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공업전문대학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ext
상록브랜드홍보 업체선정고민에 지치셨다면 믿고 맡겨보세요

상록홍보종류, 상록건축설계, 상록워킹머신 상록누수탐지업체 상록대리 상록머니클립 #우산소량제작광고대행사 송파브랜드홍보 상록사이트대행업체 상록화이트 상록강아지옷 상록배송업체 상록특수학교 상록용기 #애완토끼분양 오시리아브랜드홍보, 상록광고업체, 상록파티룸 상록가위 상록자동차용품, 상록썬팅, 상록자동문설치 #청주서원판매대행 관촌면브랜드홍보 상록광고회사 상록설치업 상록동영상편집 상록아파트조경, 상록파리바게뜨 상록수도배관공사 #작은공간인테리어 무주군브랜드홍보 상록바이럴마케팅광고 상록비숑프리제분양 상록촬영 상록예약 상록캠코더 상록사무기기 #전원주택시공광고대행사 신길온천역브랜드홍보 상록블로그광고비용 상록헤어샵 상록한의학전문대학원 상록원룸도배 상록팬시 상록간전문병원 #건축제도학원광고대행사 ��기동브랜드홍보
0 notes
Text
인천남동 섹파찾기 인천남동 부킹썰 인천남동 20대유흥 안성녀만남

인천남동 섹파찾기 인천남동 부킹 인천남동 20대유흥 안성녀 만남 인천남동 일반인 인천남동 대학생 인천남동 미팅어플 인천남동 데이트, 인천남동 폰팅어플 인천남동 돌싱모임 인천남동 인천남동 부킹 섹파찾기 인천남동 43살남자, 인천남동 20대연애앱 인천남동 산후조리 인천남동 호텔웨딩 인천남동 구강세정기, 인천남동 번개폰섹 부킹, 인천남동 20대유흥 20대유흥 서울강서 섹파찾기 서구섹파찾기 상주섹파찾기 동양공업전문대학 섹파찾기, 서울서초구 섹파찾기 삼랑진읍섹파찾기 안성녀 음란폰팅 바로가기 음란폰팅 앱다운받기 인천남동 섹파찾기 인천남동 부킹 인천남동 20대유흥 안성녀 만남 인천남동 조건, 인천남동 만남구함 인천남동 동호회 인천남동 즉석만남 인천남동 남자만남, 인천남동 남녀, 인천남동 , 인천남동 부킹 섹파찾기 인천남동 테니스 인천남동 화상카메라 인천남동 46살여자 인천남동 취사 인천남동 에어컨청소업체 인천남동 상가전문부동산 부킹 인천남동 20대유흥 20대유흥 동래구 섹파찾기 한국정보통신대 섹파찾기, 흥덕동 섹파찾기 부산수영구 섹파찾기 영통 섹파찾기 자양동 섹파찾기 안성녀, 인천남동 섹파찾기 구경하기 인천남동 부킹 앱다운받기 인천남동 섹파찾기 인천남동 부킹 인천남동 20대유흥 안성녀 만남 인천남동 남자만남, 인천남동 성인어플 인천남동 돌싱모임, 인천남동 야한대화 인천남동 중년 인천남동 섹파어플 인천남동 인천남동 부킹 섹파찾기, 인천남동 추모공원 인천남동 네일재료 인천남동 저축은행 인천남동 겨털녀 인천남동 건물청소 인천남동 아귀찜 부킹, 인천남동 20대유흥 20대유흥 계산동섹파찾기 팔달구섹파찾기 임동면 섹파찾기 동작구섹파찾기 서초 섹파찾기 김해시 섹파찾기 안성녀 인천남동 20대유흥 바로가기 안성녀만남 원스토어
0 notes
Link
동양미래대학교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445에 위치한 전문대학
동양미래대학교 2018학년도 정시등급 및 대학정보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다양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1939년 4월 1일 서울시 영등포구 본동에 설립된 동양공과학원(東洋工科學園)이 모체이다. 1965년 4월 동양공업고등전문학교(기계과 5학급, 전기통신과 5학급, 건축과 5학급, 총 입학정원 15학급)로 개교했다. 1970년 서울시 영등포구 고척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76년 고 조홍제 효성그룹회장이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같은 해 기계설계과, 전기과, 통신과를 신설하였고, 1978년 동양공업전문학교를 동양공업전문대학으로 개편하였다. 이후 2010년 3월 1일 동양미래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으며, 2012년 동양미래대학교로 재차 변경되었다.[1] 학훈은 성실(誠實), 근검(勤儉), 박애(博愛). 재단은 효성그룹이다. 고척돔 개장에 맞춰 2016년 3월 29일 구일역(동양미래대학교) 2번 출구가 개통된 이후, 도보 이용 시 기존의 1번 출구보다 약 5~10분 빨리 캠퍼스에 도착할 수 있다. 캠퍼스 부근에 먹자골목과 고척돔 내 식당이 잘 형성되어 있어, 식사나 음주가무 걱정은 없다. 캠퍼스의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생활하면서 크게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 8호관(구 3호관)이 완공된 이후 편의점, 은행, 모닝글로리, 카페 등 상권이 8호관내에 다수 밀집 해 있다. 위치 및 교통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교통 항목 참고. 교육기술과학부의 201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에서 2012년 취업률이 68.8%에 이르는 등 2010년부터 3년 연속 수도권 전문대학 ‘가’ 그룹 가운데 취업률 1위의 대학으로 우뚝섰다.[2] 이후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서울지역 전문대학 중 최상위 등급을 받았으며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선정,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취득, 공학교육혁신 지���사업 선정, 서울시 캠퍼스CEO 육성사업 선정,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역�� 인증 취득,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사업 선정 등을 통해 활기차고 뛰어난 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창의적이고 슬기로운 전문직업인을 양성한다는 미션 아래 ‘아시아 직업교육 허브대학’의 비전을 제시하고, 고객이 만족하는 최고의 교육, 시대를 선도하는 최상의 교육을 발전목표로 하고 있다. 동양미래대학교 홍보 영상 (2015) 2. 역사[편집] 동양미래대학교 역사관 2.1. 학교설립[편집] 민족구국과 역사의식으로 탄생한 동양미래대학교 파일:dongyang1.png 파일:dongyang3.png 파일:dongyang2.png 파일:dongyang4.png 2.2. 1939~1989[편집] 1939. 04 김봉주 초대 이사장 취임 동양공과학원 설립인가, 서울시 영등포구 본동 21번지 1948. 03 재단법인 동양학원 설립인가, 서울 영등포구 본동 21번지 1964. 01 학교법인 동양학원 조직변경 인가 1965. 04 동양공업고등전문학교 개교 (기계과 5, 전기통신과 5, 건축과 5, 총 입학정원 15학급) 1967. 03 화공과 신설 1970. 03 고등전문학교 이전, 서울 영등포구 고척동 61번지 1974. 11 전문학교 설립인가 (기계 3, 전자 3, 건축 1, 화공 1, 매학년 8학급씩 총 입학정원 16학급) 1976. 01 조홍제(효성그룹 회장) 이사장 취임 1976. 12 교가 제정 (작사 이은상, 작곡 김성태) 1976. 12 기계설계과, 전기과, 통신과 신설 1978. 11 화공과를 공업화학과로 변경 1978. 12 동양공업전문학교를 전문대학으로 개편 1980. 12 졸업정원제 실시 (졸업정원 기계과 240, 기계설계과 240, 전기과 240, 전자과 240, 통신과 160, 공업화학과 200, 건축과 120명 계 1,440명) 1984. 01 조석래(효성그룹 회장) 이사장 취임 1984. 11 사무자동화과 신설 1988. 02 지응업 학장 취임 1988. 11 공장자동화과 신설 2.3. 1990~1999[편집] 1992. 07 해외 대학 자매결연 미국 Milwaukee Area Technical College 뉴질랜드 Auckland Institute of Technology 일본 기후공업고등전문학교 1995. 10 경영정보과 신설 1996. 11 학과신설 및 입학정원 조정(경영정보시스템과 주간40, 공장자동화과 주간40 증원), 인터넷정보과 신설(주간80, 야간40명) 입학정원 계 2,440명 1997. 01 멀티미디어 정보센터, 산학협력정보센터 신설 1997. 01 인문교육연구소 · 외국어교육연구소 발족 1997. 03 전자계산소를 중앙전자계산소로 개편 전산사무자동화과, 경영정보과, 인터넷정보과를 전산경영기술공학부 (전자계산, 사무자동화, 경영정보시스템, 인터넷정보 전공)로 개편 총 입학정원 2,440명 1998. 01 부속시설 확대 개편 산학협력정보센터를 산학협력센터로 개편 기술지원실을 교육공학센터로 개편 1998. 03 전기과, 전자과, 전자통신과를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전기, 전력전자, 전자, 반도체, 전파통신, 정보통신 전공)로 개편 전산경영기술공학부내 사무자동화 전공 폐지, 테크노경영전공·멀티미디어전공 신설 총 입학정원 2,440명 1998. 08 동양공업전문대학 - 제52보병사단 학·군협약 체결 1998. 09 동양공업전문대학 - 구로구청 관·학협약 체결 1999. 03 국립의료원 간호대학[3], 숭의여자대학교�� 교육협력 협약 체결 1999. 03 해외대학 자매 결연 - 캐나다 BCIT 1999. 04 주문식교육 컨소시엄 운영에 관한 협력협약 체결 (거제대학, 대림대학, 대천대학, 연암공업대학, 울산과학대학) 1999. 08 동양공업고등학교 이전에 따른 교사 확장 (10,293㎡ 증가) 1999. 11 도서관동 증축공사 준공 지상 7층 지하 2층 기존면적 4,901㎡(1,483평) 증축면적 1,603㎡(485평) 총연면적 6,505㎡(1,968평) 2.4. 2000~2010[편집] 2000. 03 구 동양공업고등학교 교지 및 교사 전문대학으로 편입 구 동양공고(교지 : 14,844㎡, 교사 : 10,274㎡) 전 전문대학(교지 : 21,004㎡, 교사 : 21,160㎡) 총 계(교지 : 34,816㎡, 교사 : 35,434㎡) 2000. 12 동양공업전문대학 - 구로경찰서 관·학 협약 체결 2002. 05 호서대학교와 연계교육협약 체결 2002. 08 관광경영전공 신설 2003. 02 국내 대학교와의 연계교육협약 체결 1)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2)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3) 홍익대학교 조치원캠퍼스 4)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5) 관동대학교 2004. 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와 연계교육협약 체결 2004. 03 명지전문대학과 교류협력협정 체결 2004. 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와 연계교육협약 체결 2004. 03 동양공업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신설 2004. 06 해외대학 MOU 체결 - 미국 Hawaii Pacific Univercity 2005. 02 효성관준공식 대학본부 및 강의동 : 지상10층 / 8,274m2 (행정실, 강의실, 실습실) 도서관동 : 지상6층 / 5,827m2 (도서관, 중앙전산소) 주 차 장 : 지하3층 / 9,418m2 (주차면수 : 312대) 계 : 23,519m2 2005. 02 서울시와 시정발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협정 체결 및 중소기업 현장기술 인력지원 네트워크 구축 협정 체결 2005. 03 계열을 경영학부로 개편, 유통마케팅전공, 비서행정전공 신설 2005. 06 서울관악지방노동사무소 취업지원 협약 체결 2005. 08 해외 대학 AEA 체결 - 일본 Takuma National College of Techology 2005. 12 해외 대학 MOU 체결 - 중국 북경물자대학 (Beijing WUZI University) 2007. 12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교육인적자원부 인가 2007. 11 첨단강의실 구축 2007. 06 말레이시아 국비 유학생 입학 20주년 2007. 01 학부제 전면 시행 및 부속기관 개편 2006. 12 해외대학 자매결연 체결(중국 심천직업기술학원) 해외대학 MOU체결 (말레이시아 림콕윙대학) 2010. 03 동양미래대학으로 교명 변경 2.5. 2011~현재[편집] 2012. 04 동양미래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2. 03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역량 인증대학 선정 2012. 10 동양미디어, 예비군연대 기구 신설 2014. 01 기관평가인증 교육품질 인증대학 선정 2014. 04 강석건 제 24대 총장 취임 2014. 06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선정 2016. 04 김상희 이사장 취임 2018. 04 정완섭 제 25대 총장 취임 3. 상징[편집] 3.1. 로고/UI[편집] 대학 시그니쳐 파일:symbol-01.jpg 동양미래대학교의 심벌은 교명변경과 더불어 21세기의 사회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창의적 혁신을 통해 미래로 나아가는 대학의 의지를 나타내도록 고안되었다. 펼쳐진 책과 날개의 이미지를 중첩하였고 여기에 뻗어나가는 빛을 더하여 디자인하였으며, 창조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을 통해 세상을 밝게 비추는 대학의 모습과 명문 직업교육 대학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동양미래대학교의 로고는 심벌 이미지와 안정적인 조화를 이루고"동양"이라는 단어가 부드럽게 부각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3.2. 사명과 비전 및 전략체계[편집] 파일:strg-01.jpg 3.3. 교가[편집] 파일:a231313f23.png 4. 교통[편집] 파일:map-pic.png 자가용으로 통학한다면 이론상으론 주간선 도로를 두개나 끼고있으니 더할나위 없는 좋은 입지이지만, 서부간선도로와 경인로의 상습적인 정체로 그다지 큰 메리트는 없다. 안양천로, 혹은 신월IC-오류IC로 접근하는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주차장 이용료는 학생차량등록시 월 10,000원이며 등록하지 않고 일반차량으로 이용시 매우 비싸다. 두시간 안되게 5,500원 정도. 4.1. 버스[편집] 정류장 노선 종류 버스 번호 신도림 (17001) 간선 서울 버스 160, 서울 버스 600, 서울 버스 662, 서울 버스 670, 서울 버스 N16 일반 부천 버스 10, 부천 버스 83, 부천 버스 88, 부천 버스 88-1, 시흥 버스 510, 시흥 버스 530 지선 서울 버스 6513, 서울 버스 6515, 서울 버스 6637, 서울 버스 6640A, 서울 버스 6640B 좌석 안산 버스 301,안산 버스 320 구로역 AK플라자(17145)]] 지선 서울 버스 5626 구로역 나인애비뉴(17310) 지선 서울 버스 5712 개봉역 (17972) 마을버스 구로 06 학교 앞에 버스 중앙차로 정류장이 있다. 오가는 버스의 종류가 많은 점이 좋지만, 인천 방면의 경인로가 차로가 감소하는 지점이고 고척 돔구장으로 인해 버스도 막히는 수가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통행하는 학생은 구일역에서 내린 후, 도보로 약 3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혹은, 신도림역이나 개봉역에서 하차한 후 위 노선을 타고 학교 '동양미래대학, 구로성심병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을 타고 통행하는 학생은 온수역에서 하차해 8번 출구에서 나오면 바로 보이는 정류소에서 160, 670번을 탑승하면 된다.1호선으로 갈아타 구일역에서 걸어가는 것과 시간상으로 큰 차이가 없다. 운이 좋아 버스가 바로 온다면 오히려 더 빠르다. 만약 지하철에서 자다가 놓쳤다면 광명사거리역에서 하차하여 6637 번이나 시흥 버스 510, 530번 버스를 탑승해도 된다. 301번과 320번은 좌석버스이므로, 광역버스를 한 번이라도 탄 경험이 있는 경우 이용 바람. 600번이나 지선버스를 탑승하면 빙빙돌아가기 때문에 지각하는 수가 있으니 주의하자. 4.2. 지하철[편집] 하차역명 출구 학교까지 교통수단 소요 시간 구일역 (1호선) 2번출구 도보 이용 약 7분 구로역 (1호선) AK플라자 방면 AK플라자 또는 나인스애비뉴 앞에서 아래 버스 이용 약 15분 신도림역 (1,2호선) 1번출구 신도림동, 문래동 방면 경인국도 인천방향으로 아래버스이용 (503, 5615, 5714, 6512는 제외) 약 20분 개봉역 (1호선) 고척동, 구로소방소 방면 역 광장에서 아래 마을버스 이용 약 15분 경인선 구일역에서 가깝다. 그러나 예전에는 구일역에 서쪽 출구가 없었기 때문에 내린 뒤 약 15분 정도를 걸어가는 수고를 들여야 했다. 그래서인지 구로역, 신도림역, 개봉역 등 구일역과 가까운 근처역에서 내려서 버스타고 가는 게 더 빠르고 편하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고척돔 개장(2015년 9월)에 맞춰, 2016년 3월 29일 구일역 2번 출구가 개통되었다. 도보 이용시 기존의 1번 출구보다 약 5 ~ 10분 가량 빨리 도착할 수 있다. 5. 캠퍼스[편집] 파일:3945.png 캠퍼스맵 한눈에 보기 5.1. 1호관(대학본부)[편집] 1호관(대학본부) 파일:IMG_20160609_145815_HDR-013.jpg 규모 지상1층,지상10층 용도 지상 10층 기획처 지상 9층 법인사무국 지상 8층 총장실, 사무처장실, 교학처장실 지상 7층 강의실 지상 6층 강의실 지상 5층 사무처, 소강당 지상 4층 학생서비스센터(휴/복학,수업,장학), 산학협력처(단), 연결통로 지상 3층 강의실, 교양과 지상 2층 강의실, NCS교육운영지원센터 지상 1층 강의실, 연결통로 인근 건물 3호관(구 본관), 2호관(구 1호관) 2011년 1학기까지 재단이름을 따서 효성관이라고 불렸었으나 후에 대학본부라고 불린다. 전에는 경영학부가 사용했으나, 2014년 2학기부터 대부분의 교양수업을 이곳에서 진행하고 있다.[4] 또, 시험기간에 전공과목 통합 시험이 있을 때도 계단 강의실 등 학생을 많이 수용할 수 있는 이곳의 강의실을 이용한다. 1층과 4층에서는 도서관 건물로 직접 통하는 구조이다. 엘리베이터가 2대 설치되어 있는데, 단순히 1층에서 4층으로 갈 목적이면 계단을 이용하거나 도서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다. 단, 아침 9시 전후로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계단이 더 빠르다. 이 건물은 10층까지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2대임에도 기다리는 데에 꽤 오래걸리기 때문. 2층부터는 화장실 쪽에 자판기와 정수기가 층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학생 휴게실이 같이 있다. 교양수업을 기다리는 학생들이 이곳에서 ���주 끼니를 때우고 있고, 무엇보다 시끄럽다. 4층에는 학생서비스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자판기 옆쪽에 ATM기기가 설치되어있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기기가 설치되어 있으니 참고하자. 특히 4층의 휴게실에 학생이 많은 편인데 앉을 곳도 많고, 로비로 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7층 강의실(실습실)은 특이하게 모든 PC가 일반적인 데스크톱이 아닌 가상PC(VDI)로 구현이 되어 있다. 시험기간에는 1층 강의실 2개를 열어준다. 5.2. 1호관(도서관)[편집] 1호관(도서관) 파일:IMG_20160609_145718_HDR-012.jpg 규모 지하2층,지상7층 용도 지상 6층 인문사회자료실 지상 5층 전자(영상)자료실, 전산소 지상 4층 연결통로, 정보검색실, 도서관사무실 지상 3층 학생서비스센터, ATM , 연결 통로, 학생휴게실 지상 2층 어문학자료실 지상 1층 열람실 인근 건물 2호관(구 1호관), 3호관(구 본관) 대학본부 옆에 존재하며 1층과 4층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5] 외부인은 4층에서 출입등록 절차를 한 후 이용이 가능하다.(신분증 제출) 1층과 6층[6]은 열람실이 있으며, 2~3층과 5~6층은 도서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5층에는 영상 자료실이라하여 여러가지 영상을 관람할 수 있고, 일정 인원 이상이면 작은 영화관을 빌릴 수 있다. 4층과 5층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5층은 그래픽SW를 이용할 수 있을 만큼 나쁘지 않다. 운영체제는 Windows7이며, 아래아 한글, 파워포인트, 엑셀등의 문서 작업 S/W부터 학교 수업시간에 다루는 Visual Studio, Adobe사의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등이 설치되어있다. 2층 서가는 인문학 등에 관한 책들이 있고, 3층 서가는 기술과학 등, 6층 서가는 철학과 관련된 책들이 있다. 도서관 곳곳에 비치된 PC를 이용해 소장중인 책들을 찾아볼 수 있다. 소장 중인 책이 꽤 많으니 필요한 책이 있다면 반드시 들러보자. 서가에 없는 책이더라도 신청하면 거의 다 받아주어 서가에 도서를 구비해준다. 라이트노벨류도 받아준다. 최근 오버로드 전권이 들어왔다. 특전도 몇 개 있었는데...도서 검색 페이지 2층 서가와 3층 서가에는 스터디 룸이 있는데, 이곳은 미리 예약을 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스터디 그룹에 속해있거나 시험기간에 단체로 공부할 생각이면 이곳을 이용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신청은 학교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도서관 시설물 예약 페이지 다만, 앞서 누가 신청했으면 신청이 불가능하며, 당일을 포함하여 7일 이내의 날짜에서만 예약할 수 있다. 또, 한 사람이 3시간 이상 예약할 수도 없으니 유의하자. 토요일을 포함한 휴일에는 예약이 불가능하다. 자신의 예약시간이 아니더라도 비어있다면 들어가서 하다가 예약자가 나타났을 때 비켜주어도 된다. 제1, 2열람실 기준으로 평상시에는 8시부터 22시까지 개방하고, 2~6층은 9시부터 21까지 개방한다. 다만, 시험기간에는 제1, 2열람실에 한해서 24시간 개방한다. 그러나 시험 기간이 도서관 이용률이 가장 높은 시기라서.... 시험기간은 정말 사람이 많다. 미어 터진다. 5층,6층도 이 기간에는 복도까지 시끌벅적하다. 열람실과 정보 열람실의 자리는 평상시에는 그냥 들어가서 남는 자리에 앉으면 되지만 시험 기간에는 학생증으로 미리 예약한 뒤 자리를 쓸 수 있다. 2014년 2학기 기말고사부터 06시~24시까지 가능하다. 시간대가 시간대다 보니 많이 괜찮아진 모습을 보인다. 여담인데, 시험기간마다 제1, 2열람실 앞 자판기 채우는 장면을 보면 핫식스가 ���르게 매진되어 핫식스만 계속 채워넣는 장면을 볼 수 있다. 5.3. 2호관[편집] 2호관(구 1호관) 파일:IMG_20160609_145927_HDR-014.jpg 규모 지하2층,지상7층 용도 지상 7층 교수연구실 지상 6층 교수연구실 지상 5층 교수연구실 지상 4층 교수학습개발센터, 본관 연결통로 지상 3층 경영학부, 전산실습실 지상 2층 전산실습실, 강의실 지상 1층 전산실습실 지하 1층 강의실 지하 2층 강의실 인근 건물 3호관(구 본관), 1호관(구 대학본부 및 도서관) 정문을 올라와 볼 수 있는 곳은 1층이라 생각되지만 얕은 언덕 때문에 사실 3층이다.[7] 예전에는 교양 수업이 이루어지는 건물이었으나, 2014년 2학기부터 교양수업은 대학본부에서 진행한다. 대신, 대학본부를 사용하던 경영학부가 이제 2호관을 사용한다. 14학번까지는 다시 한 번 가보면 적응 안 될 곳이기도 한다. 예전의 칙칙한 그 분위기와는 다르게 연두색으로 디자인 해놓았으며, 기존에 평범한 강의실이 전산실이 되어있기도 하다. 지하 2층부터 7층까지 있는데, 엘리베이터는 지하 1층부터 7층까지만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2014년 2학기에도 이곳에서 교양 수업이 이루어지기는 한다. 취업과 진로라는 교양 과목인데, 이곳 지하 2층에서 진행한다. 본부로 옮겨졌는데 왜 여기서 수업이 진행되는지는 불명 4층과 5층을 잇는 계단에서 본관 건물로 이동하는 통로가 있다. 7층에서 교수 개인실을 조심조심히 지나가면 안양천의 탁 트인 전망을 볼 수 있는 장소가 있다. 생각보다 학생들은 잘 모르고, 바람 쐬기 좋아 교수님들과 얼굴 붉힐 관계가 아니면 가볼만하다. 경영학과에서 쓰는 사무실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계공학부, 로봇자동화공학부 교수실이 7층에 존재한다. 교수님을 만나러 가려면 4호관-3호관-2호관 코스를 추천한다. 2호관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많은 내용 추가 바람. 5.4. 3호관[편집] 3호관(구 본관) 파일:IMG_20160609_150206_HDR-016.jpg 규모 지상1층,지상5층 용도 지상 5층 실습실 및 강의실, 동아리방(전산정보학부) 지상 4층 전기전자통신공학부 학부사무실, 교수연구실, 강의실 지상 3층 실습실, 동아리방(전기전자통신공학부) 지상 2층 전산정보학부 학부사무실, 실습실, 교수연구실, 서버실 지상 1층 카페 153, 커뮤니티실, 보건실, 회의실, 학회실 인근 건물 2호관, 4호관, 5호관 특이 사항 승강기 없음 5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전자통신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 경영학부, 건축과 일부가 나눠서 사용중이다. 커피 자판기와 정수기는 각 층(일부 층 제외)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3호관에서 2호관과 4호관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금연구역이고 문에도 금연구역 스티커가 붙어있다. 2014년에 3호관 입구쪽이 금연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층 : 반 계단식 강의실과 학생회실, 카페153, 커뮤니티실이 존재한다. 보건실도 여기에 있다. 2015년 5월 이후 카페가 생겼는데, 교내 카페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맛이 좋고 저렴하다. 포인트를 모아 음료를 무료로 마실 수 있다. 2층 : 전산정보학부 학부사무실이 존재하며 전산학부 교수 연구실과 실습 강의실이 있다. 전산학부에 있는 PC인만큼 사양은 좋은 편. 맥킨토시만 있는 맥 강의실도 존재한다. 자판기[8] 및 정수기가 존재한다. 또한 로비가 있어 학생들이 자장면같은 음식물을 시켜먹는데 수업도중 종종 음식냄새가 강의실로 들어오기도 한다. 2층과 3층 사이, 3층과 4층 사이의 한 ��에 사물함이 존재한다. (매 학기 개강시마다 학부 홈페이지 혹은 전산정보학부 카페에서 대여한다. 보증금은 1만원이며, 학기 종료후 반납시 1만원도 돌려준다.) 2층의 가장 우측편 방에는 서버실도 존재하며, 2층을 통하여 2호관 및 4호관으로 쉽게 건너다닐 수 있다. 3층 :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전공동아리의 동아리방과 실습실이 존재. 중앙 계단으로 올라가면 T자형으로 갈라지는데, 좌측 강의실은 전기전자통신 공학부 실습실이며, 우측은 경영학부/건축과 실습실이 존재한다. 건축의 경우 14년도에 3호관이 새로 지어지면서 옮겼는지는 추가바람. 실습실 컴퓨터를 전면 교체한 뒤로, 학교컴치고는 상당한 성능을 보여준다. 5층 : 좌측에 Network 실습실 및 전기전자통신공학부 통합 실습실, 전산정보학부의 전공동아리방이 있고, 우측에 일부 교양과목과 전기전자통신공학부의 전공수업을 진행하는 강의실이 있다. 이중 가장 구석에 있는 강의실은 수업이 1주일에 한번 수준으로 정말 적은 사실상 빈 교실이기 때문에, 간혹 교실이 필요할 경우 쓰기에 좋다. 물론, 근로장학생에게 허락은 받아야 한다. - 통합실습실의 경우 Oscilloscope, DC Power Supply, Function Generator, DMM상시 비치. 3호관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많은 내용 추가바람. 5.5. 4호관[편집] 4호관 (구 2호관) 파일:map-sub-05.jpg 규모 지하1층,지상6층 용도 지상 6층 동아리실 지상 5층 실습실 지상 4층 실습실 지상 3층 생명화공과, 실습실 지상 2층 기계공학부, 로봇자동화공학부 지상 1층 실습실, 샤워실 지하 1층 실습실 인근 건물 3호관(구 1호관), 6호관(구 3호관),8호관(복지시설) 기계, 로봇자동화, 화공과 학생들이 주로 실습수업을 듣는 곳. 6층 옥상에는 컨테이너로 만들어진 취미 동아리실들이 있는데 너무 높아서 4호관 학생들 아니면 잘 안오려 한다. 몇년 전에 에어컨이 새로 장착되었다. 3호관과 연결되는 통로가 있다. 엘리베이터가 없다. 지하부터 5층까지 각종 실습실들이 있고, 이론 강의는 새로 생긴 6호관에 강의실이 많아 6호관에서도 많이 진행한다.심심한 학생들이 와서 자주 탁구를 친다. 지하 3층은 지하 2층과 연결되어있으므로 참고하자. 기계 전공동아리 5층 스페이스 A+ 4층 메카니카 - 기계 명문동아리, 기계 성적우수자 다수포진, 부원모집도 성의있음. 로봇자동화 전공동아리 - 기계, 전기, 프로그램을 교육하는 학과 답게 해마다 우수한 퀄리티를 가지는 로봇을 제작하며, 해마다 국내 유명대회 순위권 입상과 코엑스에서 진행하는 학교 졸업작품전은 로봇자동화공학부에서 쓸어가는편 해마다 쓸어가는 상금으로 인해 각 동아리가 부유한편. 5층 MAS - 2017년 프로젝트 : BCI기반 완구 MCA - 2017년 프로젝트 : 어디로든지 손 4층 SMART - 2017년 프로젝트 : 인공지능 기반의 아기돌봄 로봇 시스템 MOAS - 2017년 프로젝트 : 움직이는 광고판 MMI - 2017년 프로젝트 : 난민을 위한 치안목걸이 [교회다니는 학우들에게 추천합니다.] UR - 2017년 프로젝트 : 다기능 소규모 자동화 설비 *동아리를 고민하는 후배들이여 전공 동아리가 과거에 어떠했는지 그런것을 적어봐야 여러���에게 아무이점 없다는 것을 알기에 저는 알기에 여러분이 잘못된 선택을하여 전공동아리에 실망하지 않기위해 이런 글을 남깁니다. 1. 전공동아리의 긴 역사와 많은 상장 필요 없습니다. (여러분과 아무런 관계 없습니다. 전문대라 기술 그런거 하나도 안남습니다.) - 여러분이 입부할 시기에 함께할 팀원의 능력과 의지가 더 중요합니다. 2. 전공동아리의 대표학생이 성실하고 부지런해보이면 지원하세요. - 전공동아리의 성과는 교수님이 주시는 것이 아닙니다. 동아리 학생대표의 능력이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3. 전공동아리 선배들의 학점은 전공동아리의 성과와 전혀 무관합니다. - 학점이 높은놈은 지 성적만 챙기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믿지마세요 학점 높은놈들(4.3이상) 다 [버스 승객]입니다. 동아리의 위기때 동아리보다 보통 지 성적만 챙깁니다. 제발 선배의 인성을 보세요. 학점자랑하는 선배를 절대로 믿지마세요! 4. 성적이 낮아도 전공동아리에서 하드캐리하고 성적 높은놈들 실력으로 다 박살낼 수 있습니다. - 본인의 성적이 낮아도 의지충만하면 지원하세요. 화공과 4호관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많은 내용 추가바람. 5.6. 5호관[편집] 구내서점 겸 문구점이 8호관(구 3호관)으로 가버리고 학생식당 역시 업체가 바뀌고 모두 개편되어 5호관(구 복지관) 내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끽해야 있는건 ATM기 정도인데, 이것 역시 국민은행 동양미래대점이 8호관(구 3호관) 지하에 입점해서… 2018년, 신설된 식품공학과에서 발효식품을 만들고 있다. 5.7. 6호관[편집] 6호관(구 3호관) 파일:bjfks82312821.png 규모 지하3층,지상5층 용도 지상 5층 교수연구실 지상 4층 강의실 지상 3층 강의실 지상 2층 시각정보디자인과, 실내환경디자인과 지상 1층 갤러리, 강의실 지하 1층 이벤트홀, 강의실 지하 2층 동양미디어, 인쇄실 지하 3층 강당, 휘트니스센터 인근 건물 3호관(구 본관), 1호관(구 대학본부 및 도서관) 지하 3층에 체육시설이 있으며 지상 1층부터 많은 강의실이 있으나 기존 건물에서 대부분 과목의 수업이 진행되어 사실 빈 강의실이 많다. 그래서 공강인 학생들이 빈 강의실에 와서 잠을 자거나 시험기간에 자습을 하곤 한다. (하지만 대부분이 잠겨있어 빈 강의실 찾기가 쉽지않다.) 휘트니스 센터같은 경우 학교 학생들만 유료로 이용 가능하나 텅 비어있는걸로 보아 학생들은 잘 모르는운동을 안 하는듯 하다. 5.8. 7호관[편집] 7호관(구 5호관) 파일:bjfks823821.png 규모 지하1층,지상5층 용도 지상 5층 실습실, 동아리실 지상 4층 강의실, 설계실, 동아리실 지상 3층 건축과, 교수연구실 지상 2층 강의실, 설계실 지상 1층 전산실습실 지하 1층 실습실 인근 건물 6호관(구 3호관) 건축과, 실내환경디자인과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 안에 나선형 계단도 있다. 사실 6호관에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 편. 본부와 꽤나 멀리 떨어져있다. 디자인과나 건축과가 아닌 학생은 처음 가면 "우와~ 우리학교에 이런 곳도 있었네?"하는 곳. 여기에도 후문이 하나 더 있다. 1학년이 되고 처음 강의를 들을 때 '우리가 공부하는 이 건물은 '건축'이 아니라 '건물' 에 불과하다.' 라는 말을 교수님에 의해서 접할 수 있다. 이 말의 의미에 대해서는 수업을 들으면 알게 된다. 7호관의 외장벽은 붉은 벽돌이 창문 사이사이에 있는데 이 벽돌들은 치장벽��다. 그리고 너무 멀다. 그리고 겨울엔 의외로 지하1층 실습실의 히터가 제일 빵빵하다. 그 다음으로 따듯한곳은 화장실...의외의 장소가 제일 따듯하다. 7호관 자체에는 엘리베이터가 없지만 6호관 건물과 서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6호관 끝 층인 5층에서 내리면 7호관 2.5층에 연결되어있다. 마찬가지로 6호관 4층은 7호관 1.5층, 6호관 3층은 7호관 0.5층으로 6호관 2층부터는 연결되어있지 않다. 5.9. 8호관[편집] 8호관(신설) 파일:11261682.jpg 규모 지하1층,지상3층,잔디구장 용도 지상 3층 학생식당, 교직원식당, 카페 지상 2층 모닝글로리, 교내서점 지상 1층 편의점(CU), KB국민은행, 카페, Subway 지하 1층 주차장 인근 건물 6호관, 7호관, 복지관 학생 식당 지상 3층 - 푸드코트 그나마 몇 안되는 건물들 중에서 가장 늦게 지어진 건물. 그래서 그런지 시설도 꽤 좋고 깔끔하다. 생활환경공학부, 기계자동화공학부가 사용하며 대부분이 강의실, 실습실, 교수 연구실로 채워져 있다… 였지만 운동장 공사가 끝나면서 지하 1, 2, 3층에 새로운 학생식당과 편의시설 등이 들어와 있다. 교내 대강당 역시 지하 3층에 존재하지만 통로가 막혀있어 바로 진입할 순 없다. KT기준으로 데이터를 못잡는곳이 종종 있다. 6. 설치 학과[편집] 기계공학부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로봇자동화공학부 자동화공학과 로봇공학과 전기전자통신공학부 전기공학과 정보전자공학과 반도체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부 컴퓨터정보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생활환경공학부 생명화학공학과 식품공학과 건축학과 실내환경디자인과 시각정보디자인과 경영학부 경영학과 유통마케팅학과 세무회계학과 관광컨벤션학과 경영정보학과 전공심화과정 기계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자동화공학과 전기공학과 정보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건축학과 실내환경디자인과 경영학과 7. 등록금[편집] 계열 입학금 2013 2014 2015 2016 인문사회계열 820,000원 0원 6,060,000원 동결 동결 예체능계열 820,000원 7,300,000원 동결 동결 동결 공학��열 820,000원 6,640,000원 동결 동결 동결 파일:Untitled-3524122.png 전문대학교 등록금 순위 (2015년 기준) 9위 출처 8. 주변 시설[편집] 음식점, 주점, 편의점, 노래방 등등 각종 편의시설들이 많아 주변 대학 거리들 중에서 유일하게 대학가라고 할 수 있을만한 곳이다. 고척교로 안양천을 넘어가면 롯데마트가 있다. 귀찮아서 가는 사람을 찾기가 힘들다. 하지만 메뉴도 제법 다양하며, 학교 사람과 마주치지 않고 싶을때, 혼밥을 하고 싶을때 추천한다. 안양천 부지에 넓은 운동장이 많아서 여기서도 축구등을 즐길 수 있다. 주변에 식당가가 많아 학식을 먹지 않고 주변 음식점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학생이 많다. 주로, 한솥, 지지고, 알쭈, 봉구스 밥버거, 돈발해, 토마토김밥 등 3,000~5,000원 사이로 먹을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편이다. 롯데리아, 피자스쿨, 순대타운(순대국집, 근데 보통 뼈해장국을 먹는다. 깨끗한 편은 아니다), 봉채국수(국수집이지만 볶음밥이 더 맛있다) 및 다수의 중국집 존재 (순대타운 건너편의 전가복만 군만두를 서비스로 준다. 짜장면은 반드시 여기서 먹어야한다. 또한 여기 칠리탕수육이 명물이니 꼭 먹어보길 바란다.). 대국은 만포 순대국이 괜찮다. 좀 비싼데 순대타운에서 좌측에는 오리고기집이 존재하는데, 이곳에서 학생메뉴가 500원 할인되며, 부대찌개를 주문할 경우, 아주 신박하게 많이 넣어주시니 강력 추천한다. 뒷쪽으로 갈수록 시장골목이 등장하며, 토마토를 지나서 조금더 가면 통통김밥이 존재하는데, 돈까스 정식 5,000원 메뉴를 시킬 경우, 아주 푸짐하게 나와서 먹다가 기겁할 수도 있다. 통통김밥의 건너편에는 국수나무 가 존재하는데, 가격은 4,500 ~ 8,000 정도 선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며, 맛은 보장한다. 여름 특별메뉴로 냉국수가 있다. 국수나무의 좌측에는 굿짜장이 존재한다. 국수나무의 우측에는 피자마루가 존재하는데, 점보피자(XXL)를 주문할 경우, 정말 크고 강력한 피자가 나온다. 많이 먹는 사람도 보통 2~3조각이면 배부르다. (가끔 비정상적인 경우 4조각까지도 먹는 거 봤다... 대단하다) 학교 주변에 GS25, 세븐일레븐이 입점해있다. 또, IGA Mart라는 편의점도 입점해있다. Buy the way가 세븐일레븐에 인수됨에 따라 세븐 일레븐이 2군데 존재한다. 제과점으로는 뚜레쥬르가 입점해 있으며, 카페는 이디야, 카페베네 등이 입점해있다. 조금 더 걸어가면 GS25가 하나 더 있으며, 파리바게트도 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상가들이 입점해 있으며 바로 앞엔 국내 최초의 돔구장인 고척동 돔 야구장이 건설이 되었다. 돔구장 때문에 학교로 가는 교통이 조금 편해졌다.(물론 야구끝나는 시간엔 헬이다.) 근처의 상권도 늘어나는 유동인구에 맞춰 커질 확률이 많다. 다만 점심시간이 되면 좁은 인도에 비해 다니는 사람은 많으므로 차도로 다니는 학생들이 많아진다. 또한 횡단보도는 있지만 신호도 딱히 없고 도로폭이 좁은편이라 대부분 그냥 차도를 건너 다닌다. 이곳을 지나다니는 차들과 구로06 버스덕분에 점심시간에는 클락션 빵빵거리는 소리를 자주 들을 수 있다. 3호관 확장 공사를 통하여 맘스터치 옆에 출구가 하나 생겨서 2,3호관에서 식당가쪽으로 가는 시간이 많이 줄어들었다.이쪽으로 통해서 나갈 시 국민은행 atm기가 있으니 식당가쪽에 볼 일이 있을 때 현금이 필요하다면 이쪽을 통해 나가는 것이 좋다. 학교 5호관과 6호관 사이의 쪽문으로 나가면 주택가가 나오는데, 이 문으로 나가 처음으로 만나는 골목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꺾어 계속 내려가다보면 '시골집'이라는 가정식 식당이 나온다. 5000원을 내면 백반을 먹을 수 있는데 제육볶음, 콩나물국, 동그랑땡, 계란말이 등이 기본 찬으로 나온다. 게다가 무한리필이라 값싼가격으로 상당히 푸짐하게 먹을 수 있고, 맛도 좋은 편이다. 8.1. 상가 현황[편집] CU - 지하 3층 대학가쪽 입구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복지관에 있었던 매점을 대신해 각종 군것질거리를 팔며 학우들의 주린 배를 채워주고 있다. 모닝글로리 - 지하 2층에 위치해 있으며 복지관��� 문구점을 대체하고 있다. 두꺼운 노란색 100장 레포트용지가 2,400원이라는 괜찮은 가격을 보여주는 중. 어째 문구점이면서 이거저거 다판다, 베게라던지 커피포트라던지… 구내서점 - 모닝글로리 바로 옆에 위치해있는 서점. 각종 전공서적들을 팔고 있다. 국민은행 - 지하 3층에 위치. 은행 입구 바로 앞에 국민은행 ATM기 2대가 놓여있으니 필요하신 학우분은 참고바람. 카페 153 - 3호관 1층 커뮤니티 맞은 편에 위치한다. 수제쿠키가 맛있으니 꼭 사먹어 보도록 하자! 디저트카페 다담누리 - 지하 1층 학생식당 안쪽에 위치한 카페. 이름답게 각종 디저트류와 커피, 생과일 주스 등을 팔고 있으며 학생증이 있을 경우 전 메뉴 500원 할인을 해주니 갈땐 꼭 학생증을 지참하고 가자. 학생식당 - 지하 1층에 위치하여 복지관의 학생식당을 대신하고 있다. 전의 식당과 비교하여 메뉴의 가짓수가 매우 늘어났으며 시설 역시 크고 아름다워졌다. 음식의 퀄리티도 수직상승하여 전의 학생식당과 비교하기 미안해질 정도로 좋아졌다. 그러나 인기있는 메뉴 (특히 돈까스류)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흠이 있으며 가격 역시 학식의 기준으로 볼때 비싸졌다. (돈까스 4,300원, 부추삼겹 4,500원 등 전반적으로 4,000원대의 가격을 보여주고 있다.) 2016년 10월, 몇몇 신메뉴가 추가됨과 동시에 가격이 올랐다. 특히 나름 인기메뉴였던 부추삼겹이 4,800원이 되어 안그래도 가성비 별로였던 메뉴가 더 안좋아졌다. 그런데 이거 아직도 있는지 모르겠다. 이거보고 부추삼겹 찾았는데 결국 메뉴에 없었다. 그리고 학식 맛없다. 6호관과 이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층수를 두고 6호관과 상가쪽의 엘리베이터의 층이 달라 괴리감이 든다 국민은행, CU가 있는곳이 B3인 안습한상황. 1학년 신입생들은 먹겠는데 나같으면 안먹는다 차라리 그 가격이면 나가서 먹음. 학교 근처라 대부분의 메뉴가 5000원 안팎이라 학식과 큰 차이가 없으면서 맛과 양에선 차이가 나기 때문. 특히 김치 짜글이는 정말 맵고 짜다. 밥 세공기랑 같이 먹는 사람도 있긴 하다. 그나마 나은 건 우동류. 서브웨이(Subway) - 2018.3 초 지하 3층 입구 좌측으로 입점하였으며, 매장이 꽤 넓은 편이다. 피크 시간대에는 대기 시간이 좀 긴 편이다. 점심시간쯤인 11시부터 12시까지 사람들이 많이 몰려있다. (꼭 먹고싶은 사람이 있다면 아침9시 혹은 오후 2시쯤 방문하면 보통 사람이 빠져있으니 참조하길 바란다.) 오픈뽕 다 빠지고 진짜 섭크리트들만 남았다. 피크타임에도 10분 내외로 주문 가능 9. 대학 생활[편집] 9.1. 수강신청[편집] 수강신청 때면 학교 이름을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올리거나, 서버 시간을 확인해주는 사이트 서버를 마비시켜버리는 경우도 있다. 흔히 꿀교양이라 하여 수강 신청이 몰리는 과목이 있는데, 괜히 관심 없는 분야의 교양을 들어보거나 하면 진정 헬 게이트가 열린다. 특히 대부분의 과목이 상대평가 방식의 채점이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 1학년 1학기 때에도 전공 및 교양 필수 과목이 없거나 적은 관계로 시간표를 정해져 있는 전공과목을 토대로 나름 자유롭게 짤 수 있다. 하지만 15학점 이상 수강신청해야 하며, 24학점까지 신청할 수 있는 관계로 거의 대부분의 학생이 20~24학점을 듣는다. 왜? 졸업학점이 높기 때문...[9]졸업학기에 고생하고 싶지 않으면 2학년 1학기까지 최소 64학점 이상을 들어놓기를 추천한다. 졸업학기에는 취업준비와 더불어 졸업작품으로 바쁜 시기인데 수업마저 20학점이상 듣는다면 매우 고달프기 때문이다. 보통 졸업학기에는 12~16학점을 듣는것이 이상적이다. 그 이상이 되면 조금 부담스러워 진다. 내가 이글보고 모든 전공선택 과목 들었는데. 후회할 수도 있다. 전공선택은 필수가 아니다. 관심있거나 흥미있거나.. 그런 전공 선택 위주로 하자. * 2018/09 기준 개설되어 있는 교양 과목. (본 대학을 다닌 위키러나 다니는 위키러들의 후기가 필요하다.) [10] [11] DIP (동양실천인성) : 교양 필수 NCS 직업기초능력 : 교양 필수 DFS (동양건강체육) : 교양 필수 대화의기법 초급영작문 영어발음클리닉 취업영어 중급영어회화 영어듣기 영어회화 기초일본어회화 한자의 이해 된사람만들기 15주프로젝트 인성과 리더십 긍정마인드와 행복 직업인의 인성과 태도 조직이해와 자원관리 직업윤리와 자기개발 생활스포츠 레크리에이션과 여가생활 싱글라이프의 건강노하우 웰니스와 미래건강 백세시대의 부자학 영화와 음악 예술과 인성 *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양과목 공업수학 2 : 영어로만 진행. (내국인 학생의 경우 영어가 능숙한 학생만 신청 바람. 영어로만 수업 진행됨.) 물리학 1 : 영어로만 진행. (내국인 학생의 경우 영어가 능숙한 학생만 신청 바람. 영어로만 수업 진행됨.) 일반화학 및 실험 2 : 영어로만 진행. (내국인 학생의 경우 영어가 능숙한 학생만 신청 바람. 영어로만 수업 진행됨.) 미적분학 2 : 영어로만 진행. (내국인 학생의 경우 영어가 능숙한 학생만 신청 바람. 영어로만 수업 진행됨.) C프로그래밍 9.2. 서울권역 e-러닝 학점교류[편집] 인터넷으로 수강하는 교양과목으로서 이름 그대로 서울권에 있는 다양한 학교 학생들과 동시에 강의를 듣는다. 따라서 교수진도 학교별로 다양한 편이다. 한양대학교 학점교류에서 2018년부터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OCU) 학점교류로 변경되었으며 한양대학교 학점교류는 재수강만 가능하다. 동양미래대학의 경우 2학년부터 수강할 수 있다. 성적의 경우 성적평가 방식이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바뀌어 동양미래대학 내에서 해당 강의를 듣는 학생끼리 성적평가가 된다. 다만 중간, 기말 역시 주말에 인터넷으로 본다는 점이 있어서 인터넷 과목의 인기는 나름 좋다고 할 수 있으며 특정 과목의 경우 시험, 과제에 있어서 가혹할 정도의 난이도를 자랑하니 주의하도록 하자. 9.3. 점심 시간[편집] 점심시간이 되면, 학식보다는 나가서 끼니를 때우는 경우도 많다. 위의 주변 시설에서 서술했지만, 적당히 싸면서 먹을 곳이 많기 때문. 다만, 먹을 곳이 많아도 12시~1시는 언제나 피크타임이며, 얼마 지나면 이곳 저곳 다 가보기 때문에 '먹을 게 없다'는 소리가 나오기 마련이다. 다시 말하면, 먹을 곳은 많아도 특별히 '맛집'이라고 예찬할 정도의 집이 있는 것은 아니다. + K모 분식집 맛있다. 가성비 오진다. 기계과 학생들 중 유사 간판 분식집을 '찐마토'로, 이 분식집을 '짭마토'로 칭하는 사람들도 있다. (근데 찐보다 짭이 훨 맛있다.) 또 피크 시간대에는 학교 주변 음식점이 대부분 꽉차는데, 이 때문에 신학기에 신입생 무리들이 식사할 곳을 정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다. 3호관 지하나 본관 로비, 본부의 휴게실 등에 배달이 자주온다. 주 메뉴는 중국 요리나 냉면과 같은 것들. 나가기에 너무 덥거나 추울 때 이용하면 딱 좋다. 다만 비오는 날에는 미리 주문하지 않으면 점심시간이 끝날때 쯤에 오거나 점심시간이 지나도 안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바람. 그릇은 그 자리에 두고 가면 보통 나중에 회수해 간다. 중, 석식 시간 즈음해서 음악 방송을 해주는 경우가 있다. 생각 보다 듣는 학생이 있는 편. 다만, 길게 하는 것은 아니고 잠깐동안 짧게 진행한다. 그 시간대에 수업이 있기도 하니까 어찌 보면 당연한 일. 9.4. 기타 대학 생활 관련[편집] OT나 MT등에서 술 강요 와 같은 악습이 거의 없는 편이다.[12] 앵간한 공과계열은 여학생 없으니까 성비 물어보지 말자. 그냥 군대라고 생각해라. 16년 17년에 와서는 40명중 4명 정도로 여학생이 입학한다. 40명중 4명, 10%의 극악성비 경영학부와 디자인학부, 컴퓨터공학부나 정보통신공학과는 다르다. 한 반에 30%는 여자다 컴퓨터공학부로 와라 금요일 밤 9시가 넘은 시간에 학교 앞 버스 정류장에 가보면 친구에게 매달려 비틀거리는 학생을 한두명 정도 볼 수 있다. 보기에도 좋지 않고 본인도 힘들 뿐이니 언제나 술은 적당히 마시는 습관을 기르자. 학교 대부분이 금연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흡연자라면 흡연 구역을 숙지하여 흡연하도록 하자. 2016년에는 정문 앞에 흡연 부스가 신설되었다. 가끔가다 1층까지 내려갔다 오기 귀찮은 학생들이 건물과 건물사이의 통로에서 담배를 피는데 신고를 받고 구청직원이 출동해 벌금을 무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마다 학교에서는 공문을 붙이고 한동안은 잠잠해지지만 시간이 지나면 또 금연구역에서 피는 학생들이 생긴다. 담배는 흡연구역에서 피자. 학교 앞 삼거리의 보행자 신호등이 순서대로가 아니라 동시에 녹색으�� 변한다.녹색으로 변하기전에 전부 운전자 신호등이 빨간색으로 변하는데 정시 2~3분전에는 보행자 신호등이 빨간색인데도 불구하고 한명이 스타트를 끊으면 녹색인 마냥 우루루 지나간다. 학과마다 전공동아리가 존재하는데 가입하는 걸 매우 추천한다. 처음 학교에 입학하여 어리둥절할 때 술과 함께학교 적응도 쉽게 할 수 있고 동아리에서 주관하는 튜터링을 통해 학습능력을 신장할 수도 있다. 대외상도 많이 수상하는 편이므로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한줄 넣고 싶다는 학우들에게 추천한다. 또 전문대라는 특성상 선배와 교류할 기회가 거의 없는데, 전공동아리에 들어간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입생이라면, OT와 전공수업시간에 선배들이 전공동아리 홍보하러오니, 이 때 주의 깊게 듣고 기억했다가 꼭 지원하길 바란다. 면접을 빡세게 하는 동아리도 있으니 준비는 단단히 하길 바란다. 하지만 전공동아리인만큼 시간을 많이 할애해야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타과의 전공도 신청하여 들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고, 신중하게 생각해서 지원하길 바란다.참고로 취미동아리들은 4호관 6층에 포진되어 있고, 전공동아리들은 보통 학과사무실에 있는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다만 면접이라고 해도 안빡센데도 있으니 당연히 시도해도 무난하다. 김포공항으로부터 오는 비행기들이 자주 날아오기 때문에 학교에 있다 보면 비행기 소음을 자주 접할 수 있다. 비행기가 꽤 낮게 캠퍼스를 가로지르기 때문에 처음보는 사람들의 경우 넋을 놓고 바라보게 된다. 의외로 학교가 24시간 개방을 하지 않는다.시험기간에는 24시까지 개방하고, 보통 23시에 정문을 닫는다. 로봇자동화부에는 창의적공학과제(이하 '창공')라는 전공 필수과목이 존재하는데, 보통 4명이 한팀이 되어 1학년 2학기부터 2학년 2학기는 로봇을 직접 설계 하여 제작하고 경진대회를 열어 수상 성적에 따라 학점을 부여하는 방식이다.1학년 2학기의 과제는 대체로 쉬운 편이나, 2학년 부터는 굉장히 빡센 처음부터 굉장히 완벽하게 하지 않으면, 설계-> 제작-> 수정 ->제작-> 수정->제작-> 수정....을 거의 밥먹듯이 한다. 과목이다.혹시 로봇자동화부에 지원 하실 고등학생분들은 이글을 보고있다면 진심으로 창공을 고려해서 지원해야 한다. 전공필수라서 수강신청을 안할 수도 없고, 특히 남학생들의 경우 학기중에 군대라도 가게 된다면 나머지 팀원들이 고통 받는다.또한 2학년 2학기 까지는 모든팀이 4명으로 구성되므로 팀원수가 모자라다면 팀을 못구한 학생들을 교수님들이 붙여 주시는데, 잘못만나면 정말 개고생한다.(물론 팀플과제가 대부분 그렇긴 하다.)하지만 노력한 만큼의 결과가 나온다면 뿌듯하기도 하고,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뭔가 적어 넣을게 많아진다.로봇자동화부가 취업이 잘된다고 교수님들이 창공OT 때 말씀해 주시는 이유중에 하나 이기도 하다.(로봇자동화공학부가 취업이 잘되는 것은 사실이나 힘들다. 타학과 상위 고학점, 고능력자들이 현실을 직시하고 로봇자동화공학부로 전과를 하는 경우가 많음.) 10. 기타[편집] 2년제 학과를 3년제로 개편하는 움직임이 보인다. 10.1. 장점[편집] 서울 시내에 위치한다는 점과 교통이 편리하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또 후진적 문화를 가진 일부 대학과 달리 체육대회 및 MT가 자율이다. 대기업 관리직 목표시 학점 3.8이 넘고 자격증 및 토익 취득시 대기업 관리직에 갈 확률이 높아진다. 만약 토익이 없더라도 자격증이 있다면 중소기업 관리직이나 중견기업 생산직은 거뜬히 갈 수 있다. 다만 그렇다고 효성그룹에 막 입사해주진 않는다. 또한 2012년 기준 수도권 전문대학(졸업자 2,000명 이상, 가 그룹) 중에서는 취업률이 1위이다. 전국을 기준으로 하면 2012년에는 영진전문대학에 밀려 2위다.관련 기사물론 취업��� 있어서 취업률보다는 취업의 질이 좋냐 나쁘냐도 큰 요소이기 때문에 아주 큰 의미는 없지만 적어도 취직 자체는 보장한다고 보면 편하다.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그리고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무시험 편입학 협약이 체결돼있다. 2012년부터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구 충주캠퍼스)에서도 실시한다. 당 학교의 등록금에 비해 값싼 전문대학 등록금을 내다가 일정 이상의 요건만 충족시키면 편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위 지방 캠퍼스의 경우 대부분의 입결이 동양미래대보다는 일정 부분에서 높기 때문에 낮은 성적으로 동양미래대학에 입학했다가 편입 요건을 만족시키고 편입을 하는 학생도 있다. 산기대도 나쁘진 않은데 당연히 요건만 된다면 바로 편입이 가능하다. 도서관 시설은 (쟁탈전까진 아니지만) 시험기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항상 도서관/열람실엔 공부하는 사람들로 차 있는 수준.(고정된 인물들이 많은 것은 함정) 그래도 시험기간이 아니라면 자리는 항상 있다. 어학시험응시료를 지원해 주고 있다. 토익의 경우 300점만 넘으면 된다. 전과가 매우 쉽다. 지원자가 적은편. 개별 냉난방으로 냉난방에 부족함을 느끼지 않는다. 학교에 와이파이가 잘 터진다. (와이파이 사용시 학교 계정 필수) 뭐라고 이자식아?! 서버가 잘 터집니다! 1호관 제외.. 윈도우 10을 쓴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를 사용해서 접속하자. 처음 인증 페이지에서 웹 페이지 더 탐색하기를 선택하면 된다. 교육부의 전문대 육성사업에 특성화 전문대학으로 선정되었고, 취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위기와 맞물려 2013년 대비 2014년 지원율이 27%. 30% 가까이 늘어났다. 10.2. 단점[편집] 캠퍼스가 매우 좁았다. 일반적인 고등학교 2~3개를 합친 것과 비슷할 정도. 다만 지금은 계속 관을 만들고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 4개 정도를 합찬 정도라고 봐야한다. 인하공전과 비교해보면 실로 차이가 크다. 원래 낡은 동양공업고등학교의 건물을 사용했으나 이 건물은 허물고 없고 새 건물이 들어섰다. 덤으로 부족한 학교 부지를 최대한 활용하여 지하 체육관까지 신축했다. 2호관의 경우 지하 2층에서 수업을 하는 경우 말은 지하 2층이지만 건물입구가 3층에 있기에 체감상 지하 5층에서 수업을 듣는 것처럼 느껴진다. 다만 좁다고 해서 안 좋다는 말과 반드시 동의어는 아니다. 고척동 근처에서 오래 산 위키러로서 가끔씩 동양미래대학 내 은행, 식당 등을 방문하는데, 이렇게 좁은 공간도 이렇게 활용할 수가 있구나 하고 감탄이 나올정도로 건물을 잘 지었다. 그리고 항상 새로운 건물이 올라가고 있다. 면적 자체가 적은 것은 분명히 사실이지만 그 작은 면적 내에서 최대한 건물을 지어서 불편함 없게끔 필요한 모든 시설은 다 있다. 그리고 건물과 교실 시설도 새것이라서 아주 좋아보인다. 작성자가 동양미래대학 학생이 아니고 주변 거주인이라서 최대한 객관적으로 적었다. 옆에 있는 고척돔에서 야구나 콘서트라도 있는 날에는 교통이 매우 혼잡스럽다. 게다가 고척돔에서 나온 사람들이 화장실을 찾아 학교안으로 무리를 지어서 들어오기 때문에 학생들이 불편을 겪기도 한다. 고척돔 내에 식당가가 생긴 이후로는 그나마 조금 나아졌다.고척돔에 자리없으면 식당가로 사람들이 몰려들어서 그다지 차이는 없는듯 싶다. 현재는 그래도 대림대만하니깐 좁다고 걱정할필요는 전혀없다. 11. 출신 인물[편집] 이용식 - 코미디언 정종철 - 코미디언 김민지 - 싱어송라이터 (슈스케 5 톱 4) [1] 교명 변경 당시 인지도 하락 및 학교 전통을 우려하여 재학생 및 동문의 반대의견이 있었으나 교명변경을 진행하였다. [2] 관련 기사를 참조. [3] 나중에 성신여자대학교로 흡수되었다. [4] 경영학부 건물은 1호관으로 변경되었다. [5] 대학본부와 마찬가지로, 캠퍼스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는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6] 6층 서가와 장소를 공유하여 시험기간에만 개방한다. [7] 이점은 대학 본부와 동일하다. 대학본부와 도서관은 4층이다. [8] 3층,4층과 관리인이 다른지 음료 종류가 조금 다르다 [9] 2년제기준 전공+교양 총 80학점이상이어야 졸업가능.3년제는 120학점 [10] 2016년 1학기부터 교양필수 DIP, NCS, 2017년 1학기부터 DFS가 생겼다 종교교양필수가 없는게어디야... 그런데 전문대학주제에 교양필수가..?! [11] 예전에는 3학점 짜리 교양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2학점 [12] 다만, 취미 동아리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약간 달라지기도 한다. 동아리에 들어갔다가 나오는 학생이 수두룩한데, 이때 대부분은 평이 안 좋은 동아리들이다. 평을 들어보고 잘 생각해서 들어가자. 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12.3%로 많이 낮은 편이다. (전국 평균 56.9%) 2014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 운용 수입 중 등록금 비율이 74.2%로... 전국 평균 63.2%보다 높다. 2014년 총 결산 기준 재학생 1인당 장학금 규모에서 서울 소재 여대 중 1위(338만 3,600원), 수도권 주요 대학을 통틀어 2위(1위 홍익대, 364만 1,100원)를 기록했다. 더불어 전체 재학생의 77.6% 정도가 장학금 수혜를 받고 있다. 2. 역사[편집] 파일:attachment/img_lee.gif 1936년 운정 이숙종(李淑鍾) 박사(1904~1985)가 당시 경기도 경성부 경운정(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에 설립한 성신여학교가 전신. 1944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963년 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 1965년 성신여자사범대학으로 개편하였다. 1979년 성신여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198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성신학원에서는 성신유치원, 성신초등학교, 성신여자중학교, 성신여자고등학교, 성신여자대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숙종 여사는 근대 여성 교육 기반을 마련하고자 성신여학교를 설립하였으나 친일 행위를 자행했다.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평의원이 된 것을 시작으로, 45년 해방 직전까지 전국을 순회하며 일제의 총동원전쟁에 조선과 조선의 여성들도 힘을 합칠 것을 호소했다. 친일인명사전에도 등록된 인물이지만 학교 측은 이 사실을 전혀 알리고 있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성신인 수업) 캠퍼스 내에만 흉상이 4개가 있어 가끔 커뮤니티에서 떡밥으로 떠오르곤 한다. 참고로 학교 부지가 모두 바위산으로 되어 있어서 기본공사부터 애로사항이 많았다고 한다. 애초에 수정이 나오는 지역이었으니... 성신학원이 있는 지역 및 주변지역의 명칭이 돈암동, 안암동, 종암동이다. 돌림자로 쓰여진 글자의 의미를 생각해 보라. 그래서 성신여대의 메인 건물이라 할 수 있는 성신관 뒤쪽에는 돌로 이루어진 깎아지른 절벽을 볼 수 있다. 겨울에는 곳곳에 흘러내린 물이 얼어 흡사 폭포의 한 모습을 보는 듯 하다. 봄이 되면 그물망 사이 절벽으로 다람쥐가 기어다니곤 한다. 그 뒷산(개운산)을 넘어가면 뒤쪽으로 종암동 고려대학교가 나온다. 이사장을 거쳐 2007년 8월에 취임한 제8대 심화진 총장이 2015년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2011년, 2015년 2차례 연임에 성공해 사립학교 역사상 전무한 3연임 기록을 세웠다. 후술할 비리 의혹과 학사분규의 주인공으로, 학생들 사이에선 핑크를 좋아하는 것 같다는 이미지 때문에 심브릿지로 통한다. 언론에 잘 보도되지 않아 모르는 사람들이 많지만, 현재 성신여대는 가장 지독한 학사분규를 치르고 있는 대학 중 하나다. 상지대학교, 동국대학교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 1999년 이숙자 교수의 총장 선임을 둘러싸고 학생들의 수업거부와 교수들의 무기한 단식, 학교[1] 전역에 걸친 점거가 진행됐다. 그 후 선임된 심화진 총장은 앞서 언급한대로 3연임에 성공했으나, 2012년 경부터 그녀의 비리에 대한 무기명 투서가 캠퍼스에 돌아다니다가, 2014년에는 MBC PD수첩에 심화진 총장의 비리 의혹이 보도되고 만다. 이후 총장이 무릎 꿇으며 사죄했다는 에피소드나 일부 사실에 대해서는 정정보도를 하였으나, 전체적인 사실에 대해서는 정정보도가 나온 적 없다.[2] 오히려 당시 이사회 측의 법무법인 세종 감사 보고서는 심 총장의 비협조로 인해 많은 자료를 제공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방송에서 제기된 의혹이 모두 사실이거나 사실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결론 내렸다. 물론, 심 총장 측에서 고용한 법무법인 바른의 보고서는 정반대의 결과를 담고 있다. 이후 10여 년 간 누적된 학내 갈등이 공개적으로 분출돼 관련 문제 제기와 소송이 난무하고 있다. 심 총장을 지지하는 쪽에서는 "이건 모두 재단 복귀를 노리는 전 이사장의 정치놀음"이라 주장하는 중. 2015년, 총장 비리 의혹 진상 규명 공대위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총학생회가 되면서 총장 비리 관련 강경 대응을 시작했다. 결국 임기 말 스티커 부착 시위 후 해당 총학생회와 집행부 일부는 무기정학, 유기정학의 징계를 받아 소송을 진행했으며 결국 무효 판결을 받았다. 16년 학생회 또한 징계를 받은 상태다. 최근 2015년 총장 선거 당시 심 총장에게 표를 행사했던 이사의 임명을 무효로 한다는 판결이 나와 사태는 더욱 미궁 속으로. 심화진 총장이 업무상 횡령으로 기소되었으나, 이 사건 역시 개인비리와 거리가 멀다는 의견도 있다. 이에 대해 심 총장 본인은 "언론보도를 보면 자칫 내가 교비를 유용한 것처럼 보이지만, 나는 한 푼도 개인적으로 교비를 유용하거나 사용한 적 없다. 교비로 쓰는 항목 중에 학교 교육에 필요할 경우 자문을 받을 수 있다고 된 부분이 있는데, 이게 문제가 됐다. 하지만 이 지출은 학교 교육에 직접적으로 관계된 것들을 절차에 맞게 집행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뉴스1 기사 아울러 성신여대의 경우 총장의 비리 척결이 목적이라기보다 학교운영권을 차지하려는 음모가 있다는 시각은 주목해야 한다#[반박] 그러나 현행 사립학교법상 교비[4]는 학교 학생들과 직결된 사안으로만 그 사용이 엄격히 제한된다. 성신여대 명의가 아닌 총장과 그 측근의 개인 명의 소송비를 교비에서 지출한 것은 충분히 현행 사립학교법에 위반될 여지가 있으며[5], 애초에 그래서 기소된 것이다. 그리고 총장 본인이 미아운정캠퍼스 조성 당시 2억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사실을 재판 중 인정했다. [6] 교비는 유용하지 않았지만 현금 2억 리베이트는 받았다는 총장에 대한 비판을 '학교 운영권을 차지하려는 음모와 거기 휘말린 학생들'으로 제대로 된 근거와 반박 없이 치환하는 것이 바로 음모라는 게 재학생들의 시선이다. 2015년 총장 선거 당시 황우여 교육부 장관이 성신여대 이사회에게 "심화진 총장을 뽑으라"고 압박을 넣었다는 뉴스타파 보도가 있다. http://newstapa.org/36579 최근에는 학교 내 학생회와 동아리 및 단체를 둘러싼 정치적 동원 논란이 있었다. 문제가 된 계열은 NL 경기동부 주사파 쪽으로, 사태와 관련된 핵심인물들이 대부분 민중연합당원 신분으로 학생회와 기타 학내 단체 활동을 통해 민중연합당 관련 시위나 행사인 것을 숨기고 학생들의 참여(주로 새내기)를 유도한 것으로 드러나 많은 이들의 공분을 샀다. 3. 교육이념[편집] 誠信(성신) : 정성되고 믿음직하게 知新(지신) : 새로운 지식을 넓고 깊게 自動(자동) : 스스로 움직여 자기 힘으로 4. 교가(校歌)[편집] 작사 정인보 작곡 이홍렬 등뒤에 수정이오 발아래 구름 문들어 설제 발서 바람이 높다. 역사에 빛날 책임 우리게 크니 안산림 속 범절은 민족의 터다. 수틀에 메인 강산 밤새워 놓고 오대양물 여다가 무궁화 키자. 정성되고 믿음직한 대한의 딸아. 정성되고 믿음직한 성신의 딸아. 5. UI[편집] 심볼마크, 로고타입, 색상규정 등의 규칙과 의의를 설정해 두었다. 로고를 쓰는 법, 색상 바리에이션, 시그니처에 로고와 엠블럼 간의 간격과 종류 등이 자세히 작성되어 있다. 공식 홈페이지의 성신UI 소개를 보면 디자이너의 근성이 느껴지는 바리에이션들을 볼 수 있다. 5.1. 심볼마크[편집] 파일:attachment/img_symbol0101.png 수정(크리스탈)을 형상화 한 심볼. 파랑+보라의 오묘한 조합의 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재학생들은 심볼이 예쁘다고 좋아하는 듯. 한때 학교 카페에 심볼을 이용한 기념품 제안, 바람이 올라오기도 했다. 예를 들어 USB 메모리, 귀걸이, 목걸이, 휴대폰 줄, 공책 등. 학교 신입생들은 입학 시 로고가 있는 기념품과 손잡이 파일을 받을 수 있다. 파일 같은 경우는 남으면 재학생들도 준다. 이 유래는 학교 부지, 그러니까 산에 예로부터 수정이 나오던 곳이라 상징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약칭 수정캠퍼스, 수캠. 수정대라는 이름은 2010년 이후로 잘 쓰이지 않다가 미아운정그린캠퍼스 개교 이후 캠퍼스 구분을 위해 원활히 쓰이고 있다. 재학생들은 수정이[7], 심볼은 수정구로 통하는 것도 이 이유. 5.2. 색상[편집] 대충 학교 대표색은 보라색이라고 보면 된다. 정확히 말하면 파랑색이 약간 섞인 보라. 색상 규정을 보았을 땐 틴트 계열이다. 아무래도 심볼 마크의 색상이 오묘하다 보니 한 가지 색보다는 비슷한 계열의 색 여러 가지가 쓰인다. 최근엔 진분홍색을 많이 쓰고 있다. 성신여대입구역 1번 출구에 11학번인 좌하라 우세영을 앞세운 총장님의 해맑은 미소가 인상적이던 큰 광고도 진분홍 계열을 사용했다. 총장님이 핫핑크별명이 심브릿지를 좋아하신다는 소문이 있다. 12학번 씨스타의 효린, 소유 광고 후로는 연예인을 기용하지 않고 있으나, 그 광고마저 별로라 학교 홍보팀을 향한 학우들의 불만이 사라지질 않고 있다. 5.3. 성신폰트[편집] 파일:attachment/img_sfont0101.gif 파일:attachment/img_sfont0102.gif 서체 소개 및 다운로드 링크 전용서체인 성신제목체와 성신본문체가 있다. 글꼴의 조형원리를 재해석하여 성신학원의 이미지~ 등등 복잡한 제작의의와 정의, 구성, 효과 등을 주저리주저리 설명해 두었다. 서체 자체는 뭔가 단아한 것 같으면서도 넓적한 느낌이다. 6. ROTC[편집] 성신여자대학교 ROTC 2011년 12월 제218학군단을 창설하였다. 여대 중에서는 숙명여자대학교에 이은 2번째. 성신여대는 2013~2014년 2년 연속으로 학군단 동계군사훈련에서 1위를 차지했다.[8] 2016년에는 육군교육사령부가 주관한 학군단 종합평가에서 5년 연속 '최우수 학군단'으로 선정되었고, 유호인(정치외교학과) 양이 최초의 여성 ROTC 해병대 장교로 임관했으며#, 조용주(지리학과) 양은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7. 교통[편집] 돈암수정캠퍼스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 인근 정릉동에 위치한 국민대학교, 서경대학교 학생들이 이 역에서 버스로 환승하기도 한다. 성신여대입구역에서 학교 정문까지 걸어오는 큰 길에는 로데오 거리라는 규모 있는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카페, 음식점, 화장품 가게, 옷가게 등이 매우 많다. 성신여대입구역 1번출구에서 이 로데오 거리를 거쳐 정문까지 걸어가는 것이 정석적인 등굣길. 또한 학생회관 1층 문 앞으로 이어지는 언덕 위 지름길을 요령껏 찾아 뛰어오면 최단시간 주파도 가능하다.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이용하는 학생들도 있다. 안암역, 보문역에서 도보로 학교까지 오갈 수 있다. 소요시간 15~20분 내외. 안암역은 학교 후문, 보문역은 정문과 가깝다. 단, 안암역에서 후문까지 오는 길은 골목길과 갈림길들로 이루어져 있어, 안암역에서 학교로 걸어오려면 회기던전만은 못해도 제대로 된 경로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도보 루트를 제대로 모를 경우, 안암역 3번 출구 앞에서 서울 버스 성북04를 타고 학교 후문에서 하차하는 것을 권장한다. 성북04 또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서울 버스 성북04 정류장은 안암역 3번출구 앞에만 2개나 있다! 등교시 성신여대생이 타야 하는 성신여대 후문행 버스는 3번 출구에서 나와서 참살이길 안으로 들어가야 나오는 정류장에서 승차한다. 3번 출구의 바로 앞에 있는 정류장에서 승차하는 버스는 신설동행, 즉 아예 반대 방향이다 (…) 안암역 등교를 처음 시도할 경우, 이 점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가 버려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으니 요주의. 다음 지도 등 지도 어플을 적극 활용하자. 그냥 보문역에서 걸어가자. 우이신설선만 개통되면 해결될 문제 보문역에서 정문까지 가는 길은 큰 길로만 이루어져 있어, 안암역에서 도보로 가는 것 보단 비교적 알기 쉽다. 다만 상술한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의 로데오 거리를 경유하는 경로에 비해 비교적 한적하고 심심하다 (…) 2017년 9월 2일 우이신설선이 개통되면서 보문역~성신여대입구역을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는 없어질 것이라고 사료됨. 미아운정캠퍼스는 서울 지하철 4호선 미아역이 근처에 있다. 서울 지하철 4호선 미아역에서 1번출구로 나와 도보 7-8분정도 걸어 들어가 서울사이버대학교 옆에 위치해 있다. 돈암수정캠퍼스에 비해서는 주변이 매우... 한적하고 양쪽으로는 상대적 번화가인 미아사거리역와 수유역을 끼고 있지만, 정작 학교가 위치한 미아역은 봉구스밥버거나 작은 개인식당 몇 곳 말고는 식사할 곳도 놀 수 있는 곳도 마땅치 않다. 그래서 쉬는 시간이나 공강에 금방 다녀올 수 있는 곳이 제한되어, 학생의 불편이 따르는 편이다. 미아역 1번 출구에서 걷기 힘들거나 수업시간이 아슬아슬한 학생들은, 1번 출구 바로 앞의 서울 버스 강북04를 이용해 바로 다음 정거장에 내려 걸어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 하루에 양쪽 캠퍼스 모두에서 수업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운정캠퍼스와 수정캠퍼스 간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8. 캠퍼스[편집] 성신여자대학교/캠퍼스 항목 참조. 9. 학과[편집] ※프라임 사업 소형 참여로 인해, 2017학년도 신입생 모집부터 단과대 및 학과 편제가 상당히 개편된다. 성신여대 입학처의 2017 신입학 기본계획을 참조. 9.1. 인문과학대학(수정)[편집]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일본어문문화학과, 중어중문학과, 사학과 9.2. 사회과학대학(수정)[편집] 정치외교학과, 심리학과, 지리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9.3. 법과대학(수정)[편집] 지식산��법학과, 법학과 9.4. 자연과학대학(수정/운정)[편집] 수학과, 통계학과, IT학부 9.5. Health & Wellness College[편집] 글로벌의과학과, 식품영양학과, 사회복지학과, 스포츠레저학과, 운동재활복지과 9.6. 간호대학(운정)[편집] 간호학과 9.7. 뷰티생활산업국제대학[편집]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의류산업학과, 뷰티산업학과, 소비자생활문화산업학과 9.8. 사범대학(수정)[편집] 교육학과, 사회교육과, 윤리교육과, 한문교육과, 유아교육과 9.9. 미술대학(수정)[편집] 동양화과, 서양화과, 조소과, 공예과, 산업디자인과 9.10. 음악대학(수정)[편집] 성악과, 기악과, 작곡과 9.11. 융합문화예술대학(운정)[편집] 2011년도에 첫 신입생 입학. 문화예술경영학과, 미디어영상연기학과, 현대실용음악학과, 무용예술학과 9.12. 지식서비스공과대학(수정)[편집] 2017년 신설. 서비스-디자인공학과, 융합보안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시스템공학과, 청정융합에너지공학과, 바이오식품공학과, 바이오생명공학과 10. 학사제도[편집] 10.1. 학점제도[편집] 4.5 만점 제도. 본래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중에 교수가 자율적으로 선택이 가능했다. 보통 실기과목 또는 소수인원 수업은 절대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반적으로 절대평가가 이루어졌으나... 2011학년도 1학기 중후반에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화가 발표한 성적평가결과 공시에 190개교 중 A 학점이 44.4%로 190개교 중 159위에 랭크되었고, 졸업생의 졸업평점평균 분포에서는 표준환산평점 81.48로 185개교 중 172위에 랭크되어 학점을 잘 주는 대학으로 평가되어, 이에 대한 신뢰도 제고를 위해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상대평가로 바뀌었다(A는 30%, B는 70%, C이하는 제한 없음). 학점 취소도 재학 중 매 학기 2개씩, 졸업 직전에는 제한 없이 지울 수 있는 기회지우개 찬스를 주었으나 역시 학점 인플레 때문에 2013년 신입생부터는 졸업할 때까지 딱 9학점만 지울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2014년부터는 모든 학생이 학점을 지울 수 없고 대신 수강철회(w)가 생겼다. 다만 개강 후 4주 이내에 해야 한다. 갑작스러운 개편이라 반발이 매우 심했다. 10.2. 수업[편집] 교양은 9시부터 12시 사이에 있는 오전교양과, 6시부터 10시까지 있는 야간교양으로 나눠진다. 공통교양 11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총 4과목으로 성신인, 사고와 표현, Effective English Speech, Effective Written English 라는 과목을 수강해야 한다. 1년 동안 2과목씩 나눠서 듣게 되며, 이는 각 학과별로 일정이 짜져서 자동적으로 수강 처리가 돼있으므로, 신입생은 이를 제외한 12~13학점을 수강 신청하면 된다. 09학번은 이 공통교양이 야간으로 정해지는 경우가 있어서, 원하지 않아도 강제로 야간수업을 들어야 했다. 학생들의 반발로 현재는 모두 1교시 수업으로 편성되고 있다. 미대 같은 경우 시간표를 전부 지정해주기 때문에 자기 마음대로 공강을 만들 수 없으며, 심각한 경우 1학년 때 월~금 all 1교시 크리를 맞을 수도 있다. 2012년 2학기부터 산업디자인학과 수업이 3시간 2학점 방식에서 3시간 3학점으로 변경되었다. 야! 신난다~ 변경되면서 한 학기에 보통 6개 정도 개설되었던 전공수업이 4개 정도로 줄어들었다. 커리큘럼도 조금 바뀌었다. 학점을 늘리면서 수업을 줄여서 강사비도 줄었을 텐데 등록금은 그대로다.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 운정그린캠퍼스가 생기면서, 교양을 반으로 나누어 서로 번갈아 가며 각 캠퍼스에 개설되기로 하였다. 운캠 신설 후, 캠퍼스를 확인하지 않고 시간표를 짰다가 정정기간에 다시 갈아엎고 짜는 일이 비일비재하였다. 11. 이모저모[편집] 11.1. 학교 관련[편집] 간호대학은 2007년 국립중앙의료원에 딸려있던 3년제 간호대학을 인수한 것으로, 19명의 남학생이 정식으로 학적을 보유한 적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전부 졸업 등으로 학교를 떠났다. 당시 신동엽의 에 나왔을 정도. 군대를 다녀왔더니 학교가 사라진 안습의 남학생. 또한 대학원은 성별을 가리지 않고 입학을 받고 있으므로, 대학원에도 소수의 남학생이 재학 중이다. 입학요강에도 남/여 모집이라고 별도 표기한다. 손석희 씨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 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2013년 1학기 도중 사표를 내고 JTBC로 갔다. 방송 모습과 평소 모습이 꽤 차이가 났다고 한다. 학생들을 빡세게 공부시키며, 담당 강의 중 하나인 "말하기와 토론"은 "말하기와 토하기"로 통할 정도였다. 그래서인지 미컴 학생들의 말빨은 타과에 비해 월등하다. 원래 미컴은 팀플이 많잖아 "말하기와 토론" 외에도 "뉴스 취재와 보도"라는 강의를 담당해, 타과 학생도 손 교수의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손석희 교수가 담당하던 미컴 소속 토론 동아리는 아직 건재하게 남아 있다. 2014년까지는 학교에 가끔 방문하였고[9] 미컴 학생들을 JTBC에 초청하기도 했으나 그 후로 별다른 교류는 없다. 손석희 교수가 논술고사에서 시험감독을 본 적이 있는데, 수험생들이 손 교수와 같이 사진을 찍어달라고 요청할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시위가 굉장히 자주 일어나는데, 보통 정문이나 수정관(성신관) 앞쪽에서 이루어지므로 시끄러울 때가 많다. 심지어 옆에 있는 성신여자고등학교의 시위도 대학교에서 벌인다. 또한 학교법인 성신학원이 최근 펀드투자를 했다가 20~50억의 손실을 본 것으로 드러나면서, 많은 성신여대생들이 치를 떨고 있다. 이미 음대(518만원)와 미대(509만원)의 등록금은 500만원이 넘었는데, 2012년에 2% 생색내기인하를 하면서 미대 등록금은 495만원 정도이다. 2013년에도 5% 내렸다. 하지만 그 다음 해엔 어떨까?? 다시 올린다에 한표 2012년 총학생회 선거 파행을 거친 후 2년 간 어용 성향 총학생회가 들어서면서 학내 화력이 많이 약해졌다. 2015년부터 비교적 운동권, 강경 성향의 총학이 들어서 학교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학생들 참여도가 천천히 늘어나고 있다. 인근 지역의 상권이 굉장히 발달되어 있다. 카페, 여러 종류의 식당, 술집, 화장품 가게, 옷가게 등이 굉장히 많다. 근데 막상 성신여대생들 중에는 강의 끝나자마자 집으로 돌아가는 루트인 학교-집-학교-집 커리를 타는 학생들이 굉장히 많고, 강의 중간에는 맛집보다 컵밥을 애용한다는 것이 함정 때문에 인근 고등학교 학생들이나 대학생들이 많이 놀러오는 편이다. 근처 중심가라고 할 수 있는 하나로 내지 로데오 거리 는 차도 다닐 수 있어, 사람이 많을 때 차까지 지나가면 복잡하다. 대로변 골목골목에 숨겨진 맛집이 많다. 학교 근처에 체인점을 필두��� 카페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나로 거리만 해도 할리스커피, 투썸플레이스, 탐앤탐스가 있으며 그 외에 버스정류장 앞 이디야, 스타벅스까지. 2016년 기준 요거프레소는 봄봄으로, 커핀그루나루는 미용실으로 바뀌었다. 엔제리너스도 망했는데 바뀐 가게는 추후 수정바람. 스타벅스는 성신여대입구역점과 성신여대정문점이 있다. 성신여대입구역점은 과거 박명수가 소유했던 건물로 알려져 명수스벅 또는 명수벅스로 성신여대정문점과 구별해서 부르는 경우가 있다. 개인 카페는 정문 입구에 많이 몰려 있는데 시험기간이 되면 과 학생회에서 간식 쿠폰 협약을 맺기도 한다. 상권이 확장되면서 중문, 후문 근처와 학생회관으로 오는 로데오 뒷골목 가게가 꽤 생겼다. 성신여대입구역과 연결된 유타몰에는 CGV성신여대입구, 애슐리 W 등이 있다. 성신여대 인근의 영화관은 3곳 정도를 들 수 있다. 이 유타몰에 있는 CGV성신여대입구, 옆 학교 안의 KU시네마트랩, 성신여대입구역 6번 출구에서 마을버스 및 지선버스를 타고 갈 수 있는 정릉의 아리랑씨네센터. 이 중 KU시네마트랩은 독립/예술영화 전용관이다. 2012년 여름방학에 기존 경비아저씨들로 이루어졌던 학교 관리가 보안업체인 ADT캡스로 바뀌었다. 그러면서 경비아저씨들이 계시던 작은 관리소는 모두 철거되었고, 학교 곳곳에 CCTV가 추가로 설치되고 도움벨이랄지 관련 시설물들이 생겨났다. 그리고 오래전 난향카페가 있었고 그 이후에 서양화과 실기실로 쓰이던 곳이 진분홍색으로 도배되어 ADT상황실로 쓰이게 되었다. 보안 업체 교체와 함께 교내 음주도 금지돼, 축제 때 문전성시를 이루던 주점도 모두 사라졌다. 보안 강화를 위해 전문 업체를 선정한 것으로 보인다. 철야하려면 야작 신청서를 작성해서 과사(미대생의 경우) 내지 학생지원팀에 제출해야 한다. 안 그러면 11시에 쫒겨난다. 2016년 교원양성기관평가에 사범대, 학부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평가대상 3군데 모두 C등급을 받아 각각 모두 30% 정원을 감축해야 한다. 관련 기사 2017년 신입생부터 적용된다. 사범대는 인서울 대학교에서 홍익대와 2개 대학만 받는 병짓. 프라임 사업과 함께 터진 일이라 학생들은 '사범대를 정말 없애려는 게 아니냐'며 불안해했지만, 실제로는 모 교수들이 10년 동안 논문 실적을 하나도 내지 않아 일어난 사태였다. 심화진 총장의 남편 전인범 중장의 트리비아 항목에는 성신여대가 심 총장의 재임기간 동안 눈부신 발전을 이룬 것처럼 적혀져 있으나,전형적인 니편내편, 내로남불 학생들의 의견은 전혀 다르다. 학생회가 심 총장 반대운동을 계속하는 것도 그만큼의 재학생 지지가 있기 때문이다. 2015년 학생총회와 2016년 학생총회 모두 각각 성사 인원 500명을 훨씬 웃도는 1,300명, 2,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참여해 심 총장 반대 안건을 통과시켰다. 최근 몇 년 간 학교 내실이 상당히 부실해지고 있다. 원래 성신여대 자체가 재학생 대비 교수비율이 인서울 대학교 사이에선 거의 최저 수준으로 강사를 채용한 수업이 많았는데, 2016년 강사법 시행을 대비한 학칙 개정으로 인해 강사 대부분이 잘리게 되면서 수업이 몇십여 개 씩 사라져 원성이 거세다. 교수 채용에도 상당히 깐깐해, 미컴의 경우 기존에 영화 관련 과목을 담당하던 배모 교수가 모교로 학교를 옮기자, 교수를 새로 채용하는 게 아니라 그냥 영화 과목을 다 없애 버리는 대처를 보일 정도. 1년 사이 1,300명 인원의 교양강의가 날아갔으며, 본부가 장학재단에 수납원장을 등록하지 않아 2017년 겨울방학 중 생활비 대출을 받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음을 알고도 2월 말 등록기간까지 기다리라는 등 교직원들의 태업, 태만에 불만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본부는 개선 계획을 보인 적 없다. 심화진 총장에 대한 비판이 들릴 때마다 '하나가 되어 진정한 성신을 이루자'는 말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애초에 프라임 사업 초기안이 공개되자 2016년 수강대란과 맞물려 이례적으로 '학교 망했다, 편입학하자, 재수하자'는 말이 에타에 쏟아져 나왔을 정도였다.[10] 심화진 총장이 해임되고 김호성 총장이 임명되었는데 남녀공학 대학교로 전환을 검토중 이라고 한다.관련기사 여대와 관련없는 일반인들은 남녀공학 전환에 대부분 찬성하는 분위기지만 성신여대 재학생 뿐만 아니라 타 여대 재학생들은 대부분 이에 반대하는 분위기다. 11.2. 학교 커뮤니티[편집] 2016년 현재, 에브리타임 어플 게시판만 활성화된 상태이다. 대한민국 대학교 커뮤니티 목록 참조. 성신여대의 에타 화력은 에타 내에서도 손에 꼽히는 수준이며, 시험기간에는 새벽 3-6시에도 글이 꽤 올라오는 걸 목격할 수 있다. 다만 시험기간이나 성적발표기간에는 시기에 걸맞는 어그로가 늘어나므로 유의. 가끔 남자 출입으로[11] 난리가 나기도 한다. 2018년 8월 19일 에브리타임에 메갈리아/워마드 유저들이 주로 쓰는 용어를 사용하며 "진짜 그들이 소수라고 생각하나? 성신여대에 메갈이 얼마나 많은지 보여주겠다" 는 글이 올라왔는데 이게 일주일도 안 되어 추천수가 1500개가 넘는 에타 역사상 아마 손가락에 꼽을만한 상황이 벌어졌고 박제되어 여러 커뮤니티들에 돌림되었다. 참고 동년 11월 24일에는 아내가 출산시 남편의 고환에 줄을 묶어서 아내가 신음할때마다 같이 당겨서 고통을 느끼게 하는 인디언 부족들의 의식에 대해 국내에 시급하다면서" 사실 이것도 약하고 불알을 아예 떼내버려야 한다"는 글이 올라왔는데 추천이 90개, 스크랩 15개가 박혔다. 참고 정말 마인드가 매우 심각하다 다음 카페 성신여대 강의 정확히 알자 (약칭 성강정) 에서 학생 인증 및 레벨업 절차를 거치면 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강의평가들을 볼 수 있다. 페이스북 페이지 성신여자대학교 대나무숲도 있긴 하나, 관리자들의 제보글 게시가 느리고, 잊을 만 하면 필터링 관련 문제가 터져 학우들이 그렇게 좋아하진 않는 상태. 성신여자대학교 대신 전해드립니다는 외부인이 관리자라는 말이 있어 그렇게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대숲에서 안 받아주는 미팅 글만 줄창 올라오는 곳. 11.3. 나경원 의원 딸 부정입학 및 성적조작 의혹[편집]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나경원의 딸인 김모 양이 성신여대 실용음악학과에 입학한 과정에 대해 의혹이 제기되었다. 의혹 및 반박 등의 자세한 사항은 본 문서 참조. 12. 주요 동문[편집] 성신여자대학교/출신 인물 참조 [1] 당시는 수정캠퍼스만 존재했다. [2] 이전 문서에는 '근거 없는 사실이라 판명돼 PD수첩에서도 정정보도를 했다.'며 해당 방송의 모든 내용이 허위인 것 마냥 적시했으나, 그렇지 않다. [반박] 결국 pd수첩 취재와 법무법인 세종의 보고서 결과로는 대부분의 의혹이 사실이거나 사실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난 점은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세종 보고서는 심 총장이 조사위원에게 비협조적이었음을 적시하고 있다. 또한, 법무법인 바른은 의혹 제기 당사자인 심 총장이 고용한 법인인 점도 해당 글에는 적혀있지 않다. [4] 학교회계 중 교비회계에 해당되는 돈으로, 대부분 학생들의 등록금으로 충당된다. 자세한 내용은 사립학교법 제29조 참고 [5] 해당 문제와 관련된 판례도 많다. 대표적으로 2014도6286 등. [6] 이렇게 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해당 사안에 대한 공소시효가 종료됐기 때문이다 [7] 미아운정그린캠퍼스 학생들을 가리키는 '운정이'라는 말도 있지만, 대체로 '수정이'로 통칭된. [8] 2012년 학군단 하계군사훈련에서는 숙명여자대학교가 1위를 했다. 연이어 여대 학군단에서 1위를 하자, 군에서는 학교별로 순위를 매기던 것을 폐지했다. 인정하기 싫다는 건가 [9] 공식적인 방문도 있었으며, 먼발치서 수업을 구경하시다 교수님께 걸리기도 했다. [10] 원래 '학교' 기반 커뮤니티이니 만큼, 편입학이나 자퇴, 재수, 반수 글에는 좋은 반응이 나오지 않는다. [11] 교환학생, 학점교류, 교직원, 여친/여자 형제 아이디 빌림 등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0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