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Explore tagged Tumblr posts
Text
26화. 동거를 위한 협상
도라온도랑이, 천상의 아미_우아한 JS (오랑 VER.) 나는 지금 공주님과 함께 연오개를 찾으러 서울로 가는 버스를 타기 위해 터미널로 가는 택시에 타고 있습니다. 만약 내가 돈을 주지 않았다면, 이 먼 거리를 걸어서 올 그녀였겠죠. 하지만 선불로 12만 5천 원을 주자, 그녀는 단숨에 사치를 부리기 시작했습니다. 버스를 타도 되는데, 택시라니. 이 사치보다 더 무서운 건 지금 나를 바라보는 그녀의 노골적인 시선입니다. 불과 아침까지만 해도 “이 새끼, 저 새끼, 변태 새끼!” 욕을 퍼붓던 그녀였습니다. 하지만… 내 지갑을 본 순간. 그녀는 욕을 멈췄습니다.그리고 지금은… 따뜻한 미소까지 지어 보이고 있네요. 모두 끊임없이 5만 원이 나오는 내 지갑 때문이겠죠? 그 사실이 왠지…
0 notes
Text
2023 WATCHLIST
⤷ The Ghost Station (2022)
#the ghost station#옥수역 귀신#kdrama#kmovie#kdramaedit#kdramasource#kdramadaily#asiandramasource#filmedit#dailyflicks#fyeahmovies#horrorgifs#horroredit#*gifs#*2023#this movie wasn't good but i did like the bit with the camera towards the end when they're in the tunnel
135 notes
·
View notes
Text
i'm not done talking about 19th century korea hamlet actually. specifically i'm thinking about how the protestant/catholic divide of the original play would be reworked to be about the conflict between korea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or just secular westernized ideals, of that specific era.
i said in the original post that claudius would be very western in both dress and ideals, and that hamlet is the only person in 1.2 who's wearing a white hanbok (the traditional mourning clothes) while everyone else is in black western clothes. hamlet would be the only one lighting incense and putting food offerings in front of his father's portrait.
just like how the original hamlet goes to wittenberg which is the protestant university, but is confronted with his father's ghost damned to purgatory according to the doctrines of roman catholicism, hamlet in this version would be attending one of the growing missionary-run schools with a western style of education. but hamlet sr.'s ghost is a 귀신, a vengeful spirit.
in korean folklore, ghosts often cannot cross to the afterworld because of a 한 (han), an unresolved sadness or wrong committed against them. they can usually cross to the afterlife by reversing the wrong that still keeps them in the living world. (for example, virgin ghosts can sometimes be appeased by a spiritual marriage to move on.) so hamlet's murder of claudius wouldn't just be revenge; killing him would be the only thing to ensure his father crosses to the afterlife.
so when hamlet questions in 2.2 if the ghost was actually just the devil to tempt him into sin, this isn't just the moral conundrum of killing his uncle; this is a religious crisis between everything he's been taught at his new western-style school, and the deep-rooted traditions that his mother and uncle are completely disregarding.
and of course, confucianism putting so much stress on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unit and familial obligation means gertrude and claudius' marriage comes as even more of a betrayal to hamlet. he's putting in all this effort to honor his late father through confucian rites, his hair braided and dressed in a white hanbok, and his mother is essentially sinning against her late husband in every possible way. i think that gertrude and hamlet sr. were both very traditional and gertrude only suddenly acted/dressed very western when she married claudius, which just makes everything worse.*
anyways i'm not framing the conflict between hamlet and gertrude & claudius as a conservative vs. progressive dichotomy. i just think it's so fascinating to think of hamlet's crisis with religion being a struggle between the old vs the new. and given how malleable hamlet is as a play, i think that a lot of themes parallel this specific setting of cultural and technology changes and uncertainty in society. there are so many other aspects to this (notably, the implications of laertes studying abroad which i should probably make a whole other post about) but i've been thinking about religion in hamlet lately.
lastly, to add on to what i said about white mourning clothes in the original post: i think that horatio would be wearing a white vest suit in 5.1 as western formalwear, but by the end of the scene, it's stained in blood and dirt the exact same way that hamlet, ophelia, and laertes' mourning hanboks were ruined before.
(*also obligatory disclaimer that i'm not, like, making a sweeping statement about confucianism as a whole. there is much more to it than just "honour your ancestors" and stuff like that but i'm not an expert. that specific part is just relevant here.)
#fucking finally publishing this post#it's not written the best but bear with me. this is a tumblr blog with less than 40 followers#idk there's something about laertes studying abroad but coming back in a white hanbok for polonius...#and ophelia walks in wearing a dirty and ragged hanbok and her jeogori is loose and dirty#and she's handing out FLOWERS (not traditional! flowers at a funeral is a western thing)#and horatio's the only one of the younger gen who wears a suit but ultimately he stains it the same way the others did#charlie.txt#hamlet#shakespeare#william shakespeare#staging ideas#laertes#ophelia#horatio#claudius#gertrude
30 notes
·
View notes
Text
어깨위에서 기빨아먹으면서 죽을때까지 따라다니는 귀신
스파파이 파이스파 하자 DO SPyPYRO PLz
338 notes
·
View notes
Text
#Doldilic#goth#emo#scene#emo boy#2000s emo#emo scene#gothic#2000s scemo#Horror#goth model#goth fashion#goth subculture#emo kid#scene kid#horror#scene boy#emo hair#scemo#scenemo#myspace#alternative#Spotify
9 notes
·
View notes
Text
➠ Sukuna and Kōjin (荒神):
After this post on Sukuna’s fire-based technique, I have been thinking about 조왕신 (Jowangshin, 竈王神, the goddess of fire and the hearth in Korean shamanism), because [竈] can be associated with three meanings: 1. 부엌; 2. 부엌 귀신 (鬼神); 3. 조왕신 (竈王神).
And remembered that Jowangshin’s Japanese counterpart is Kōjin (荒神), the God in charge of the fire, the hearth and the kitchen. He is sometimes called Kamadogami (竃神), literally the God of the Stove, and here is also what he looks like:

And a very interesting detail is that Kōjin represents violent forces that are turned toward the betterment of humankind.
I did mention Kōjin as Kamadogami in this post about Sukuna as well, but I do not know why I did not make the connection until I thought of Jowangshin.
#oh. ha. that was a bit embarrassing of me.#but the dots have been connected now.#jjk spoilers#jjk#jujutsu kaisen#sukuna#ryomen sukuna#jjk sukuna#sukuna ryomen#ryoumen sukuna
29 notes
·
View notes
Text

2주간 휴가를 보내고 2주를 내리 일하고 11월 말이 되어서 캘거리 집에 왔다. 이번 달은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일주일이 채 되지 않는데 돌아온 캘거리는 겨울이 한창이다.


아직도 푸릇푸릇한 벤쿠버 vs 하얀 캘거리

벤쿠버 물류팀에 도는 이야기. 행어 2층에 귀신 있다고. 2층 구석에 비교적 사용빈도 낮은 물건들 보관하는 장소가 있는데 거기 물건 가지러 올라갔다가 귀신 본 사람이 한둘이 아니라 한다. 귀신의 정체는 예전 캐네디언 에어라인 시절 일하던 브라이언이 아닐까라고 추측하는데 귀신이 입고있던 유니폼이 그 시절 옷이였고 개인적 삶 없이 일에 몰두했던 브라이언은 죽기 며칠전까지 일하다 병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그 브라이언이 아직도 일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게 여러사람들의 추측.
미지의 존재가 불쑥 나타난다는 사실은 무섭긴 한데 생각해보면 무엇보다 “장소”에 애착을 갖고있는 성향은 나도 마찬가지라 나도 죽으면 나의 애착장소에 나타나게 될런가, 그렇다면 그 장소는 어디가 될런가 생각 해 봤다.
16 notes
·
View notes
Text









“유령은 장소가 아니라 사람이나 생명체에 머물러요“ 오늘도 5키로 넘게 달리기 성공, 나는 기독교지만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영화를 정말 사랑한다. 자신이 감각한 것을 이렇게 보이는 것으로 증명해내는 능력 전생과 현생 원숭이 귀신 유령 영적인 것은 저 멀리 있지 않고 우리 곁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 세상의 것에 갇혀버려 그 영적인 것이 주는 신비로움을 잊고 살때마다 꺼내보면 좋은 그가 감각하고 느꼈던 사실들 녹색이라 할수 없고 하얀색을 섞어 연두색을 띄거나 검정을 섞어 그레이 빛을 띄는 그런 사사롭고 섬세한 달콤한 구간들 모두가 찬란하고 아름답다
12 notes
·
View notes
Text






귀신 ◟ 𝑐𝑎𝑜𝑠⠀⠀𝑑𝑒𝑛𝑡𝑟𝑜
despite of the pain it makes me go through, or the wounds that has found their forever place in my heart
the tears, sometimes laughs and hope it gives me
and the hopeless times, that i know for sure now that it’s all over. times where i feel like the whole world has fell apart
despite everything you make me go through still my heart belongs with you, forever
36 notes
·
View notes
Text
25화, 남자 잘 만나 팔자 피다
도라온도랑이, 천상의 아미_우아한 JS (이서민 VER.) “뭐야, 그거?” “보면 모르겠어요? 공주님이 제일 좋아하는 돈이잖아요.” 나는 지금 오랑이 들고 흔드는 돈 때문에 혼란스러웠다. 순간, ‘저 놈이 내 돈을 훔친 건가?’ 싶었지만, 그럴 리 없다. 나는 원래 현금을 들고 다니지 않는다. 게다가 집안에도 감춰둔 현찰 같은 건 없다. 그렇다면 도둑질을 한 것도 아니란 소리다. 그럼 고구마 깎고 번 돈을 삥땅 친 건가? 그럼 어제 나한테 준 돈을 포함해 총 6만 8천 원을 받았단 뜻인데… 이런, 한 시간에 두 박스 반을 깐 게 아니라 세 박스를 깠던 거구나.그럼 그렇지. 오랑이 믿을 수 없는 놈이라는 건 이미 알고 있었다. 말끝마다 거짓말뿐이더니, 결국 돈마저도 숨긴 건가? 이놈이 이…
0 notes
Text
평범하지 않은 것
사람들이 귀신 이야기에 흥미를 가지는건 사람 같지만 사람이 아닌 것에 대한 흥미가 아닐까 생각해.
나도 그런 평범하지 않은것에 흥미를 느끼는 것 같아. 여자이지만 여자가 아닌.
야동을 보면 한 절반은 속칭 쉬멜물을 보는 것 같아. 좀 오래전부터. 어떻게 접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평범하지 않은 그 영상물에 큰 흥분감을 느꼈고, 자지를 보고 딸딸이를 쳤다는 생각에 방바닥에서 차갑게 식어가던 정액을 보며 자괴감도 들었어.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또 그 영상을 보며 딸딸이를 치고 있었지. 그 이후로도 계속. 중독 되듯이.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에 자지가 달린 그녀들이 사정을 하고 삽입섹스를 하는 모습은 굉장히 언발란스하면서 섹시하고 매력적이었어. 그 세계에 푹 빠져 있을때는 나도 모르게 그녀들의 자지를 만져보고, 맛 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지.
결국 어쩌다 태국에서 그녀를 만나 야동에서느 보던 경험을 하게되었어. 그녀와 삽입섹스까지는 아니지만 서로 물고 빠는 오럴섹스는 했었고, 할때는 정말 미친듯이 흥분되어 아무 생각을 할 수 없었어.
나도 싸고, 그녀도 싼 후 제정신이 돌아온 뒤 이제까지 느껴본적 없는 자괴감과 혼란스러움을 느꼈어. 실제는 야동을 보고 딸딸이나 칠때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만큼 달랐어. 더 뜨거웠고, 더 흥분되었으며, 더 혼란스러웠어.
하지만 웃기게도 현자타임이 지나고 나와 그녀는 다시 서로의 자지를 탐했다는 거지. 태국에 있으면서 그녀와 두번 정도 만났고, 두번째에는 그런 자괴감과 혼란스러움은 덜 했어.
혹시나 해서 게이물 야동을 본적이 있었지만 아무런 느낌이 없었어. 그래서 지금은 그냥 편하게 생각하고 있어. 그냥 좀 특별한 여자를 좋아하는 것이라고.
그냥 트위터를 보며 그때 그녀가 생각이 나서ㅋ
15 notes
·
View notes
Text


[17'S] 더욱 무섭게 돌아온
'A Going Original Series'🥶
마을에서 발견된 메모리카드에 담긴 그날의 이야기🤫
귀신 씻나락 까먹는 팀원들의 운명은?
20 notes
·
View notes
Text
개와 함께 part 4
for real. 난 이 영어 뜻이 멋있다. 앞에 for 가 있고 뒤에 real이 있잖은가. 발음도 근사하다. 혀를 굴려서 발음해 보자. (힙합이다.) 어릴 적부터 가짜가 아닌 진짜가 되고 싶었다. 그럼 진짜는 무엇이고 가짜는 무엇일까?라는 귀신 씻나락 까먹는 생각을 시작했다. 생각 오래 한거 치고는 잘 모른다. 아니, 어릴 때는 또렷하게 보였는데 나이가 들어가면서 흐릿해지더니 경계가 모호해져 버렸다. 그래서 대충 산다. 그런데 가끔 진짜와 가짜를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이 찾아온다. 그러면 내가 첫 진짜를 느꼈던 순간으로 돌아가 본다. 리모컨 리와인드 버튼을 누른다. 비디오로 빌려온 영화 <노킹 온 헤븐스 도어>가 되감아진다.
<노킹 온 헤븐스 도어> O.S.T를 샀고, 들어본다. 이제는 고백한다. 난 밥 딜런이 부른 버전에 뻑이 간 건지 록밴드 selig 부른 버전에 뻑이 간 건지 헷갈린다. 다만 그날을 정확히 기억한다. 너 이게 뭔 줄 알아서 앨범을 사 왔냐는 여동생의 심한 구박이 있었다. 평소에 내가 뭘 사갖고 오던 신경 안 쓰던 여동생�� 이 카세트 테이프를 보더니 마치 귀신이라도 본 듯 기겁을 하면서 꾸중 같은 구박을 주는 것이 아닌가. 음반사에서 이 앨범을 들었다 놨다 한 내 노고를 알지도 못한 체 말이다. 그리고 난 두 가지에 쇼킹했다. 첫 번째. 쟤는 네가 뭘 모른다는 걸 어찌 알았을까. 두 번째. 뭘 모르겠는데 이 노래가 왜 내 가슴을 쿵쾅 때릴까.
그래서 내가 정한 ‘진짜’ 개념 정리. 정체를 모르겠는데 내 가슴을 뛰게 만드는 것. 그 정체를 탐구하고 싶어 잠 못 이루는 것. 설레는 것. 내 말이 뱉어지기 전에 몸이 먼저 반응하는 모든 것. (예: 등골이 서늘한 공포감.) 본능적인 것. 진짜는 선과 악, 부정과 긍정 구분이 없이 느껴진다.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은 계엄령을 발동, 계엄군은 국회의사당과 선거관리위원회에 출동하고 그는 국회의원들을 체포하라 명령했다. 진짜다. 진짜 쿠데타가 있었다. (그리고 12. 3 내란 사태에 우두머리는 윤석열이다.)
강아지는 가짜를 모른다. 삼체인이 거짓말을 할 수 없듯이 강아지는 가짜를 몰라서 가짜를 가짜라 속아넘어갈 수가 없다. 오로지 진짜에 반응하고 모든 반응이 진심이다. 왜 진심이냐고 단정 지을 수 있냐고? 짐승 세계에는 선과 악이 없거든. 여우가 닭 잡아먹는 게 죄가 아니거든. 그래서 강아지의 모든 행동양식은 진심이라 표현할 수 있다. 인간은 다르다. 본능에 충실하면 사악해지거든. 야생 짐승은 배가 부르면 사냥을 멈춰, 인간은 배가 불러도 안 멈춰. 그래서 법을 만들어 약자를 보호하고 선과 악을 규정지어 도덕과 윤리를 세웠지. 사회화된 인간의 행동양식은 강아지보다 훨씬 복잡하고 난해해서 다년간 연구하고 분석해야 하지. 가짜를 모르는 강아지가 지구를 지배하지 않는 대신에 진짜를 잃어버린 인간이 지구를 차지하고 있어. 다음번에 지구가 한 번 더 있다면 인간이 지배하지 않았으면 한다. <개와 함께 part 4> 끝.
6 notes
·
View notes