, 교육학 전반에 걸친 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인디애나 대학의 공대와 의대 부재 및 주도 인디애나폴리스 주민의 고등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69년 퍼듀 대학교와의 공동출자로 인디애나폴리스에 통합 캠퍼스인 IUPUI를 세우면서 그 캠퍼스에 공대와 의대를 배치했다. 일반적으로 이과전공희망 학생들은 라이벌 대학인 퍼듀 대학교로 진학한다. 인디애나 대학교는 경영대인 Kelley School of Business, 음대 Jacobs School of Music, 공공행정대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경제학과,그리고 법대 Maurer Law School이 유명하다. 특히 경영대는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과와 글로벌경제학과의 협약으로 성균관대 우수학생 일부에게 인디애나 대학교 경영학 혹은 경제학 학사학위를 동시에 이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성균관대 학비가 아닌 인디애나 학비 내고 다니는건 안자랑. [인디애나대 외에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영국 버밍엄 대학교 등으로 가는 것이 가능하다] 2017년 기준으로 총 재학생수는 43,710명이며, 크고 아름답기로 유명한 캠퍼스는 총 면적 1,937 에이커 (약 7.8 제곱킬로미터)의 옥수수밭[5] 암반위에 자리잡고 있다. 그렇다고 블루밍턴에 비탈길이 많지는 않다. 인디애나의 진짜 언덕배기는 블루밍턴에 더 내려가서 시골로 가야된다. 캠퍼스가 매우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학교의 트레이드 마크라고 할 수 있는 샘플게이트를 지나면 나오는 경관은 처음 보는 사람들은 놀랄 수준. 현대적인 느낌보다는 고풍스러운 멋이 있는 캠퍼스다. 아무래도 워낙 큰 Big 10 소속의 대학이고 학생수만 해도 50000명에 육박하다 보니 다양한 곳에서 온 다양한 학생들이 있어 차별은 적지만 백인이 다수이다. 범죄율은 학생수에 비해 낮은편이지만, 간간히 새벽시간 핸드폰에 울려오는 Crime Alert는 상당히 무섭다. 동양계 학생들도 캘리포니아 만큼은 아니어도 의외로 이 미드웨스트 주임에도 적지 않은 편이다. 역시나 중국인들이 많은데, 미국 대부분의 캠퍼스가 그러하듯 최근 10년 사이에 중국인들의 숫자가 급격하게 불어나는 중. 덕분에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춘 중국 식당들의 숫자도 늘어나고 있고 (미국식 중국집이 아닌) 돈 많은 부자들이 상당수인지라 동네 역시 급격하게 확장되면서 고급 아파트들이 만들어지고 렌트비가 올라가는 중이다 (...) 대학교도 현재 새로운 건물들을 많이 짓고 확장 중인지라 일각에선 중국인들의 돈으로 재정 충당을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 (...) 조그마한 동네에 중국 학생들이 타고다니는 차들은 가히 모터쇼를 연상케한다. 이외에도 한국인, 인도인들의 숫자도 꽤나 많은 편으로 여튼 인종차별에 대한 걱정은 별로 없는, 다인종이 잘 어울리는 캠퍼스라고 볼 수 있다. 날씨는 거의 한국과 비슷한데 좀 더 사계절이 뚜렷하다. 여름의 경우 한국만큼 습하지는 않은 편. 블루밍턴 도시의 날씨는 매우 변화무쌍 하다. 사실 말이 좋아 변화무쌍이지 변덕이 매우 심한 날씨라 지난 주 까지는 따뜻하던 날씨가 바로 다음 주에는 눈 오는 날씨로 바뀌는(...) 매우 거지같은 신기한 기후의 도시이다. 사계절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추천할만 하다. 4. 평가[편집] 인디애나 대학교는 문과, 특히 사회과학분야 중심으로 운영되는 대학으로 사회과학분야 주요 전공이라 할 수 있는 법, 경영, 경제, 언론, 행정, 심리 등 전 분야에 걸쳐서 전미 30위 이내의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다만, 공대와 의대가 없는 학교 특성상 실제 사람들의 인식과 학교의 수준보다 낮은 순위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의 히토츠바시 대학이 사회과학분야에서는 도쿄대와 함께 1,2위를 다투지만 대학 전체 랭킹은 뒤처지는 것과 비슷한 사례이다. 한국과 비교를 하자면, 의대가 없고 공대 규모가 작은 서강대가 랭킹에서 비슷한 다른 대학들보다 순위가 낮게 평가되는 것과도 비슷하다. 이에 따라, 퍼블릭 아이비 리그에 중부 주립 대학들 중 하나로 당당히 등재되어 있다. 미시건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등도 함께 등재되어 있는 중부의 주립대학들. 즉, 문과에 있어서는 꽤 강한 주립대학 중 하나. 위스콘신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퍼듀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 등과 함께 중서부의 명문 상위권 주립대학으로 평가받는다. U.S. News 등의 랭킹에 계속해서 실질적 인식보다 낮은 순위로 랭크되어 여러 사람들의 불만을 사고있다. 심지어 U.S. News 조차도 이를 인정했다(..). U.S. News가 올린 'Which Ranked Universities Are Doing Better Than Their Academic Reputations?'라는 글을 보면 본인들이 매긴 순위와 Academic peer assessment rank, 즉 실질적으로 사람들이 매기는 순위가 가장 많이 차이나는 대학교 명단을 올렸는데, 인디애나 대학교는 U.S. News에서 매긴 순위보다 무려 40위 정도를 높게 평가받았다. 즉 학교들 순위매기는 사이트들에 의해 실제 인식보다 과소평가받는 대학교라는 것. 퍼블릭 아이비 리그에도 속해 있을 정도로 인정받는 명문 주립 대학이다. 아무래도 공대와 의대가 아예 없는 인문/사회계열 중심 학교이고 의대/공대에서 나오는 논문 등이 순위에 영향을 미치다 보니 그렇게 되는 듯.[6] 피스크 대학 안내서(The Fiske Guide to Colleges)는 인디애나 대학교를 'Best Buy' 대학교 명단에 올렸다. 투자한 돈에 비해 가장 실속있는 대학생활을 보낼수 있는 학교라는 뜻. 최근 몇년사이 순위 하락에 학교 운영진들이 뭔가를 느꼈는지 학교에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는 중이다. School of Global and International Studies, Computer Science & Informatics, 공공행정학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등등의 학과들의 건물을 새로 지을 정도로 투자를 거듭하고 있고, 또한 전통적으로 인디애나 대학교에 존재하지 않았던 공과대학(Computer Science)을 최근에 신설하면서 도약을 준비중이다. 그간 학교 재정이 많이 좋아졌고, 이를 이용해 학교를 여러 방면으로 성장시키고 있다. 5. 주요 전공[편집] 5.1. 음악 대학 / Jacobs School of Music[편집] 음악대학인 Jacobs School of Music은 전국 2위라는 매우 높은 순위를 가지고 있다. 학교 규모도 University of North Texas에 이어 전미 2위이다. 줄리아드 대학 바로 밑, 혹은 동급으로 취급되는 음악 명문 대학이다. 치열한 경쟁 끝에 매우 뛰어난 학생들이 모였기 때문에 연습 시간이 장난아니게 길다(...) 제이콥스 학생들 만나려면 스케줄 잡기가 힘들다 (...) 5.2. 공공행정 대학 /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SPEA)[편집] 행정대학인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줄여서 SPEA는 하버드 대학교의 케네디 스쿨과 시라큐스 대학과 더불어 전국 2위로 평가되다가, 2017/2018년에는 드디어 전미 1위의 자리에 올랐다. 사실 한국유학생들에게는 별로 매력없는 학과인지라 [7]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미국에서는 행정학으로 크게 인정받는 학교이다. 길게 말할것 없이 순위가 하버드 대학교 제치고 1위인데 뭐... 다만 우선 행정학, 정치학 자체가 별로 인기없는 문과 학과인데다, 학생수도 소규모로 운영하는 학과이고, 기본적으로 SPEA라는, 행정학이라는 학과 자체가 대학원 과정을 중시하는 지라 1위로 랭크된 것도 학부가 아니라 대학원이다. 애초에 Public Affairs, 행정학은 학부 랭킹 자체가 없다. 오직 대학원 랭킹 뿐. 물론 그렇기에 따지고 보면 행정학 학부 역시도 인디애나 대학교 SPEA가 전미 1위라고 볼수 있지만, 어쨌든 학과의 비교적 낮은 인기도 때문에 전미 1위임에도 불구하고 Jacobs School of Music 이나 Kelley School of Business 보다는 조금 아래로 평가된다.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장 신경쓰는 학과 세개 중 하나. 랭킹이 높은 학과이니만큼 합격하기에도 매우 어렵다. 2017년 가을 SPEA 신입생들의 평균 GPA가 4점 만점에 3.87이었다고. 인디애나에 거주하며 변호사나 법/행정 관련 직업을 꿈꾸는 고등학생들에게는 최고의 학교 중 하나이다. 2018년 가을에 공공행정학 수업들에 변화가 생긴다! 그간 SPEA의 기본 수업들 중 하나였던 V160이 2018년 봄 학기를 마지막으로 사라지고, V182로 바뀌는 등 여러가지 수정이 가해졌다. 학부 학생들의 취업이 더욱 수월해지게 돕는 수정이라고. 5.3. 경영 대학 / Kelley School of Business[편집] 켈리 경영대학, Kelley School of Business 역시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16년 블룸버그 비즈니스 위크, 2017년 US World and News Report, 2017년 방송사 CNBC가 발간한 '미국 경영대학 학부 과정 순위' 에서 각각 4위, 11위, 6위에 랭크되었다. [8] 또한 켈리 경영대학 내에서는 금융, 회계, 마케팅, 매니지먼트 등 전반에 걸쳐 미국 10위권 이내로 랭크되어 있다. 많은 기업들이 주목하는 학과이며, 졸업생들 평균 초봉 또한 주립대 치고 상당한 수준이다. (평균 $61,000, 2018년 기준 한화 약 6800만원)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가장 많이 홍보하고, 또 신경쓰는 학과. Undecided 메이저로 들어온 많은 학생들이 한번쯤은 들어가보려고 도전해보는 학과이기도 하다. 악명 높은 K201, E201, W131, A100, M118 등의 수업들을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해야 하기에 난이도가 매우 높다. 켈리 비즈니스 스쿨 건물과 SPEA 건물이 나란히 붙어있는데, 한 건물이 뭘 새로 지으면 옆 건물에서도 마치 따라하듯 바로 뭘 새로 짓는다(...)켈리와 SPEA는 서로 도서관을 함께 운영할 정도로 교류가 많은 학과들이다. 5.4. 기타 학과[편집] 저널리즘 스쿨(School of Journalism) 또한 다수의 언론사에서 항상 10위 내로 평가되었다. 학교 내의 신문사인 Indiana Daily Student의 경우 매년 The Hearst Journalism Awards Program과 같은 미국 내 대학생 저널리즘 대회에서 다년 간에 걸쳐 수상을 하는 등 심층 취재 및 보도에 있어서 뛰어난 인재 육성에 특히 두각을 드러냈었다. 다만 2016년 이후로 독립된 학과로서의 저널리즘 스쿨은 사라지고 여타 과목을 통합하고 방송, 멀티미디어 위주의 미디어 스쿨 (Media School)로 개편되었다. 이로 인해 미국에서 활약하고 있는 많은 동문 기자들 및 교수, 저널리즘 학생들의 반발이 있기도 했었다. 통합 이후에도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2018년 기준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y 세계 6위에 랭크되는 등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설적인 2차세계대전 당시 종군 기자였던 어니 파일 (Ernie Pyle)이 이 학교 출신이다. 학교 정문인 샘플 게이트 쪽에는 현재 그의 동상이 세워져 그와 함께 마주보고 앉아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의 이름을 따서 저널리즘 스쿨의 건물도 어니 파일 홀(Ernie Pyle Hall)이라고 불리었으나 현재는 샘플 게이트 쪽의 프랭클린 홀(Franklin Hall)을 개조, 확장하여 미디어 스쿨 (Media School)의 건물로 쓰고 있고 어니 파일 홀은 교실로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Computer Science도 주목받는 좋은 학과중 하나. 졸업생들의 평균 초봉이 상당히 높은 학과다. 이외에도 사회과학 분야로는 명문대로 평가받는다. 의대가 블루밍턴이 아닌 인디애나폴리스에 있어서 그렇지. 뱀발로 따라오는 랭킹으로, 블루밍턴 캠퍼스는 가장 아름다운 캠퍼스 랭킹에 심심치 않게 등재되며 가장 잘 노는 학교(Top Party Schools) 랭킹에도 순위권 내에 등재된다. 매년 봄 인디애나에서 개최되는 자동차 레이싱 대회인 Indy 500을 자전거 대회로 바꾼 Little 500 경기를 개최한다. 이 기간은 Little 5 Week라고 불리우며 막상 경기보다는 일주일 내내 술 마시고 파티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경기가 시작되기 몇 주전부터 이미 프래터니티, 소로리티에서 술을 박스째 트럭에 싣고 파티 준비를 하는 것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으며 경기 기간 중 동네 전체가 파티에 미쳐 있는 걸 볼 수 있다. 막상 경기는 지루해서 (여자는 100바퀴, 남자는 200바퀴) 관심 없는 사람들이 대다수 (...) 6. 유명 동문[편집] 유명 동문은 주로 세계구급인 제이콥스음악대학과 켈리경영대학 출신들로 이루어져 있다. 6.1. 음악대학 (Jacobs School of Music) 동문 목록[편집] 조슈아 벨 - 바이올리니스트 부커 티 존스 - 작곡가/프로듀서 크리스 보티 - 재즈 트럼페터 노아 벤딕스-벨글리 - 바이올리니스트.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제1악장. 6.2. 경영대학 (Kelley School of Business) 동문 목록[편집] 제프 페티그 - 현 월풀 CEO 존 챔버스 - 현 시스코 시스템스 CEO 지미 웨일스 - 위키피디아 창립자 겸 위키미디어 회장 필립 프랜시스 - 현 펫스마트 CEO 데이빗 사이먼 - 현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 CEO 마이클 시만칙 - 전 필립모리스 회장 겸 CEO 로버트 제임스 월러 - 1992년 출판된 베스트셀러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의 작가. 1968년 경영학 박사학위 이수 제이 쇼튼스타인 - DSW, 아메리칸이글 CEO 마크 큐번 - 댈러스 매버릭스 구단주 및 벤처 투자가 존 비토브 - 토론토 랩터스 창립자 및 구단주, 사업가 코디 젤러 - 샬럿 호네츠 소속 농구선수 2011-12 빅텐 콘퍼런스 Freshman of the Year 수상 박병호(교수)-KAIST 교수 강지영(아나운서) - JTBC 아나운서 김영진 - 한독제약 회장 정용진 - 신세계(기업) 부회장. 브라운 대학교로 편입 윤장호 - 아프가니스탄 파병 다산부대 통역병. 바그람 기지 자살폭탄테러로 전사. 이후에 하사계급 추서. 주원석 - 벼룩시장, 알바천국, 다방 등으로 유명한 미디어윌 그룹 창립자 및 현 회장. 1987년 경영대학원 졸업 예종석 - 예춘호 전 국회의원의 장남. 같은 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경영학 석사, 경영학 박사를 땄다. 마케팅 전공. 한양대 교수. 아름다운 재단 이사장. 음식평론가. 6.3. 기타 동문[편집] 김덕 - 전 국가안전기획부 부장. 제이미 모이어 - 전 메이저리그 산신령투수. 일반교양 학사과정 이수.[9] 마이클 히긴스 - 제 9대 아일랜드 대통령 로버트 게이츠 - 전 미국 국방장관 존 톰슨 준장 - 미 육군 병기창 간부. 톰슨 기관단총의 아버지 플로이드 탤버트 상사 - 제2�� 세계대전 당시 제101공수사단 제506연대 제2대대 Easy 중대 소속 부사관. 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등장. 제임스 왓슨 - 생물학자 및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DNA 2중 나선모델 최초 규명 제이미 하이네만 - TV쇼 Mythbusters MC 데이비드 조던 - 스탠포드 대학교 초대 학장 알프레드 킨제이 - 배우 장혁이 3번 정독한킨제이 보고서의 저자 폴 오닐 - 조지 W. 부시 행정부 당시 재무장관 빅터 올라디포 - 인디애나 페이서스 소속 현역 NBA 농구선수 2012-2013 빅텐 올해의 선수 등. 수잔 콜린스 - 베스트셀러이자 제니퍼 로렌스가 주연인 동명의 3부작 영화로도 유명한 소설 헝거 게임 작가 댄 퀘일 - 미국의 44대 부통령. 조지 H. W. 부시의 러닝메이트였으며 로스쿨에서 법무박사 (J.D.)를 이수하였다. 마이크 펜스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공화당 부통령 당선자 (도널드 트럼프의 러닝메이트). IUPUI의 로스쿨에서 법무박사를 이수하였다. 릴리 킹 - 미국 올림픽 여자 수영 국가대표. 2016년 리우 올림픽 여자 100M 평영부문 금메달리스트 마크 스피츠 - 전 미국 올림픽 남자 수영 국가대표. 1972 뮌헨 올림픽에서 자그마치 금메달 7개를 획득했고, 이 기록은 마이클 펠프스가 2008 베이징 올림픽에서 8개를 획득하면서 깨지게 되었다. 7. 스포츠[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px-Indiana_Hoosiers_Logo.svg.png 인디애나 후지어스 Indiana Hoosiers 7.1. 농구[편집] 파일:external/rushthecourt.net/assembly-hall-indiana.jpg 홈 구장인 사이먼 스콧 어셈블리 홀(Simon Skjodt Assembly Hall).[10] 파일:external/graphics.fansonly.com/branch.gif 20대 감독 브랜치 매크라켄 (1938~1943/1946~1965 재임. 1970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2회 우승 (1940, 53) 파일:external/www.basketballforcoaches.com/10291085_304071603081511_2749763508309058966_n.jpg 본교를 빛낸 전설의 명장 밥 나이트(Bob Knight) (1971~2000 재임.). - NCAA 토너먼트 3회 우승 (1976, 81, 87), NIT 우승 (1979), NCIT 우승 (1974) 파일:2kmucuO.jpg 24대 감독 마이크 데이비스 (2000~2006 재임. 현재 텍사스 서던 대학교 감독으로 재직중.) - NCAA 토너먼트 준우승 (2002) 파일:wYn1vXc.jpg 26대 감독 톰 크린 (2008~ 2017 재임. 현재 조지아 대학교 감독으로 재직.) - NCAA 토너먼트 16강 진출 3회 (2012, 13, 16) NCAA의 리버풀 혹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좀 더 괜찮은 리버풀이다 우승횟수많지만 우승못한지 좀 됐다 빅텐 우승(리그)는 최근에도 있지만 전국대회는 30년째 무관 미식축구는 더럽게 못 하기로 유명하지만, 농구는 전국구 수준으로 잘 한다. NCAA Division I 남자농구 챔피언십 5회 우승에 빛나는 명문으로 NFL팀 인디애나폴리스 콜츠나 NBA팀 인디애나 페이서스보다도 주민들의 충성도가 높은 실질적인 인디애나 최고 인기 스포츠팀이다. (다른 한팀은 사우스벤드에 있는 노트르담 대학교 남자 풋볼팀이다.). 하지만 주가 워낙 돈이 없어서 특급 스타플레이어들이 오질 않다보니 대학무대에서 통하는 전술을 갈고 닦은 전형적인 NCAA 농구팀으로 졸업생중 60년대 스타인 월트 벨라미,조지 맥기니스, 배드보이스를 이끈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아이재아 토마스 외엔 NBA에서 명성을 남긴 선수들이 거의 없다. 또한 스티브 알포드 (現 UCLA 감독)이 이끌던 1987년 마지막 우승 이후 2002년 준우승이 최고 성적으로 30년 넘게 무관 상태.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그 전설적이었던 래리 버드가 이 학교를 잠깐 다녔다는 것이다. 그의 재능을 발견한 위에 언급된 바비 나이트는 그를 스카웃하였으며 버드는 인디애나 대학교를 등록하고 다니기 시작했는데, 자신의 고향이 프렌치 릭(규모가 3천명이다. 실제로 인디애나 시골에 있는 프렌치 릭은 래리 버드의 고향으로 매우 유명해 지금도 그의 생가를 가면 그가 갖고 놀던 농구 골대 등이 전시되어있다. 그 곳에 있는 리조트의 매우 유명한 돔 건축물이나 주변에 있는 아미쉬 마을 등으로 한 번 기회가 되면 찾아 갈만한 곳이다.) 에 규모가 너무 컸던 대학 (삼만명의 학생이 등록되어 있었다)은 그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었고 불과 24일만에 그만두었다. 위에 언급된 치고 박고 싸운 아이재아 토마스와 선후배가 되었을수도... 어쨋든 다녔으니까 선배는 선배잖아! 현대의 스타 중심 원앤던 시스템이 아닌 팀플레이 전술을 고수하다고 삽질하다가 빅터 올라디포, 코디 젤러 등을 앞세워 반짝했던 2012년, 2013년의 빅텐 우승 등전성기를 뒤로하고 그저그런 성적을 올리고 있다. 계속되는 부진에, 감독 탐 크린은 2017년 3월 16일 전격 해임되었다. 이후 빌리 도노번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감독, 스티브 알포드 UCLA 감독 (인디애나의 1986년 우승 주역이다.) 등이 거론된 자리에 아치 밀러가 선임되었다. 새로운 감독과 함께 힘차게 시작한 2017-18시즌, March Madness조차 탈락했다(...) 홈에서 퍼듀 대학교에게 패배했을때의 그 우울함이란(...) 주요 동문은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아이재아 토마스 인디애나 페이서스의 빅터 올라디포 샬럿 호네츠의 코디 젤러(켈리 경영대 출신) 휴스턴 로켓츠의 에릭 고든 댈러스 매버릭스의 슈퍼루키 요기 페렐 등이 있다. 비슷한 전국구 명문인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교, 듀크 대학교, 켄터키 대학교 등에 비교하면 마이클 조던이나 카이리 어빙, 앤써니 데이비스 같은 NBA의 슈퍼스타가 적다는 느낌은 인디애나의 재정문제로 스타플레이어가 적었고 밥 나이트의 전술 탓이 있다. 탐 크린 부임 이후 인디애나 고교농구 Mr. Indiana Basketball이 몇몇 오는 등 리크루팅이 늘면서 스타 유망주들도 점점 오고 있다 지난해 2016-17 시즌을 앞두고 어셈블리 홀의 리노베이션이 있었으며 이름이 최대투자자의 이름을 따 사이먼 스콧 어셈블리 홀(Simon Skjodt Assembly Hall)이 되었다 7.2. 풋볼[편집] 파일:external/grfx.cstv.com/hoosier-fb-stadium-750.jpg 홈 구장인 메모리얼 스타디움. 파일:external/img.spokeo.com/john_pont_1968_10_01.jpg 21대 감독인 존 폰트 (1965~1972 재임. 2008년 작고.) - 로즈 볼 진출 (1967). 같이 있는 16번 선수는 팀의 주전 쿼터백이자 학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해리 곤조(Harry Gonso)이다. 파일:external/cdn1.sbnation.com/bilde.jpg 24대 감독인 빌 말로리 (1984~1996 재임. 2018년 작고.) - 피치 볼 2회 진출 (1987, 90) 이 팀은 메이저 볼 게임 진출(1967-68 시즌에 로즈 볼 진출)이 딱 한 번밖에 없을 정도로 약체이며 노스웨스턴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Big-10의 밑바닥을 책임지고 있는 팀이다. IU학생들의 농구사랑을 부추겨준다 요즘은 농구도 못해서... 하지만 최근 들어 감독을 바꿔 리빌딩함으로써 5-5 정도의 성적을 내 핀스트라이프 볼 등 메이저급은 아니어도 중견급 볼 게임 진출을 하고 있다. 그래도 캔자스시티 치프스의 주전 쿼터백 트렌트 그린 등의 NFL 선수들을 적지 않게 배출했다. 7.3. 야구[편집] 파일:external/baseballcoachesclub.com/Morgan-Kneel.jpg 23대 감독 밥 모건 (1984~2005 재임. 현재 생존.) - NCAA 야구 토너먼트 진출 (1996) 파일:external/0929f23552dfb8cf7f791946462885956e900c874a21809ed916e9d95b0a62d1.jpg 24대 감독 트레이시 스미스 (2006~2014 재임. 현재 애리조나 주립대학교의 감독으로 재직중.) - 칼리지 월드시리즈 진출 (2013) 야구에서는 신시내티 레즈의 레전드 테드 클루즈제프스키, 1990년대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주전 2루수였던 미키 모란디니가 대표적인 동문이다. 7.4. 기타[편집] 스포츠 전반에 걸쳐 동 주에 위치한 퍼듀 대학교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Puck Furdue Boiler Down [1] 빛과 진리 [2] 마스코트 라기보다 인디애나 주민들을 부르는 상징적인 닉네임. 인디애나주의 플래그십 대학교인 인디애나 대학교이기에 학교의 마스코트이자 닉네임 역시 Hoosiers 이다. [3] 2017년에 새로운 건물이 켈리 경영대 바로 옆에 세워졌다. 본 사진은 오래된 건물 [4] 인디애나 대학교를 줄여서 IU라고 흔히 부른다. 한국인들에게는 가수 아이유와 혼동을 일으킬수도 있다(...) [5] 아무래도 인디애나 주 자체가 옥수수로 유명하지는 않지만 미드웨스트 주라 옥수수밭 드립이 잘 먹히는데 실상 옥수수밭 드립에 어울리는건 북부 인디애나의 퍼듀이지 남부 산악 지방에 위치한 아이유가 아니다. 아이유에 재학중인 학생이라면 알겠지만, 산 비탈에 대학을 건설한건지, 경사가 쩔어주는 비탈길도 있는 환경에 옥수수를 심을래야 심을수도 없다.물론 블루밍턴 주변엔 없지는 않지만 [6] 엄밀히 말하면 의대가 있는 학교이다. 다만 시스템이 독특해서 랭킹 신정시에는 IUB에 포함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본교는 인디애나폴리스의 IUPUI에 있지만 특이하게 이 학교는 본과 1,2학년 과정을 IUPUI를 포함한 인대애나주 내의 다른 8 캠퍼스에서 끝낼 수 있기때문이다. 그러나 의대 이름은 엄연히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USM), 즉 인디애나 대학교 시스템 산하의 의대이다. [7] 미국에서 행정학, 정치학을 전공해서 한국에서 써먹기는 쉽지않다. 제도적으로 완전히 다르기 때문. 그래도 자매결연을 맺은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과정을 밟는 학생들이 교환학생으로는 자주 온다. [8] 각 랭킹 참조: https://www.usnews.com/best-graduate-schools/top-business-schools, https://www.cnbc.com/2017/12/06/the-10-best-undergraduate-business-programs.html, https://kelley.iu.edu/about/rankings.cshtml [9] 그런데 대학생활과 체육활동은 세인트 조지프 대학교에서 했다. [10] 2016년까지는 어셈블리 홀(Assembly Hall)로 불림.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0 notes
fyhistory · 8 years
Photo
Tumblr media
{ #HISTORY_OfficialTeaser } HISTORY 5th Mini Album #HIM Teaser Image #김시형
18 notes · View notes
suprememan-kr-blog · 8 years
Photo
Tumblr media Tumblr media
HISTORY HIM (Heart ver.) 시형 SCAN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