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mgik
#절대왕정
trexboy76 · 5 years
Photo
Tumblr media
#이야기세계사 #koohakseo #청아출판사 #studiahumanitatis #renessainance #신항로 #종교개혁 #predestination #절대왕정 #rousseau #독립전쟁 #프랑스대혁명 #나폴레옹 #lamarseillaise #garibaldi #bismark #산업화 #1848년 #진화론 #세계대전 #de’tente #세줄평 19/8/21-9/20 세계사 2는 근대부터 2차대전 이후의 서양사가 그 대상이며 르네상스,절대왕정,#시민혁명 ,복고체제 ,산업화,제국주의, 세계대전 등을 시간 순으로 다루고 있다 世界史2は、近代から2次世界大戦後の西洋史がその対象であり、#ルネッサンス 、絶対王政、市民革命、復古体制、産業化、#帝国主義 、世界大戦などを時間順に扱っている 19세기의 이성주의와 반이성주의의 대립을 따로 떼어 인간은 합리 추구의 존재인가 불합리를 따르는 존재인가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19世紀の理性主義と反理性主義をわざと扱い、人間は合理を追求する存在か不合理に従う存在かを深く扱っている 세계 대전의 폭력 사회를 미국의 폭력으로 제압하고 평화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평화와 전쟁은 결코 먼 것이 아님을 보여 주는 교훈이다 世界大戦の暴力社会をアメリカの暴力で制圧し、平和を維持することができたのは、平和と戦争は決して遠いものではないのを示す教訓だ (Nagoya-shi, Aichi, Japan) https://www.instagram.com/p/B2psO4pgcKx/?igshid=1mbd9racn4851
0 notes
ingtour · 6 years
Photo
Tumblr media
베르사유 궁전! 파리 남서쪽 베르사유에 있는 바로크 양식의 절대왕권을 상징하는 궁전. 루이14세의 명령에 의해 지어진 U자형의 궁전. 2층의 거울의 방과 응접실, 침실 등 절대왕정 시대의 유물이 가득한 곳이다. 1661~1690년 루이14세때 건축되었다. #베르사유궁전 #바로크양식 #루이14세 #절대왕정 https://www.instagram.com/p/BqphOHOl84B/?utm_source=ig_tumblr_share&igshid=19tpucpckcwri
0 notes
askme123 · 4 years
Text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 레포트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hwp  문서 (압축파일).zip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 동-서유럽의 절대왕정에 대한 글입니다 (서양사)☆동서유럽의절대왕정☆ ●동·서유럽의 절대왕정● Ⅰ. 서유럽의 절대왕정 ◈ 단원의 개관 ◈ 1. 배경 2. 절대왕정이란? 3. 절대왕정의 제도 1) 관료제도 2)상비군제도 3) 징세제도 4) 사법권의 통합 4. 중상주의(mercantilism) 1) 배경 2) 목표 3) 발달단계 5. 왕권신수설 6. 사회경제구조 1) 자본주의의 발전 2) 자본주의와 절대왕정의 연관성 3) 장원제도의 붕괴와 유럽농촌의 개편 4) 신분제도 7. 절대주의 성격 규명 8. 절대주의 국가 1) 합스부르크 2) 에스파냐의 융성과 몰락 3) 네덜란드의 독립 4) 프랑스의 절대주의 5) 영국의 절대주의 Ⅱ. 동유럽의 절대왕정 ◈ 단원의 개관 ◈ 1. 동유럽의 봉건적 위기 2. 봉건적인 절대주��� 체제의 형성 3. 재판 농노제 1) 배경 2) 농민 3) 귀족 4. 동유럽의 절대주의 봉건제 자본주의 5. 30년 전쟁 1) 원인 2) 발단 - 보헤미아 분쟁 3) 경과 4) 영향 6. 절대주의 국가 1) 프로이센의 흥기(興起) 2) 오스트리아 3) 러시아의 대두 4) 폴란드의 분할 ◉ 참고자료 ◉Ⅰ. 서유럽의 절대왕정 1. 배경 1)중세 말의 상황 * 십자군원정으로 인한 교황권의 약화 * 도시의 발달 : 12세기 십자군 원정으로 동방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번창하기 시작하였고, 점차 자치권 획득하여 봉건 영주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국왕은 왕권 신장을 위해 도시의 발전을 지원하였고, 도시는 길드를 조직하여 자체적인 경제조직을 형성해 나갔다. * 농촌의 변화와 장원의 해체 * 왕권의 강화 : 십자군 전쟁 이후 교황권의 쇠퇴와 봉건 영주 세력의 약화는 왕권의 강화를 가져왔고, 국민 의식의 고양은 중앙 집권적 통일 국가로 발전하는 모체가 되었다.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시의 상공 시민층은 중앙 집권적인 통일 국가가 그들의 상공업 활동에 유리하였으므로 국왕을 지지하였다. 2) 직접적인 계기 * 지리상의 발견으로 인해 상권의 세계적 확대식민 활동을 위한 국내 통일 희망하게 된다. ∴ 절대주의는 경제적 변화에 의해 등장한 것이고, 귀 족의 몰락과 부르주아 시민의 성장을 바탕으로 강화된 왕권이 국가를 통합하면서 수립된 것임. Ⅱ. 동유럽의 절대왕정 2. 봉건적인 절대주의 체제의 형성 * 서유럽 : 절대군주 + 부르주아지라 = 봉건세력을 꺾고 자신의 입지를 확립 * 동유럽 : 군주들은 이러한 사회세력을 보유하지 못했기 때문에 토지귀족과 타협 귀족 : 고급관리와 군 장교로서 왕권에 봉사하는 봉사귀족(Service Nobility) 절대왕권은 이러한 귀족들의 봉사에 대한 대가로 그들이 영지에서의 농노지배를 인정 군주 : 상비군과 관료 그리고 징세권과 같은 절대권력의 기반을 부여받는 대신 귀족의 제반 권한들을 보장 ∴ 동유럽에서는 봉건적 성격이 강한 절대주의 체제가 수립 3. 재판 농노제 : 봉건귀족의 경제적인 기반은 전혀 손상되지 않았고 농노제가 다시 확립·강화 ⇒ 재판농노제(The Second Serfdom) 1) 배경 * 11세기 이후 개간운동에 의해서 새로이 봉건제가 이식 → 중세말로 들어서면서 봉건제의 위기 → 농민과 영주사이의 세력갈등이 심각하게 나타남 → 농노제 강화를 초래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6182931&sid=sanghyun7776&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21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 파일이름 :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hwp 키워드 : 동,서유럽의,절대왕정 자료No(pk) : 16182931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 레포트 문서 (압축파일).zip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 동-서유럽의 절대왕정에 대한 글입니다 (서양사)☆동서유럽의절대왕정☆ ●동·서유럽의 절대왕정● Ⅰ. 서유럽의 절대왕정 ◈ 단원의 개관 ◈ 1. 배경 2. 절대왕정이란? 3. 절대왕정의 제도 1) 관료제도 2)상비군제도 3) 징세제도 4) 사법권의 통합 4. 중상주의(mercantilism) 1) 배경 2) 목표 3) 발달단계 5. 왕권신수설 6. 사회경제구조 1) 자본주의의 발전 2) 자본주의와 절대왕정의 연관성 3) 장원제도의 붕괴와 유럽농촌의 개편 4) 신분제도 7. 절대주의 성격 규명 8. 절대주의 국가 1) 합스부르크 2) 에스파냐의 융성과 몰락 3) 네덜란드의 독립 4) 프랑스의 절대주의 5) 영국의 절대주의 Ⅱ. 동유럽의 절대왕정 ◈ 단원의 개관 ◈ 1. 동유럽의 봉건적 위기 2. 봉건적인 절대주의 체제의 형성 3. 재판 농노제 1) 배경 2) 농민 3) 귀족 4. 동유럽의 절대주의 봉건제 자본주의 5. 30년 전쟁 1) 원인 2) 발단 - 보헤미아 분쟁 3) 경과 4) 영향 6. 절대주의 국가 1) 프로이센의 흥기(興起) 2) 오스트리아 3) 러시아의 대두 4) 폴란드의 분할 ◉ 참고자료 ◉Ⅰ. 서유럽의 절대왕정 1. 배경 1)중세 말의 상황 * 십자군원정으로 인한 교황권의 약화 * 도시의 발달 : 12세기 십자군 원정으로 동방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번창하기 시작하였고, 점차 자치권 획득하여 봉건 영주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국왕은 왕권 신장을 위해 도시의 발전을 지원하였고, 도시는 길드를 조직하여 자체적인 경제조직을 형성해 나갔다. * 농촌의 변화와 장원의 해체 * 왕권의 강화 : 십자군 전쟁 이후 교황권의 쇠퇴와 봉건 영주 세력의 약화는 왕권의 강화를 가져왔고, 국민 의식의 고양은 중앙 집권적 통일 국가로 발전하는 모체가 되었다.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시의 상공 시민층은 중앙 집권적인 통일 국가가 그들의 상공업 활동에 유리하였으므로 국왕을 지지하였다. 2) 직접적인 계기 * 지리상의 발견으로 인해 상권의 세계적 확대식민 활동을 위한 국내 통일 희망하게 된다. ∴ 절대주의는 경제적 변화에 의해 등장한 것이고, 귀 족의 몰락과 부르주아 시민의 성장을 바탕으로 강화된 왕권이 국가를 통합하면서 수립된 것임. Ⅱ. 동유럽의 절대왕정 2. 봉건적인 절대주의 체제의 형성 * 서유럽 : 절대군주 + 부르주아지라 = 봉건세력을 꺾고 자신의 입지를 확립 * 동유럽 : 군주들은 이러한 사회세력을 보유하지 못했기 때문에 토지귀족과 타협  귀족 : 고급관리와 군 장교로서 왕권에 봉사하는 봉사귀족(Service Nobility) 절대왕권은 이러한 귀족들의 봉사에 대한 대가로 그들이 영지에서의 농노지배를 인정  군주 : 상비군과 관료 그리고 징세권과 같은 절대권력의 기반을 부여받는 대신 귀족의 제반 권한들을 보장 ∴ 동유럽에서는 봉건적 성격이 강한 절대주의 체제가 수립 3. 재판 농노제 : 봉건귀족의 경제적인 기반은 전혀 손상되지 않았고 농노제가 다시 확립·강화 ⇒ 재판농노제(The Second Serfdom) 1) 배경 * 11세기 이후 개간운동에 의해서 새로이 봉건제가 이식 → 중세말로 들어서면서 봉건제의 위기 → 농민과 영주사이의 세력갈등이 심각하게 나타남 → 농노제 강화를 초래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xid=a&kid=b&pk=16182931&sid=sanghyun7776&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21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 파일이름 : 동 서유럽의 절대왕정.hwp 키워드 : 동,서유럽의,절대왕정 자료No(pk) : 16182931
0 notes
ilovesky2009 · 7 years
Text
[2017-034] 경제로 읽는 교양세계사
제목 : 경제로 읽는 교양 세계사
저자 : 오형규
옮긴이 :
출판사 : 글담출판
읽은날 : 2017/04/08 - 2017/04/14
세계사 통사를 요즘 읽고 있다.
최근에 나온 세계사 통사이기에 읽기 시작했다. 경제로 해석하는 세계사라는 제목에도 흥미가 좀 있었고..
내가 기대한 바는 경제가 어떻게 세계사의 흐름을 바꾸었는지를 아는 것이었다.
철학의 사조가 바뀌거나 새로운 철학을 가진 왕조가 정복을 통해 문명을 바꾸는 이야기는 많이 읽었는데 경제를 통해서 문명이 바뀌는 것은 사실 사피엔스 말고 그리 잘 쓴 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은 결론은 그냥 사피엔스를 더 읽어야겠다이다.
중고등학교 세계사 책을 읽은 기분이라고 할까?
가볍게 킬링타임으로 읽으면서 예전의 생각을 정리해보기에는 참 좋았으나, 새로운 지식으로 늘어난게 없다.
그냥 학교 때 읽었던 내용을 한번 되새김하는 정도다.
특히 현대사는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경쟁에서 자본주의가 승리하고 공산주의가 몰락했다는 80년대에 읽었던 교과서에서 한발자국도 나가지 않았다. 왜 자본주의가 자본론처럼 흐르지 않을 수 있었는지, 민중의 각성과 탐욕한 자본주의를 제어하는 세련된 방법이라든가 이런 얘기는 볼 수가 없다.
약간의 기술 만능주의와 낙관주의도 나에겐 거슬린다.
러다이트 운동이 기계를 막아내지 못했고, 사람보다 천천히 달리라는 자동차 규제가 철폐되고 새로운 기술과 일자리가 생겼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그로 인해 재교육과 인력재배치로 노동자의 존엄성이 무너진 이야기는 없다.
아무래도 내가 기술의 발전이나 문명의 발달이 결국은 부의 집중으로 귀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가보다.
가볍게 읽기에는 좋지만 사피엔스처럼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주지는 않으니 남는건 많지 않다.
p82 근대 이후 서구에서는 시간이 곧 돈이며, 이자는 '현재의 소비를 미래로 연기한 데 따른 대가'라고 인식한다. 반면, 이슬람 사회에서는 시간의 가치로서 이자를 인정하지 않고, 투자를 통해 '공헌한 곳에 보상'하는 것만 정당한 행위로 여긴다
P100 이슬람의 상업과 화학, 의학, 천문학의 발전은 오늘날의 언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알코올, 알칼리, 십진법, 대수, 거즈, 견우성, 직녀성, 설탕, 면, 수표, 제독 등이 모두 아랍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p187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절대왕정 시대에 국왕이 소유한 금은보화를 국부의 척도로 여긴 중상주의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스미스는 국가의 부를 사회 전체가 소비하는 상품, 즉 국민의 생활수준으로 봤다
P202 자본가와 노동자를 괴롭힌 곡물조례는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100만명이 넘게 굶어 죽은 1846년에야 폐지되었다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